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법복” 에 대한 검색결과 17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8)

사전(1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왕과 왕비‧왕세자‧세자빈의 예복을 일컫는 말. [내용] ≪삼국사기≫ 색복조(色服條)에 통일신라가 복식제도를 당나라의 제도로 개혁하여 그 의관이 중화(中華)의 것과 같게 되었다고 되어 있다. 이 때 우리 나라에도 이 제정되었을 가능성...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홍향직(大紅鄕織)으로, 세자빈은 아청향직(鴉靑鄕織)으로 규정하였다. 定奪時所謂衣襨竝指平天冠冕服遠施冠絳紗袍等是乎喩定奪時只云衣襨而不爲指名擧論則自本院有難的知乙仍于, (국장1720/072ㄴ05~07)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복식(服飾) 강사포(絳紗袍), 곤룡포(袞龍袍), 면복(冕服), 원유관(遠遊冠), 익선관(翼善冠), 적의(翟衣), 평천관(平天冠) 의례복(儀禮服), 대례복(大禮服) 면복도(冕服圖), 상의원(尙衣院), 의대(衣襨) 생활
    상위어복식(服飾) | 하위어강사포(絳紗袍), 곤룡포(袞龍袍), 면복(冕服), 원유관(遠遊冠), 익선관(翼善冠), 적의(翟衣), 평천관(平天冠) | 동의어의례복(儀禮服), 대례복(大禮服) | 관련어면복도(冕服圖), 상의원(尙衣院), 의대(衣襨)
  • 갑(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범홍유성갑(凡紅油盛匣), 주홍칠갑(朱紅漆匣) 예복갑(禮服匣) 대례복(大禮服), () 생활 풍속의생활/제구 의복 대한민국 조선 윤양노 [정의]...
    상위어법복(法服) | 하위어범홍유성법복갑(凡紅油盛法服匣), 주홍칠법복갑(朱紅漆法服匣) | 동의어예복갑(禮服匣) | 관련어대례복(大禮服), 법복(法服)
  • 적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때 왕비의 ()에 착용하던 관(冠). [내용] 이것이 처음으로 우리 나라에 선보인 것은 고려 후기인 1370년(공민왕 19) 5월, 명나라 태조후(太祖后)인 효자황후(孝慈皇后)가 왕비에게 적의(翟衣)와 함께 칠휘이봉관(七...

고서·고문서(37)

  • 天地門3_五方神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 西方之神少昊, 乘兌執矩司秋; 北方之神顓頊, 乘坎執權司冬; 中央之神黃帝, 乘坤艮執繩司土.” 漢初, “天子各有其時, 中謁者, 趙堯擧春, 李李: 국중본(가)에는 없다. 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 따라 보충한다. 舜擧夏, 兒湯擧秋, 貢禹擧冬, 四人各職一時. 大謁者襄章奏,...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三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袂肘駁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可乎?袂之餘者,反屈之及於手寸,則足矣。苟至於中節,則此僧衣也,豈先王之哉? 211 ~ 212쪽
    권차명喪禮外編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44846 B044846 대정현 大靜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正祖 8年 1月 5日_031 ... 之義理, 至以十三年不着帽等說, 肆然陳奏於筵席, 究厥腸?, 實與德師·載翰輩, 一串貫來者。 噫, 彼諸賊, 旣皆[伏法], 則顧此群兇, 獨可容貸耶? 情迹旣露, 負犯至重, 決不可...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詩文門2_鵔鸃冠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鵔鸃冠 嚴武《贈子美詩》云: “莫倚善題《鸚鵡賦》, 何須不着鵔鸃冠?” 王世貞云: “鵔鸃是漢世武夫冠. 蓋武之詩, 輕文重武之言也.” 按, 《文獻通考》云: “漢侍中冠武弁大冠, 亦曰惠文冠.” 漢以馬上得天下, 故亦多尙武, 得冠武弁, 鵔鸃是虎賁鶡冠之類也. 《通考》又云: “鵔鸃,...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答茯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nk?DCI=ITKC_MP_0597A_0180_030_0260_2014_004_XML 004 承手書,荷眷良深。木翁幅巾說,明白辨析,無容再評。昔在石菴寺中,亦嘗面論其制樣之是非得失,固已瞭然在胷中矣。然幅巾本非先王之,周公ㆍ仲尼ㆍ子夏ㆍ子游之言,未有及焉。漢時一幅之巾,蓋賤者所...
    권차명文集 卷十八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기초학문(3)

