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법무아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28)
- 법무아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 8아문을 설치하여 7월 20일부터는 아문관제에 따라 직무를 관장하도록 하였다. 법무아문은 구제도 아래서의 형조와 전옥(典獄)‧율학(律學)의 사무를 포함하여 사법행정‧경찰‧사유(赦宥) 및 고등법원 이하 각 지방재판소를 관장하는 부서로 설치되었는데, 1895년...이칭별칭법부
- 의금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관리들의 직무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범죄를 다스렸던 관청. [내용] 1894년(고종 31) 7월 12일 종전의 의금부를 개칭하여 법무아문에 소속하게 하였다. 관리들의 사적인 범죄는 법무아문에서 취급하였다. 직제는 판사(判...이칭별칭법무아문권설재판소(法務衙門權設裁判所)
- 우부승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원은 1인으로 옹제(饔提)를 겸임하도록 규정하였으며, 법무아문(法務衙門)ㆍ공무아문(工務衙門) 등을 방망(房望)하도록 하였다. 『고종실록(高宗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 민사국(民事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민사국 민사국 民事局 법무아문(法務衙門), 법부(法部) 고등재판소(高等裁判所), 갑오개혁(甲午改革), 형사국(刑事局), 한성재판소(漢城裁判所)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대한제국기 고종~순종 왕현종 ...상위어법무아문(法務衙門), 법부(法部) | 관련어고등재판소(高等裁判所), 갑오개혁(甲午改革), 형사국(刑事局), 한성재판소(漢城裁判所)
- 판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법부(法部)의 관직. [내용 및 변천사항] 1894년(고종 31)의 갑오경장 당시 관제개편의 결과 종래의 형조가 법무아문(法務衙門)으로 바뀌고 의금부가 의금사(義禁司)로 개칭되면서 법무아문의 소속이 되었다. 이 의...
고서·고문서(5)
- 李埈公實錄資料 3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43007132014300713_001 李埈公實錄資料 3 자료제248호 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60 03 5 1894년 12월 16일(음력) 義禁司의 이름을 法務衙門權設裁判所로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07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3110 B063110 도배 島配 도서 일반 高宗實錄 三十二年(1878) 三月 고종실록_13203022_001 ... 生命을 濫殺옴이 多오며 又此 因와 亂萌을 激發오 當律을 未勘와 公議가 怫鬱오니 法務衙門으로 야곰 拿問야 原贓을 追徵온 後에 勘處...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此 因와 亂萌을 激發오 當律을 未勘와 公議가 怫鬱오니 法務衙門으로 야곰 拿問야 原贓을 追徵온 後에 勘處오며 古今島島配罪人趙弼永은 多年督運으로 苛酷을 專事와 毒을 一省에 流야 匪亂을 釀成온지라 其罪 已往島配으로 仍置올길 업사오니 道臣으로 야...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와 亂萌을 激發오 當律을 未勘와 公議가 怫鬱오니 法務衙門으로 야곰 拿問야 原贓을 追徵온 後에 勘處오며 古今島島配罪人趙弼永은 多年督運으로 苛酷을 專事와 毒을 一省에 流야 匪亂을 釀成온지라 其罪 已往島配으로 仍置올길 업사오니 道臣으로 야곰 押上...출처전거高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은 변화가 있었는데 가장 큰 변화는 사형제도를 개혁하여 凌遲, 刑處斬刑을 폐기하고 민간인에게는 絞首刑, 군사범죄에는 銃殺刑을 실시하게 한 것, 종래의 五刑 중 유형‧장형‧도형을 폐지하고 징역형을 도입한 것 등이었다. 유형 폐지 방침은 법무아문대신인 徐光範에 의하여 발의...제목민종식 판결선고서(閔宗植 判決宣告書) | 사건유형내란 | 소장처국가기록원
주제어사전(4)
-
법무아문 / 法務衙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법무 행정을 관장하던 중앙관청. 법무아문은 구제도 아래서의 형조와 전옥, 율학의 사무를 포함하여 사법행정, 경찰, 사유 및 고등법원 이하 각 지방재판소를 관장하는 부서로 설치되었는데, 1895년 4월 1일 칙령 45호로 관제를 공포하고 법부로 개칭하였다.
-
법부 / 法部 [역사/근대사]
1895년 4월에 법무 행정을 관장하던 관청. 1894년 형조의 소관 업무를 계승하였던 법무아문을 개칭하였다. 법부 안에는 대신관방, 민사국, 형사국, 검사국, 회계국 등을 설치하였고, 고등재판소와 법관양성소 등을 관할하였다. 그 뒤 1899년에 법부 4국은 사리국,
-
우부승선 / 右副承宣 [역사/근대사]
구한말 승선원의 관직. 1894년 관제가 개편되면서 궁중과 부중을 구분하여 의정부와 궁내부를 두었다. 이 개편의 일환으로 종래의 승정원을 고쳐 승선원을 두었는데 이 관직의 하나이다. 정원은 1인으로 옹제를 겸임하도록 규정하였으며, 법무아문, 공무아문 등을 방망하도록
-
이용원 / 李容元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문신(1832∼1911). 1890년 예조참판으로서 민씨 척속들이 고종의 왕위선양을 모의하자 이에 항의하다가 흑산도로 유배되었다 1894년 정치개혁으로 풀려났다. 이조판서·법무아문대신·우찬성·중추원일등의관·궁내부특진관 등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