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법규교정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21)
- 법규교정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추진된 광무개혁(光武改革)으로 인하여 설치되었으며, 우리나라에 있어서 최초의 헌법이라고 할 수 있는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를 반포하였다. 이는 전문 9조로 되어 있으며, 내용은 모든 통치권이 황제에게 집중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법규교정소는 총재‧의정관(議定...
- 법규교정소(法規校正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법규교정소 법규교정소 法規校正所 의정부(議政府) 교정소(校正所), 교전소(校典所),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대한제국기 고종 왕현종 1899년(고종 36) 1902...상위어의정부(議政府) | 관련어교정소(校正所), 교전소(校典所),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
- 윤정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실사무를 관장하였다. 1900년에 일본인과 직산금광채굴합동조약을 맺었고, 궁내부관제를 새로운 관제로 개정하였으며, 또한 법규교정소(法規校正所)의 의정관이 되어 대한국국제(大韓國國制) 제정에 참여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정부찬정을 지냈다.이칭별칭 사교(士交)| 하운(下雲)
- 이채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법규교정소의정관(法規校正所議定官)에 임명되었다. 『고종실록(高宗實錄)』 『순종실록(純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 민경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1900년 법규교정소의정관(法規校正所議定官)으로 있다가 내부협판이 되어 시강원첨사와 서북철도국감독을 겸임하였다. 1901년 법부대신임시서리 조병식(趙秉式)의 탄핵으로 15년 유배형을 받고 백령도로 귀양을 갔으나 곧 방면되었고, 이듬해 2월 특별히 징계를 면하게 되었다....
고서·고문서(6)
- 李太王實錄資料 2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2019382016201938_001 李太王實錄資料 24 자료제22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46 0001 119 1899년 12월 15일(음력) 閔泳煥을 法規校正所 副總...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2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2019392016201939_001 李太王實錄資料 24 자료제23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46 0001 120 1910년 2월 27일(음력) 法規校正所 總裁가 유고시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2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2019402016201940_001 李太王實錄資料 24 자료제24호 韓國官報 궁내청 공문서관 85346 0001 121 1899년 8월 17일 詔令을 내려 法規校正所로 하여금 나라...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2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2019472016201947_001 李太王實錄資料 24 자료제31호 李太王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46 0001 128 申箕善•李鍾健•閔泳喆 등을 法規校正所 議定官로 차하하는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李太王實錄資料 24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hlensteth〕를 法規校正所 議定官에 차하하는 내용으로 『李太王日省錄』(501)에서 채록하였다. 정욱재 2016. 12. 06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6. 12. 0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타자료(2)
- 40. 대한국 국제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40. 대한국 국제 n°271 Constitution Coréenne C, N 정치 법제, 국제 문헌, 인물, 제도 근대 서울 고서/고문서 대한제국 황제의 원수부 설립 계획 원수부, 대원수, 법규교정소, 군주권리, 칙령 프랑스어 ...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9년 | 작성월일8월 22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 40-1. 별첨 1―대한국 국제 내용 확정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국제 내용 확정 법규교정소, 권력, 기본법, 왕권, 국제, 공표, 조칙, 자주독립, 절대왕정, 자립정체, 계엄, 해엄, 자정율례, 자치행리, 자선신공, 자견사신 프랑스어(번역) 1_CFD40-1.pdf (탈초)1_CFD40-1.pdf pdf ...집필자법규교정소 위원 | 작성연도1899년 | 작성월일8월 17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1)
-
법규교정소 / 法規校正所 [역사/근대사]
으며, 내용은 모든 통치권이 황제에게 집중되도록 규정하고 있었다. 법규교정소는 총재, 의정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한국국제'를 제정할 즈음에는 거의 보수적인 자들로 구성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