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범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6)
사전(148)
- 범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불교의 의식음악. 일명 범음(梵音)‧어산(魚山) 또는 인도(印度, 引導) 소리라고도 한다. [내용] 절에서 주로 재(齋)를 올릴 때 부르는 소리이며, 가곡‧판소리와 더불어 우리 나라 3대 성악곡 중의 하나이다. 범패는 장단이 없...이칭별칭범음(梵音)|어산(魚山)|인도(印度)|인도(引導)
- 범패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절에서 주로 재(齋)를 올릴 때 부르는 노래.정의절에서 주로 재(齋)를 올릴 때 부르는 노래.[두산백과] | 문광부표기beompae | MR표기pŏmp’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梵唄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D2_O_0084 梵唄 불교 范敗, 禪音, 吟聲, 引導, 長歌 僧適之, 王世貞, 湯惠休, 賈島, 蔡京, 郭震卿, 劉勰, 劉之遴, 張纘, 饒德操, 方以智, 炟, 曌 金壺字考, 宛委餘編 O_14_01_01 오주연문장전산고 14권 1장 1...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범패(梵唄)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범패 범패 梵唄 범음(梵音), 어산(魚山), 인도(印度) 소리, 인도(引導) 소리 문화예술/음악 개념용어 배인교 [정의] 불교 의식에 사용하는 음악. [개설] 범패(梵唄)는 범...관련어범음(梵音), 어산(魚山), 인도(印度) 소리, 인도(引導) 소리
- 산보범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범패가사 등을 수록한 선가의 범음의식집(梵音儀式集). [내용] 2권 1책. 목판본. 1713년(숙종 39) 묘향산(妙香山) 보현사(普賢寺)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월제(樾諸)가 쓴 서문이 있다. 서문에서 범패를 하는 자는 범패로써 교법...
고서·고문서(31)
- 經史門9_關雎鵲巢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關雎鵲巢 二《南》, 皆起於匹鳥, 終於仁獸, 卽食色之戒也. 食色, 天性也, 無物不有, 凡敗度敗禮, 皆由此出. 匹則不亂群, 仁則不妄殺, 生民之所當先愼. 爲人主, 不敢放忽, 則爲國乎何有?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전송문_全宋文7006 進蜀先主唐太宗東征故事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3713 중국 총서 전송문 064 기타 全宋文7006 進蜀先主唐太宗東征故事 蜀先主將東征孫權 群臣多諫 不從 大軍敗績 諸葛亮歎曰 法孝直若在則能制主上東行 就欲東行 必不傾危矣 唐太宗欲自征高麗 群臣多諫 不聽凡拔十城 上以不能成功 深悔之 歎曰 魏徵若在 不...국가중국 | 서명전송문 | 왕대기타
- ○손자를 돌보면서 당(堂)에서 잤다 [16세기 역사상의 재해석 :『묵재일기(默齋日記:1535〜1567)』교감(校勘) 및 역주(譯註) 사업 | 서울대학교]벼 4말을 보태주어 보냈다. 따라온 승 세옥(世玉)이 인도(引道) 소리를 잘 한다기에, 범패(梵唄)를 지어보게 했더니 과연 대단했다. ○내려가 밥을 먹고 십행기(拾行碁)를 두었다. ○괴산(槐山) 태수(太守)가 답장에 이르기를, “무덤 한가운데 큰 말뚝을 박은 것을 어떤...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4016 B064016 도중 島中 도서 일반 中宗實錄 三十七年(1542) 閏五月 중종실록_13705117_001 ○丙寅 / 以禮曹修答對馬主書契,【其書啓略曰: “書表就審, 迪吉開慰。 但反覆辱書, 了無感戴寵賜之意, 多爲不遜未滿之語。 禮失敬順, 事犯悖上, 深所未喩, 良用...출처전거中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夜游資孝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k?DCI=ITKC_MP_0597A_0030_010_1260_2014_001_XML 001 墟煙起處谷雲沈,寥落峯巒壓殿陰。一澗縈廻通野徑,數僧棲息有秖林。巖松欲黑星初動,山麥猶靑雪未深。久厭喧卑鐃吹聒,故將梵唄和鳴琴。 禪樓飯罷夕鍾沈,微月斜飛萬壑陰。地僻藤蘿常覆屋,天寒松栝自成林...권차명詩集 卷三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7)
- 범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장소제주도 제주 | 제보자미상
- 범패 시나위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범패 시나위 공연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G-025 238 서울 공연녹음자료 1) 1979년 국립극장에서 공연된 범패와 시나위 공연녹음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불교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소암
- 범패 시나위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범패 시나위 공연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G-025 238 서울 공연녹음자료 1) 1979년 국립극장에서 공연된 범패와 시나위 공연녹음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불교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장벽응
- 범패 시나위 공연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범패 시나위 공연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G-025 238 서울 공연녹음자료 1) 1979년 국립극장에서 공연된 범패와 시나위 공연녹음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불교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호
- 송암스님 서울재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중 불교음악 범패 작법 서울재 옹호계 팔부금강호도량 헌좌계 불교음악 미상 미상 14:20 00:00 A면 옹호계 팔부금강호도량 헌좌계B면 없음소리 송암스님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불교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송암스님
