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법강” 에 대한 검색결과 2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2)

사전(8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경연(經筵)과 서연(書筵)의 정규 강의. [내용] 조강(朝講)‧주강(晝講)‧석강(夕講)의 3종이 있었다. 경연이나 서연에는 이외에도 소대(召對)‧야대(夜對) 등의 비정규 강의가 있었다. 경연과 서연은 고려시대부터 행...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강(三講) 경연(經筵), 조강(朝講), 주강(晝講), 석강(夕講) 왕실왕실문화|정치/행정/관청 개념용어 정재훈 [정의] 조선시대에...
    동의어삼강(三講) | 관련어경연(經筵), 조강(朝講), 주강(晝講), 석강(夕講)
  • TD_I8_S_0002 書牘勝面論 학문체계 爲學, 工夫, 接續, 間斷, 精神, 誠意, 朋友, 麗澤, 盍簮, 講訂, 相見, 質問, 面論, 抄寫, 專意, 細考, 口談, 書牘, 愼思, 深造, 文字, 反覆, 商訂, 儒術, 閭塾, 人主, , 敬畏, 見聞, 紬繹,...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7권 1장 3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종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업 양방면을 지도 감독함.”이라고 규정되어 있다. 교조 생존시에는 자동적으로 추대되었으나 교조가 사망한 후 종법사제도는 구체화되었다. 선출자격은 출가위(出家位) 이상을 원칙으로 하고, 그에 해당하는 인물이 없을 때에는 항마위(降魔位) 중에서 선출한다....
  • 예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라는 취지에 불과하므로 그 신원보증계약은 당연히 무효라고는 할 수 없다는 것이다. 最新行政義(朴鈗炘, 法文社, 1985)

고서·고문서(118)

  • 불란서식민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
    분류법/관습법 | 소장처日本国立国会図書館,東京大学総合図書館,東京大学経済学図書館,大阪市立大学学術情報総合センター,京都大学附属図書館,甲南大学図書館,神戸市外国語大学学術情報センター,同志社大学図書館今出川図書館 | 출판사臨時薹湾舊慣調査会
  • 下未六 昔朕來自奄 【蔡云:“詳此章,則商民之遷,固已久矣 ○梅云:“大下汝民命。” ○蔡云:“降,猶今等。”】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70_0020 下未六 昔朕來自奄 【蔡云:“詳此章,則商民之遷,固已久矣 ○梅云:“大下汝民命。” ○蔡云:“降,猶今等。”】 정약용(丁若鏞) 雜著...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朝鮮国ニ於ケル本邦人貿易権回復究一件 附貿易商民ニ制限ヲ設クル渡辺副領事ノ意見 - 分割1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
    일본인들이 조선에 대한 무역권 회복을 강구해달라는 요청
    작성국가일본 | 원소장처外務省外交史料館 | 발신일1887.5.9-1888.7.6
  • 무안항 경무서 경비 중 흥덕군에 훈획한 금액을 아직도 받아내지 못했다고 경위원에서 조회가 왔으며, 근래 이 해이하여 획정을 변경할 경우 해당 금액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즉시 지급하도록 하라는 훈령 기안.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미제침략자들은 남조선에서 즉시 무조건 완전히 물러가라 (남조선을 불점하고 침략과 새 전쟁도발에 미쳐 날뛰고 있는 미제의 범죄행위를 전면적으로 폭로규탄하고 남조선으로부터 미제침략군이 즉시 물러갈 것을 강력히 요구 - 군사정전위원회 제305차 회의에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미제침략자들은 남조선에서 즉시 무조건 완전히 물러가라 (남조선을 불점하고 침략과 새 전쟁도발에 미쳐 날뛰고 있는 미제의 범죄행위를 전면적으로 폭로규탄하고 남조선으로부...
    대표표제어미제침략자들은 남조선에서 즉시 무조건 완전히 물러가라 (남조선을 불법강점하고 침략과 새 전쟁도발에 미쳐 날뛰고 있는 미제의 범죄행위를 전면적으로 폭로규탄하고 남조선으로부터 미제침략군이 즉시 물러갈 것을 강력히 요구 - 군사정전위원회 제305차 회의에서) | 저작권자로동신문사(북한)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미제침략자, 불법, 도발, 범죄행위, 규탄, 군사정전위원회, 판문점

