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번역소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
사전(5)
- 번역소학(飜譯小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번역소학 번역소학 飜譯小學 철학유교 문헌 한국 조선 중종 성낙수 박종국 2014 김전(金詮), 최숙생(崔淑生) 등 찬집청 1518년(중종 13) 10권 10책 서울대...
- 번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학 翻譯小學≫(1518, 중종 13)으로 번역, 출판된 지 약 60년 만에 ≪소학언해 小學諺解≫(1587, 선조 20)로 다시 번역되었는데, 전자가 의역이고 후자가 직역이다. ≪소학언해≫의 범례에 의하면, ≪번역소학≫은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주석까지 본문에...
- 소학언해(小學諺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중종(中宗) 때 처음 번역되어 『번역소학(飜譯小學)』의 이름으로 간행된 적이 있었으나, 너무 의역에 치우쳤다는 비판이 있었으므로, 선조 때 직역을 원칙으로 해서 『소학언해』를 간행하게 되었다. 『소학언해』는 책 첫머리에 ‘범례’가 있고, 끝에 이산해...
- 소학제가집주(小學諸家集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읽는 조선 사람들은 이 책을 통하여 주자학은 물론이거니와 율곡 이이의 존재를 강하게 느낄 수 있다. 김주원, 「소학집주와 번역소학 연구」, 『알타이학보』 제12호, 한국알타이학회, 2002. 오항녕, 「17세기 전반 서인 산림의 사상: 김장생ㆍ...
- 裳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니 장 올티 아니니라〈번역소학(1518) 7:6b〉, 帍 쵸마 호〈훈몽자회(1527) 중:7b〉, 스스로 믈에 여드러늘 도적의 물이 븓드러 내여 게 올려늘 죵은이 마니 츄마 긴흐로 스스로 목 라 리 아래 려뎌 죽다〈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 열녀...현대음상 | 현대대응어치마. 저고리와 함께 입는 가장 기본적인 여자 옷. | 키워드복식. 의복
주제어사전(2)
-
번역소학 / 飜譯小學 [언론·출판/출판]
1518년(중종 13)에 김전(金詮)ㆍ최숙생(崔淑生) 등이 중국 송나라 유자징(劉子澄)이 편찬한 ≪소학≫을 번역하여 언해한 책. 10권 10책. 목판본. ≪소학집성≫을 저본으로 하여 10권이 되었다. 남곤의 발문에 간행 경위가 자세히 적혀있다. 남곤의 발문에 광인유포
-
소학언해 / 小學諺解 [언론·출판/출판]
, 《소학편람》 등을 만들어 그 이해를 도왔다. 1518년(중종 19)《번역소학》이 간행, 후에 너무 의역에 흘렀다는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 직역을 원칙으로 한《소학언해》가 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