기초학문(7)
- 영남범패 분석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소희, 게재일 : 201252937 윤소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12 영남범패 분석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12
- 한국 근대불교의 의례와 범패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한상길, 게재일 : 201130116 한상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선학회 2011 한국 근대불교의 의례와 범패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범패 홋소리의 음조직 유형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장휘주, 게재일 : 200927985 장휘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9 범패 홋소리의 음조직 유형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영제와 경제범패의 비교 연구 - 용운스님과 송암스님 범패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윤소희, 게재일 : 201558110 윤소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15 영제와 경제범패의 비교 연구 - 용운스님과 송암스님 범패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호남 범패의 전승과 특징-전북 영산작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미선, 게재일 : 200538971 임미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5 호남 범패의 전승과 특징-전북 영산작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05
기타자료(3)
- 36. General orders number 100 : Award of the meritorious service unit plaque : 명령서 / Crump Garvin Brigadier General General Staff Corps Chief of Staff, 1946.06.2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Crump Garvin이 보고한 모범패 수상에 대한 내용임. 모범적인 행태에 대해 1595번째 엔지니어링 건설 병참부대가 수상을 하였음. 이 분견은 1945년 9월 23일부터 1946년 1월 28일까지 한국에서 매우 까다로웠던 과제를 모범적으로 처리하였음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rump Garvin Brigadier General,General Staff Corps, Chief of staff | 수신자"X"
- 50. General orders number 114 : Award of the meritorious service unit plaque : 명령서 / Crump Garvin Brigadier General General Staff Corps Chief of Staff, 1946.07.30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cer, 29th General Hospital 숙명여자대학교 Crump Garvin이 Charles Ennis에게 보낸 모범패 수상에 관한 내용임. 군 병원 29번째 분견은 뉴 칼도니아에서 1944년 1월 1일부터 1945년 4월 17일...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rump Garvin Brigadier General,General Staff Corps, Chief of staff | 수신자The adjutant General, Washington 25, D.C., The Adjutant General, Washington 25. D.C., Director, Bureau Public Relations, CINCAFPAC, Public Relations Officer, Historical Officer, 29th General Hospital
- 남생이 당군에 합류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乾封元年) 九月 同善破高麗兵 男生帥師來會 (玉海 191 兵捷 兵捷 露布 3 唐遼東道行臺大摠管李勣俘高麗 獻俘昭陵 檄高麗 含元殿數俘) 【원문】 乾封元年 又爲遼東道行軍大總管兼安撫大使 高麗有衆十五萬 屯於遼水 又引靺鞨數萬據南蘇城 何力奮擊 皆大破之 斬首萬餘級 乘勝而進 凡...대표표제어남생이 당군에 합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6년(丙寅/신라 문무왕 6/고구려 보장왕 25/唐 麟德3, 乾封 1/倭 天智 5)
주제어사전(15)
-
범패 / 梵唄 [종교·철학/불교]
불교의례에서 공연되는 음악. 넓은 의미의 범패는 성악, 기악, 무용 등의 불교음악을 전부 종합한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범패를 성악에 한정하여 이해하고 있다. 범패는 예수재, 수륙재 등과 같은 불교 고유의 의례에서 공연된다.
-
이범호 / 李梵湖 [예술·체육/국악]
생몰년 미상. 범패(梵唄)의 명인. 백련사(白蓮寺)의 승려로서, 같은 절의 서만월(西滿月)을 사사하여 봉원사의 이월하(李月河)와 함께 그 명성을 떨쳤다. 제자로는 백련사의 유창렬(柳昌烈), 학도암(鶴到庵)의 김운공(金耘空)과 김보성·안덕암(安德庵)·만허(滿虛) 등 출
-
작법 / 作法 [예술·체육/무용]
범패의식이다.범패의식은 범패(梵唄)와 범무(梵舞)로 나눈다. 범무는 작법무라고도 하는데, 사설과 진언 등에 맞추어 소품을 들고 의상을 갖춰 입고 추는 춤을 말한다. 범패(梵唄)가 성음 즉, 목소리로 불전에 공양드리는 것이라면, 작법은 신업(身業) 즉, 몸 동작으로 공양
-
탑돌이 / 塔─ [생활/민속]
대중화하면서 민속놀이로 변천되었다. 이에 따라, 처음에는 불교음악으로 법악기(法樂器)인 범종(梵鐘)·운판(雲板)·목어(木魚)·법고(法鼓)를 치면서 범패(梵唄)와 염불만 하였으나, 뒤에 와서 삼현육각(三絃六角)이 연주되고 <포념 布念>·<백팔정진가 百八精進歌> 등 민요풍
-
가영 / 歌詠 [예술·체육/국악]
범패에서 불려지는 음악. 부처나 여러 신들을 불러놓고 그 신들의 공덕을 찬양하는 소리로서 신에 따라 「가영」의 사설이 모두 달라진다. 따라서, 수십가지의 「가영」이 있다. 안채비소리·홋소리·짓소리 등으로 부르는데, 짓소리는 전하지 않아 지금은 불리지 않는다. 흔히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