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법화경언해” 에 대한 검색결과 1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6)

  • 선종영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종이 돌아가자 성종의 계비인 정현대비(貞顯大妃)가 성종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원각사(圓覺寺)에서 대대적으로 찍어낸 불경 가운데 하나이다. 이 때 인경한 것은 『 』 50건, 『능엄경언해 楞嚴經諺解』 50건, 『금강경육조해언해 金剛經六祖解諺解』 60건...
    연계항목선종영가집((禪宗永嘉集))
  • 금강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6‧25전쟁 이전까지 보존되어 있었다. 1932년 한용운(韓龍雲)이 책판을 보수하여 많은 부수를 인출하였다. 보판(補板)도 있으므로 원본과의 구별에 주의를 요한다. [내용] 이 책은 『능엄경언해』‧『』‧『원각경언해』와 같은 계통의 중세국어 연구자...
    이칭별칭금강경언해
  • 원각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가‧까’,, ≪금강경언해≫에서 ‘까’로 표기되던 어형이 ‘가로만 표기된 것이다. 어두의 각자병서, 예컨대 ‘쓰다‧다’도 ‘스다‧혀다’로 표기되었다. 이 책에 처음으로 나타난 이러한 표기는 성종 때의 ≪두시언해≫ 등에 계속된다.
  • 능엄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月印釋譜≫와 같이 ‘갱’으로 되어 ‘ㅎ항’으로 된 ≪≫ 이후의 책들과 다르다는 점에서 전문의 연대대로 간행년을 잡는다. 이때 잘못된 곳이 있는 활자본은 대부분 거두어서 붉은 먹으로 교정하거나 인쇄한 쪽지를 덧붙임으로써 목판본과 통일을 기한 것으로 보인다...
  •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견이 없지 않으나, ‘解脫’의 ‘解’자가 『월인석보(月印釋譜)』와 같이 ‘갱’으로 되어 ‘ㅎ항’으로 된 『()』 이후의 책들과 다르다는 점에서 전문의 연대대로 간행년을 보고 있다. 이 때 잘못된 곳이 있는 활자본은 대부분 거두어서, 붉은 먹으로 교정...

주제어사전(1)

  • / [언론·출판/출판]

    1463년(세조 9) 《묘법연화경》을 세조가 구결을 달고 간경도감에서 번역한 책. 목판본 7권. 세조가 간경도감을 세워 불경 언해를 간행할 때,《능엄경언해》이어 간행. 언해본도 1523년(중종 18)·1545년(인종 1)경에 나주의 쌍계사, 1765년(영조 40)경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