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범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54)
사전(299)
- 낙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시대 승려. [내용] 보시행(布施行)으로 이름높은 범어사의 승려이다. 낭백(浪伯)ㆍ만행(萬行) 수좌라고도 한다. 일찍이 동래 범어사에 출가, 보시행을 발원하여 자신이 가진 모든 재물을 가난하고 병든 사람에게 모두 보시하...이칭별칭낭백(浪伯)|만행(萬行)|수좌
- 범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바위 한가운데 샘이 있으며 그 물빛은 금색(金色)에다 물 속에 범천(梵天)의 고기가 놀았다. 그래서 산명을 금정산(金井山)이라 하고, 절을 범어사(梵魚寺)라 한다.”고 하였다. 범어사의 역사를 기록한 문헌으로는 1700년(숙종 26)에 동계(東溪)가 편찬, 간행...
- 보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승려. [내용] 선승(禪僧). 호는 회산(晦山). 어려서 부산 범어사(梵魚寺)로 출가하였고,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송광사ㆍ보림사(寶林寺)ㆍ대흥사(大興寺) 등지를 순례하며 인곡(仁谷)ㆍ법천(法泉) 등으로부터...이칭별칭 회산(晦山)
- 범어사(梵魚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범어사 범어사 梵魚寺 금정총림(金井叢林) 경허(鏡虛), 금정산성(金井山城), 선원(禪院), 선찰(禪刹), 의상(義湘), 표훈(表訓), 화엄십찰(華嚴十刹) 문화종교/불교 개념용어 대한민국 윤기엽 ...동의어금정총림(金井叢林) | 관련어경허(鏡虛), 금정산성(金井山城), 선원(禪院), 선찰(禪刹), 의상(義湘), 표훈(表訓), 화엄십찰(華嚴十刹)
- 범어역(凡於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범어역 범어역 凡於驛 성현도(省峴道) 경주도(慶州道), 대구도호부(大丘都護府), 수성군(壽城郡), 역도(驛道), 역로(驛路), 김천도(金泉道) 경제교통/육운 집단 기구 대구 조선 정요근 고려 1...상위어성현도(省峴道) | 관련어경주도(慶州道), 대구도호부(大丘都護府), 수성군(壽城郡), 역도(驛道), 역로(驛路), 김천도(金泉道)
고서·고문서(739)
- 범어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4206 P-SDK-04206-P-M-01-01 P-SDK-04206-P-M-01-01-1 P-SDK-04206-P-M-01-01-2 범어사 VIEW OF BUDDHIST TEMPLE, BONGYOJI 범어사의 입구 봉투 없음. 세트불명. 1...자료명범어사 | 발행처棧橋食堂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동래 범어사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1501 P-SDK-01501-P-E-06-02 P-SDK-01501-P-E-06-02-1 P-SDK-01501-P-E-06-02-2 동래 범어사 VIEW OF BUDDHIST - TEMPLE, BONGYOJI 부산 명소 회엽서 봉투 있음.자료명동래 범어사 | 발행처釜山棧橋食堂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범어사 산문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1529 P-SDK-01529-P-E-08-06 P-SDK-01529-P-E-08-06-1 P-SDK-01529-P-E-08-06-2 범어사 산문 梵魚寺の山門 남선의 항도 부산의 색채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서 사회 사찰 ...자료명범어사 산문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범어사창건사적(梵魚寺刱建事蹟)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범어‧파문석각(梵語‧波紋石刻)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금석문 | 형식분류고서-금석문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구술자료(7)
- 범어굴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가 끝나자 이어서 앞산 범어굴에 관한 이야기가 시작됐다. 제보자는 지금까지 듣기만 하다가 처음으로 이 이야기를 했다. 유그미들 이야기를 듣고는 주위의 자연물에 관한 이야기도 이야기 꺼리가 된다고 생각한 것 같다. 범어굴은 마을에서 바라볼 수 있는 곳에 ...조사일시1979-04-06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외동면 석계1리 | 제보자장분이
- 범어사 사당이 다시 지어진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산성마을에 관계된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하자, 범어사 북문의 사당이야기를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 1. 28(목) | 조사장소부산시 금정구 금성동 중리마을 돌집식당 | 제보자차옥자