  • 推量敍詞의 韓日對照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정래, 게재일 : 2001
    06381 장정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어일문학회 2001 推量敍詞의 韓日對照硏究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디지털콘텐츠 불제의 상대적 편익과 비용이불제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경자, 게재일 : 2015
    56574 박경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콘텐츠학회 2015 디지털콘텐츠 불제의 상대적 편익과 비용이불제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영화 불제와 문화: 중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자영, 게재일 : 2009
    24655 박자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09 영화 불제와 문화: 중국과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4)

  • 更製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판소 판검의 복쟝을 량로 법부에셔 그도식을 편셩야 졍부회의에 졔츌엿더니 그복이 불긴다야 환퇴고다시졔도여 졔츌라 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3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家舍拍賣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决不減呼並將直錢完繳務望 僉君子移 玉該家請監舍人玩閱至於其他一切事宜每日上午九時下午四時間請至本公舘面訂此告 大領事具鐸 告白
    게재일1903년 4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 家舍拍賣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決不減呼並將直錢完繳務望 僉君子移 玉該家請監舍人玩閱至於其他一切事宜每日上午九時下午四時間請至本公舘面訂此告 大領事具鐸 告白
    게재일1903년 4월 6일 | 기사분류광고
  • 家舍拍賣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決不減呼並將直錢完繳務望 僉君子移 玉該家請監舍人玩閱至於其他一切事宜每日上午九時下午四時間請至本公舘面訂此告 大領事具鐸 告白
    게재일1903년 4월 9일 | 기사분류광고
  • 家舍拍賣廣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決不減呼並將直錢完繳務望 僉君子移 玉該家請監舍人玩閱至於其他一切事宜每日上午九時下午四時間請至本公舘面訂此告 大領事具鐸 告白
    게재일1903년 3월 30일 | 기사분류광고

주제어사전(9)

  • / [생활/의생활]

    왕과 왕비·왕세자·세자빈의 예복을 일컫는 말. ≪삼국사기≫ 색복조(色服條)에 통일신라가 복식제도를 당나라의 제도로 개혁하여 그 의관이 중화(中華)의 것과 같게 되었다고 되어 있다. 이 때 우리 나라에도 이 제정되었을 가능성을 말해주고 있다. 그러나 흥덕왕 복식금제

  • 적말 / 赤襪 [생활/의생활]

    대전의 과 중궁전의 에 신는 붉은색의 버선. 적석에 갖추어 신던 붉은색의 버선. 대전의 인 면복과 평천관 또는 강사포와 원유관을 착용할 때 적석과 함께 신는 왕의 버선이다. 중궁전 에도 대홍당직 적의를 입을 때 적석과 함께 신는다. 대홍광직 또는 대홍

  • 적의 / 翟衣 [생활/의생활]

    왕비의 . 원래 중국에서 후부관복으로 착용하던 예복이다. 우리 나라에서 왕비가 으로 적의를 착용하기 시작한 것은 고려 말기인 1370년(공민왕 19) 명나라 태조후인 효자황후가 중국관복을 보내온 데서 비롯한다. 조선 말기까지 착용하였다.

  • 의대 / 衣襨 [정치·법제]

    왕ㆍ왕세자ㆍ왕비ㆍ왕세자빈의 대례복인 을 제외한 복식. 의대란 옷의 궁중어로서 왕족 등 신분이 높은 사람이 입는 옷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즉 속에 입는 복식이나 을 입지 않을 때 입는 복식이다. 예를 들어 가례시 왕은 으로 면복(면류관ㆍ곤복), 조복

  • 사명대사의금란가사와장삼 / 泗溟大師─錦襴袈裟─長衫 [생활/의생활]

    조선 중기의 고승 사명대사(四溟大師: 1544∼1610)가 입었던 가사와 장삼. . 가사와 장삼은 승려가 착용하는 으로 이 유물은 사명대사가 입었던 25조가사와 면포장삼이다. 현재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표충사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