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번역노걸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3)
사전(14)
- 번역노걸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성통해서』에 『노걸대』와 『박통사』를 언해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또 『사성통해』에 「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飜譯老乞大朴通事凡例)」가 실려 있으므로 이 책의 편찬과 그 간행을 알 수 있다. 서명이 책에는 ‘노걸대’라고만 되어 있으나, 원본인 『노걸대』와 1670년...
- 노걸대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앞서 간행된 최세진(崔世珍)의 ≪번역노걸대 飜譯老乞大≫를 참고하여 언해한 것으로 보인다. 체재는 상권 54과(課), 하권 53과로, 내용면에서 하권은 상권에 이어져 있다. 대화의 구절마다 협주(夾註) 양식으로 해당 주석이 있으며, 본문(한자원문)과 언해 사이...
- 노걸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세진(崔世珍)이 번역한 것으로 믿어지는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에 수록한 한어(漢語)와 동일한 사실로 미루어보아 16세기 이전에 간행된 『노걸대』의 복간본들임을 알 수 있다. 보통 이들은 구분없이 ‘노걸대’로 통칭된다. 여러가지 간본들을 상호 구별하기 위하여...
- 더그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답호(褡護)ㆍ전복(戰服)ㆍ호의(號衣)ㆍ쾌자(快子)와 같이 포나 상의류 위에 덧입는 옷. 더그레[加文剌]는 조선 전기에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에 나타나는 대로 답호(褡護)를 지칭하는 말로 쓰였으나, 조선 말기로 오면 덧입는 옷인 답호(褡護)ㆍ전복(戰服)ㆍ호의(號衣)ㆍ쾌자...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노박집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어려운 어구와 고유명사 등을 뽑아 설명한 책. [내용] 1책. 을해자본. 이 책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으므로 언제 간행되었는지 정확하지 않으나 『번역박...
고서·고문서(258)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노걸대(上)_어재 오다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노걸대 141 1517_번역노걸대(上) 어재 오다 어재 오다 네 이 그믐 北京의 갈가 가디 몯가 모로리로다 그 마 엇디 니리오 하히 어엿비 너기샤 모미 편안면 가리라 너 高麗ㅅ 사미어시니 엇디 漢語 닐오미 잘 뇨 내 漢兒人의손...편명1517_번역노걸대(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노걸대(上)_나히 콩 닷 되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노걸대 141 1517_번역노걸대(上) 나히 콩 닷 되 1517번역노걸대上_12a.jpg 나히 콩 닷 되 딥 뭇곰야 통히 헤요니 은 두 돈을 고 이 여슷 리 밤마다 먹논 딥과 콩이 아니니 콩 딥 논 서너 돈 은을 고 콩 딥 흔 두편명1517_번역노걸대(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노걸대(上)_우리를 ㅅ 밥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노걸대 141 1517_번역노걸대(上) 우리를 ㅅ 밥 우리를 ㅅ 밥 와 머글 딥과 콩을 밧괴여 주 엇더고 우리 여긔 을$ 녀르메 하히 오 므리 채여 뎐회 거두디 몯니 이런 젼로 우리도 즉재 밧고와다가 즉재 먹니 어듸 밧괴일...편명1517_번역노걸대(上)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노걸대(下)_이 버든 누고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노걸대 117 1517_번역노걸대(下) 이 버든 누고 1517번역노걸대(하)6a.jpg 이 버든 누고 遼東 이녀긔 와 모다 오라 뎌 여러 필 가져 모라 오라 뎌 漢人이니 遼東 자새셔 사더라 내 길 조차 올 시져릐 만히 뎌의 거리치믈 니부라...편명1517_번역노걸대(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517_번역노걸대(下)_이 잇고나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번역노걸대 117 1517_번역노걸대(下) 이 잇고나 1517번역노걸대(하)19a.jpg 이 잇고나 뎌 고해 고 흐르니 고 내 리로고나 내 엇디 사 가져가리오 므더니 너겨 가져가면 다 조차 다 뎐야 야디리로다 이러면 네 므고져 노괴여 내 진실...편명1517_번역노걸대(下)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기초학문(1)
- 번역노걸대박통사 중국어 표음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유재원, 게재일 : 200633711 유재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06 번역노걸대박통사 중국어 표음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6
주제어사전(5)
-
번역노걸대 / 飜譯老乞大 [언론·출판/출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전래의 한문본 『노걸대』를 언해한 중국어 학습서. 2권 2책. 한문본 『노걸대』의 원문에 중국어의 음을 한글로 달고 언해한 것으로 『사성통해』(중종 12)보다 앞서 된 것으로 추정된다. 원간본은 전하지 않으나, 현재 전하는 책이 을해자
-
노걸대언해 / 老乞大諺解 [언어/언어/문자]
)의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를 참고하여 언해한 것으로 보인다.
-
노박집람 / 老朴集覽 [언어/언어/문자]
조선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번역박통사(飜譯朴通事)』의 어려운 어구와 고유명사 등을 뽑아 설명한 책. 1책. 을해자본. 이 책은 서문이나 발문이 없으므로 언제 간행되었는지 정확하지 않으나 『번역박통사』와 『번역노걸대』의 관계, 『사성통
-
사성통해 / 四聲通解 [언어/언어/문자]
(韻母定局)이 있고, 이어서 광운(廣韻) 36자모지도, 운회(韻會) 35자모지도, 『홍무정운』 31자모지도가 실려 있고, 범례 26조항 다음에 동운(東韻)부터 한자가 배열되어 있다. 현전본(現傳本)의 하권 끝에는 『사성통고』 범례 10조와 『번역노걸대(飜譯老乞大)』·『
-
번역박통사 / 飜譯朴通事 [언론·출판/출판]
(중종 12)에 간행된『사성통해』에 실린「번역노걸대박통사범례」와 그 책 서문에 의하여 최세진이 『노걸대』와 함께 『박통사』를 언해한 것이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