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번역박통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1)
사전(9)
- 번역박통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考察)」(안병희, 『규장각』3, 1979)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중국음(中國音)에 대한 고찰」(유창균, 『영남대학교논문집』1, 1967)
- 노박집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어려운 어구와 고유명사 등을 뽑아 설명한 책. [내용] 1책. 을해자본. 이 책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으므로 언제 간행되었는지 정확하지 않으나 『번역박...
- 신석박통사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리고 간기가 결여된 목판본 ≪박통사신석언해≫가 소장되어 있는데, 이것이 ≪통문관지≫의 ≪신석박통사언해≫와 동일한 책으로 보인다. ≪박통사신석언해≫에 수록된 한어문(漢語文)은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에 수록된 한어문과 상당히 다르다. ≪번역박통사≫와 ≪박통...
- 최세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譯老乞大≫‧≪번역박통사 飜譯朴通事≫‧≪훈몽자회 訓蒙字會≫‧≪이문집람 吏文輯覽≫ 등으로, 이들 저술은 16세기 초기‧중기 국어와 한자음 및 중국어학에 관한 것들이다. [활동사항] 그가 남긴 중요한 업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중국어교과서인 ≪번역노걸대...이칭별칭 공서(公瑞)
- 번역노걸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원간본은 전하지 않으나, 현재 전하는 책이 을해자본의 복각으로 보이고, 동시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가 을해자본이므로 이 책도 원래 을해자로 간행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전하는 중간본은 서문‧발문‧간기가 없으나, 최세진의...
고서·고문서(152)
- 飜譯朴通事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飜譯朴通事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飜譯朴通事辭典 朴成勳 편저 태학사 파주 2010 전문사전; 한국어학 국어사;; 중...대표표제어飜譯朴通事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박통사(上)_유예 리로다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박통사 151 1517_번역박통사(上) 유예 리로다 1517번역박통사(상)02a.jpg 유예 리로다 張三이 야 양 사라 가게 호 스므 낫 됴 진 양을 사게 라 암흐란 사디 말오 다 악대로 라 됴 진 쇼 나 사며 도 고기 쉰 근만 사며 李四 ...편명1517_번역박통사(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박통사(上)_룡안 당츄 례지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박통사 151 1517_번역박통사(上) 룡안 당츄 례지 1517번역박통사(상)04b.jpg 룡안 당츄 례지 세잿 줄 열여슷 뎝시옌 감 셕류 뎡향 이랏 고 굴근 링금 유황고 유황외엿 가온 사탕 오로 즁의 얼굴 로니 노커나 션이 탓게 편명1517_번역박통사(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박통사(上)_므레 믄과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박통사 151 1517_번역박통사(上) 므레 믄과 1517번역박통사(상)05a.jpg 므레 믄과 제므레 쵸 도 고기와 비두리를 구워 사니와 발 므르고으니와 션 니와 고기 구우니와 도 챵 봇그니와 안즌 앏픳 윗 주레 보로 민 수늙 노픈 곳 곳고...편명1517_번역박통사(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박통사(上)_블러 오라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박통사 151 1517_번역박통사(上) 블러 오라 1517번역박통사(상)05b.jpg 블러 오라 뎌 어름 담 그릇 우희 덩잇 어름 노코 고와 이랏과 여러가짓 셩 과시를 어름 다믄 그릇 안해 가 두면 장 보디 됴니라 이제 셔 拳杏 리 잇거니와 ...편명1517_번역박통사(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주제어사전(4)
-
번역박통사 / 飜譯朴通事 [언론·출판/출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박통사』 원문의 한자에 한글로 음을 달고 번역한 책. 현재 권상 1책만 전하나『노박집람』의「박통사집람」과 1677년(숙종 3)에 간행된『박통사언해』에 의하여 상·중·하의 3권 3책임이 분명하다. 이 책에는 간기가 없으나, 1517년(
-
노박집람 / 老朴集覽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어려운 어구와 고유명사 등을 뽑아 설명한 책. 1책. 을해자본. 이 책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으므로 언제 간행되었는지 정확하지 않으나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의 관계, 『사성통
-
신석박통사언해 / 新釋朴通事諺解 [언어/언어/문자]
『신석박통사』를 언해한 책. 『박통사신석언해』에 수록된 한어문(漢語文)은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에 수록된 한어문과 상당히 다르다. 『번역박통사』와 『박통사언해』의 한어문은 동일하다. 한어문의 각 한자 아래 한글로 붙여진 두가지 중국음 중 우측음, 즉 통칭 속음
-
번역노걸대 / 飜譯老乞大 [언론·출판/출판]
자본의 복각으로 보이고, 동시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는 『번역박통사』가 을해자본이므로 이 책도 원래 을해자로 간행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