[전체] “법화도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0)
- 법화도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법화경≫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불교의식의 하나. 이 법회는 ≪법화경≫의 강설(講說), 법화삼매회(法華三昧會), 법화참법(法華懺法) 등을 중심으로 하여 열린다. 법화도량은 인왕경도량(仁王經道場), 금광명경도량(金光明經道場)과 더불어 호국법회로서의 성...
- 미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기(遊四佛山記)」를 짓는 한편, 법화도량(法華道場)을 개설하고 백련결사(白蓮結社)를 조직하여 염불삼매(念佛三昧)를 권장함에 따라 만덕산 백련사와 함께 천태종의 중심 수행처가 되었다. 그 뒤 권문세가의 장지(葬地)로 잠식되어 소수의 탁발승만이 살았으며, 지금은 옛 자취도...이칭별칭백련사(白蓮社)
- 법화법석(法華法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법화경』에 근거를 둔 의식으로, 고려시대에는 법화회와 법화도량이 개설되었다. 특히 1282년(고려 충렬왕 8)에 설행된 법화도량은 공주의 구병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정종의 4재 법석으로 수강궁의 빈전에서 5일간 법화법석이 행해졌고[『세종실록』...관련어칠칠재(七七齋), 법화삼매참(法華三昧懺), 영산재(靈山齋), 천도재(薦度齋), 추천의식(追薦齋), 관음신앙(觀音信仰),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백일재(百日齋), 회삼귀일(會三歸一)
- 만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절로 옮겨와서 크게 중창하고 법화도량(法華道場)을 연 뒤부터이다. 혼기의 뒤를 이어 의선(義璇)이 이곳의 주지를 잇게 됨에 따라 천태종의 중심사찰로서 기반을 굳혔으며, 충혜왕 무렵에는 묘혜(妙慧)가 주지로 있으면서 요원(了圓)의 『법화영험전(法華靈驗傳)』 간행 비용...이칭별칭만의사(萬義寺)
- 만의사(萬義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오경후 [정의] 경기도 화성군 동탄면 무봉산에 있는 절. [개설] 만의사(萬義寺)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었고, 고려후기에는 천태종의 제8세 혼기(混其)가 법화도량(法華道場)을 연 뒤부터 천태종 사찰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조선시대에는...동의어만의사(萬儀寺) | 관련어비보사찰(裨補寺刹), 화엄법회(華嚴法會), 이유태(李惟泰), 복제(服制), 송시열(宋時烈), 무봉산(舞鳳山), 신조(神照), 천태종(天台宗)
주제어사전(1)
-
법화도량 / 法華道場 [종교·철학/불교]
『법화경』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 불교의식의 하나. 이 법회는 『법화경』의 강설(講說), 법화삼매회(法華三昧會), 법화참법(法華懺法) 등을 중심으로 하여 열린다. 법화도량은 인왕경도량(仁王經道場), 금광명경도량(金光明經道場)과 더불어 호국법회로서의 성격도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