- 부산에서 가장 큰 범어사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범어사 관련 이야기의 제보를 적극적으로 구연해주었다.조사일시2010. 1. 28(목) | 조사장소부산시 금정구 금성동 중리마을 돌집식당 | 제보자차옥자
- 범어사 앞의 계명봉의 유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범어사에 관한 이야기를 연속으로 구연해 주었다. 적극적인 자세로 구연에 임해주었다.조사일시2010. 1. 28(목) | 조사장소부산시 금정구 금성동 중리마을 돌집식당 | 제보자차옥자
- 범어사의 상마, 하마 마을의 유래에 관한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사가 끝나갈 무렵에 제보자가 다시 어떤 이야기가 생각이 난다며 이야기를 구연해 주었다.조사일시2010. 1. 21(목) | 조사장소부산시 금정구 노포동 작장마을 박용진씨 댁 | 제보자박용진
기초학문(21)
- 범어의 음성학적 체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엄혜용, 게재일 : 200348054 엄혜용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03 범어의 음성학적 체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실담 범어의 음역과 원어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승석, 게재일 : 200823057 정승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08 실담 범어의 음역과 원어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범어 문자의 성립과 사유방식의 변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안성두, 게재일 : 200308952 안성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03 범어 문자의 성립과 사유방식의 변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삼국유사에 구사된 범어 음역의 원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20406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09 삼국유사에 구사된 범어 음역의 원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범어의 자모 사용 빈도와 음성학적 특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정승석, 게재일 : 200309552 정승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인도철학회 2003 범어의 자모 사용 빈도와 음성학적 특성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148)
- 梵魚寺 (범어사)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작품명_원문梵魚寺 | 게재일19261125 | 게재판석 | 게재면07 | 게재단1-2
- 致謝捐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동범어동 셜방에 본샤지필로 삼환을긔부얏고 파쥬한리즁에셔 십젼을 긔부얏스니 감샤일이더라게재일1907년 5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馬師向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범어교 태을씨는 무일을 인공엿는지 쥬쳥공 박졔슌씨를 동하야 쳥국으로 향하엿다더라게재일1902년 9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郵便物遲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동읍범어동셜도쳥에셔 본신문을구람바 신문을 우편국에셔 톄젼부로 젼치안이코 불과지쳑에셔 인편에젼 양지완야 구람미업다니 디방에신칙게재일1907년 1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선문촬요(禪文撮要) 4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선문촬요(禪文撮要) 44 禪門撮要 선문촬요 형태서지 [鏡虛 編] [朝鮮] [韓國] 木板本 東萊 梵魚寺 1908年(隆熙 2) 1冊 卷末 刊記: 隆...대표표제어선문촬요(禪文撮要) 44 | 대표서명禪門撮要 | 한글서명선문촬요 | 서지형태형태서지
멀티미디어(4)
- 울산 범어 유적 ll5-0133_#1 유구 13호묘(북침 확인) ll5-0133_1_2015-04-27_4693_13호묘(북침 확인).JPG ll5-0133_#2 유구 16호묘(일반적 형태) ll5-0133_2_2015-04-27제목울산 범어 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대구 범어동 379번지 유적 -대구 수성구 범어동 379번지 일원 공동주택부지내-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대구 범어동 379번지 유적 -대구 수성구 범어동 379번지 일원 공동주택부지내- bb6-0081_#1 유구 사진12. Ⅰ-1호 기와가마 세부(①;전경, ②;소성실, ③;연소실, ④;화구부, ⑤;주혈) 2015-03-03_0.499325_사진12.제목대구 범어동 379번지 유적 -대구 수성구 범어동 379번지 일원 공동주택부지내-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문화재 보수 5개년 계획에 따라 전국 각 지역의 문화재에 대한 보수공사가 실시된다. 