신문·잡지(68)

  • 小賣經營習 元山商工서 主催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小賣經營習 元山商工서 主催 1936년 8월24일 원산 원산 원산상공회의소는 9월 14, 15일 소매상 자체의 경영...
    대표표제어小賣經營法講習 元山商工서 主催 | 연월일1936년 8월24일 | 지역원산
  • 죠셔 젼 부대신 민영환과 젼 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셔 젼 부대신 민영환과 젼 학부대신 리도와 젼 외부대신 박졔슌은 다 특별히 면징게 고 인야 젼 벼을 기라 옵시고 유긔환 리긔동은 임의 갓쳣다가 즉시 피신 엿스니 비록 소요 이나 으로 헤아리 엇지 이러 리오 다 십년 뎡라 옵시다
    게재일1898년 11월 30일 | 기사분류별보
  • 민법 강의의 개요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민법 강의의 개요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7호 民義의槪要 1907. 06. 01. 잡조 161 494~497 박성흠(朴聖欽) 대한제국 민법 강의의 개요에 대한 글 민법, 강의, 개요, 법률,...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7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민법 강의의 개요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민법 강의의 개요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8호 民義의槪要 1907. 07. 01. 잡조 183 559~564 편집부 대한제국 민법 강의의 개요에 대한 글 법률, 공법, 사법, 권리, 의무,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8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민법 강의의 개요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민법 강의의 개요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13호 民義의槪要 1907. 12. 01. 잡조 310 926~932 편집부 대한제국 민법 강의의 개요에 대한 글 자연인, 본국인, 외국인, 미성년자...
    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1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3)

  • 교육공무원좌 기이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공무원좌 기이 교육공무원좌 기이 敎育公務員座 其二 교육 문헌 교원 임용ㆍ승진ㆍ평가 교육법령 법령 교육총류
    범주1교원 | 형식잡지 | 사료철명문교월보
  • 교육공무원좌 기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공무원좌 기삼 교육공무원좌 기삼 敎育公務員座 其三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교육법령 법령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사료철명문교월보
  • 교육공무원좌 기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공무원좌 기사 교육공무원좌 기사 敎育公務員座 其四 교육 문헌 교육법령 법령 교육총류 교육학 교원
    범주1교육법령 | 형식잡지 | 사료철명문교월보

주제어사전(4)

  • / [교육/교육]

    조선시대 경연과 서연의 정규 강의. 경연이나 서연에는 이외에도 소대·야대 등의 비정규 강의가 있었다. 경연과 서연은 고려시대부터 행해져왔으나 1420년(세종 2) 집현전이 설치된 뒤 본격적으로 운영되었다. 그리하여 세조 때의 13년을 제외하면 경연과 서연은 왕

  • 조선어철자좌 / [언어/언어/문자]

    장지영(張志暎, 1887∼1976)이 1930년 조선일보에 55회에 걸쳐 연재한 것을 묶은 맞춤법 해설서. 장지영이 조선일보에 1930년 3월 18일에 “철자법 강좌를 두게 됨에 림하야”라는 제목 아래 서문에 해당하는 글을 먼저 쓰고, 4월 1일부터 연재하기 시작하였는

  • 법위 / 法位 [종교·철학/원불교]

    원불교의 인격 단계에 관한 교리. 법위등급이라고도 한다. 등급은 기초단계로서 보통급, 특신급, 법마상전급의 3급이 있고, 성위(聖位)의 단계로서 항마위, 출가위, 대각여래위의 3위가 있으며, 각 등급의 중간에 예비 등급을 두고 있다. 이 교리는 교조 이후 현재에

  • 장지영 / 張志暎 [언어/언어/문자]

    . 5.) 교사(국어·수학), 서울의 상동청년학원(尙洞靑年學院, 1912. 9.∼1914. 8.) 교사(국어·수학) 겸 학감, 경신중학교(儆新中學校) 교사 (국어·수학)겸 교무주임을 역임하였다. 주요저서로는 ≪조선어전≫(중등말본책, 유인본, 1924)·≪조선어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