창경원, 경복궁, 덕수궁, 종묘를 비롯해, 범어사 대웅전, 남한산성 남문 법주사 팔상전 등 많은 문화재들을 해체, 개‧보수하게 된다. 이 작업에는 관련 학자들의 자문, 지원을 받아 이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69년 3월 26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22058_용인마북리건물지_사진8.2지구 출토 東자 명문기와.jpg l6-0036_6 유물 용인마북리건물지_사진11.2지구 출토 범어 명문기와 2013-05-29_0.9892542_용인마북리건물지_사진11.2지구 출토 범어 명문기와.jpg제목용인 마북리-건물지유적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36)
- 울산 범어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ll5-0133 유구 2014-07-29_0.366955_울산범어유적 표지.jpg 울산 범어 유적 蔚山 범어 遺蹟 2000 울산대학교박물관/울산광역시종합건설사업본부 153 전호태,안재호,김영민 전호태,김영민,김경화,김도헌,서정주 울...발행연도2000 | 발굴기관울산대학교박물관/울산광역시종합건설사업본부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대구 범어동 379번지 유적 -대구 수성구 범어동 379번지 일원 공동주택부지내-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bb6-0081 유구 2015-03-03_0.0759241_영남문화재연구원_대구 범어동 379번지 유적 -대구 수성구 범어동 379번지 일원 공동주택부지내-_표지.JPG 대구 범어동 379번지 유적 -대구 수성구 범어동 379번지 일원 공동주택부지내-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재)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대구광역시
- 배병혁;裴炳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9770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4면 배병혁;裴炳赫 대구부 수북면 범어동 5-6 제2회 4246년 3월 22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만달;金萬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9782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5면 김만달;金萬達 대구부 북면 범어동 7-3 제2회 4246년 3월 22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경주;金敬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64449 일본 東京 東洋大學 東洋大學一覽 1925년도 1925―12―25 147면 김경주;金敬注 경상남도 동래군 북면 범어사(명정보통학교장)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洋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2)
-
범어 / 梵語 [언어/언어/문자]
형식으로도 남겨져 있다. 범어는 늦어도 삼국시대에는 한반도에 유입된 것으로 보이며, 특히 불교가 국교였던 통일신라와 고려 시대를 통해 불교의 위세와 함께 범어에 대한 지식과 어휘도 한반도와 한국어에 다양한 방식으로 확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가사, 건달, 나무아미타불,
-
범어사 동종 / 梵魚寺銅鐘 [예술·체육/공예]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종.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0호. 높이 126㎝. 1728년(영조 4)에 제작되었으며, 선암사종루종(仙巖寺鐘樓鐘, 1700년)·옥천사종(玉泉寺鐘, 1708년)·만수사종(萬壽寺鐘, 1710년) 등을 제작하였던 김성원
-
화음방언자의해 / 華音方言字義解 [언어/언어/문자]
음의 변천에서, 또는 한어(漢語)나 범어(梵語)에서 그 어원 및 변천과정을 비교, 설명하였다. 실학시대 국어학 연구업적 가운데 어원연구로서는 가장 깊이 들어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나치게 독단적으로 해석을 내린 듯한 면이 흠이다.
-
게송 / 揭頌 [문학/한문학]
불교적 시의 한 형식. 게는 범어(梵語)인 가타(Gatha) 또는 기야(Geya)의 음역(音譯)인 가타(伽陀)·게타(偈陀) 또 는 기야(祇夜)를 약칭하여 게(偈)라 하였다. 한시(漢詩)의 송(頌)의 일종이기 때문에 합하여 게송이라 하게 되었다. 게송은 범어와 한자어가
-
금수암 / 金水庵 [종교·철학/불교]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구계산에 있으며 1910년 동호가 창건한 절. 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인 범어사의 말사이다. 1923년 석봉이 중건하였으며, 1953년 법홍이 심우당을, 1963년 대광명전을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당우로는 대광명전과 대웅전, 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