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번상” 에 대한 검색결과 6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65)

사전(175)

  • TD_P0_O_0009 荊匕 도구 기타 方士, 方術, 簪筆, 怪誕, 潔齊之道, 牡荊, 天極星, 天一, 靈旗, 兵禱, 太史, 北斗旗, 牡荊, 杜荊, 方技術, 荊, 杻木, 桑東南指枝, 匕, 桑, 東南出之枝, 北斗七星, 被髮, 招指, 求福, 排禍, 桃棓, 鬼...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0권 12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경직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전기에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제안한 수도경비와 관련된 군사동원방식.
    정의조선 전기에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제안한 수도경비와 관련된 군사동원방식.[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beonsang gyeongjik | MR표기pŏnsang kyŏngj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번차(番次)에 의해 당번(當番)이 되어 서울에 올라온 군사.
    정의조선시대 번차(番次)에 의해 당번(當番)이 되어 서울에 올라온 군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eonsangbyeong | MR표기pŏnsangb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지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번차(番次)에 의해 당번(當番)이 되어 서울에 올라온 군사.
    정의조선시대 번차(番次)에 의해 당번(當番)이 되어 서울에 올라온 군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eonsang ji gun | MR표기pŏnsang chi k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번차(番次)에 의해 당번(當番)이 되어 서울에 올라온 군사.
    정의조선시대 번차(番次)에 의해 당번(當番)이 되어 서울에 올라온 군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beonsanggun | MR표기pŏnsang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446)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면 최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동녕현(东宁县) 연초공사 2 1 한면, 방송, 편지, 많은량해, 불갑, 로인,...
    대표표제어한번상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면 최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동녕현(东宁县) 연초공사 2 1 한면, 방송, 편지, 많은량해, 불갑, 로인,
    대표표제어한번상면 | 성씨
  • 群公旣皆聽命,相揖趨出,王釋冕,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60 尙書古訓 卷七 ITKC_MP_0597A_0560_020_0050 群公旣皆聽命,相揖趨出,王釋冕,服。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尙書古訓 卷七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下戌五 釋冕服 【蘇云:“未塟君,臣皆冕服,非禮也。” ○毛云:“太甲見祖,奠殯之後,則侯ㆍ甸羣后,咸來進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860 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ITKC_MP_0597A_1860_070_0330 下戌五 釋冕服 【蘇云:“未塟君,臣皆冕服,非禮也。” ○毛云:“太甲見祖,奠殯之後,則侯ㆍ甸羣后,咸來進見。”】 정약용(丁若鏞) 雜...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尙書知遠錄 洌水 丁鏞 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旣戊午,師渡孟津,癸亥,陳于商郊,俟天休命。甲子昧爽,受率其旅若林,會于牧野。罔有敵于我師,前徒倒戈,攻于後以北,血流漂杵。一戎衣,天下大定。乃政,政由舊。釋箕子囚,封比干墓,式商容閭。散鹿臺之財,發鉅橋之粟,大賚于四海,而萬姓悅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90 梅氏書平 卷三 ITKC_MP_0597A_0590_080_0070 旣戊午,師渡孟津,癸亥,陳于商郊,俟天休命。甲子昧爽,受率其旅若林,會于牧野。罔有敵于我師,前徒倒戈,攻于後以北,血流漂杵。一戎衣,天下大定。乃政,政由舊。釋箕子囚,封比干...
    권차명梅氏書平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31)

  • 伊藤繁三郞(伊藤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伊藤繁三郞(伊藤店) 원산 伊藤繁三郞 伊藤店 本町3 - - 면사포,타면(打綿),어망(漁網)상 판매 1863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
    대표표제어伊藤繁三郞(伊藤繁商店)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면사포,타면(打綿),어망(漁網)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한셩 뎐긔회에셔 본년 양력오월 칠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 뎐긔회에셔 본년 양력오월 칠일 이후로 차타 표갑슬 다시이왕갓치 락가오니 죠량시오 오십등연승표 동화이원오십젼 한등타표 각졍거장이에 십젼식 한번하등타표 각졍거쟝이에 오젼식 뎐긔회샤 고
    게재일1902년 5월 6일 | 기사분류광고
  • 한셩 뎐긔회에셔 본년 양력오월 칠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 뎐긔회에셔 본년 양력오월 칠일 이후로 차타 표갑슬 다시이왕갓치 락가오니 죠량시오 오십등연승표 동화이원오십젼 한등타표 각졍거장이에 십젼식 한번하등타표 각졍거쟝이에 오젼식 뎐긔회샤 고
    게재일1902년 5월 7일 | 기사분류광고
  • 한셩 뎐긔회에셔 본년 양력오월 칠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 뎐긔회에셔 본년 양력오월 칠일 이후로 차타 표갑슬 다시이왕갓치 락가오니 죠량시오 오십등연승표 동화이원오십젼 한등타표 각졍거장이에 십젼식 한번하등타표 각졍거쟝이에 오젼식 뎐긔회샤 고
    게재일1902년 5월 8일 | 기사분류광고
  • 한셩 뎐긔회에셔 본년 양력오월 칠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한셩 뎐긔회에셔 본년 양력오월 칠일 이후로 차타 표갑슬 다시이왕갓치 락가오니 죠량시오 오십등연승표 동화이원오십젼 한등타표 각졍거장이에 십젼식 한번하등타표 각졍거쟝이에 오젼식 뎐긔회샤 고
    게재일1902년 5월 1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3)

  • 반상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8224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56면 - 반상렬;烈 경북 15 1941년 12월 28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왜가 백제에 우치노오미를 사신으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書紀』 19 欽明紀) 【원문】 (夏)六月 遣內臣[闕名] 使於百濟 仍賜良馬二匹同船二隻弓五十張箭五十具 勅云 所請軍者 隨王所須 別勅 醫博士易博士曆博士等 宜依下 今上件色人 正當相代年月 宜付還使相代 又卜書曆本種種藥物 可付送 (󰡔日本書紀󰡕 19 欽明紀)
    대표표제어왜가 백제에 우치노오미를 사신으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53년(癸酉/신라 진흥왕 14 開國 3/고구려 양원왕 9/백제 성왕 31/梁 承聖 2/倭 欽明 14)
  • 왜가 백제에 우치노오미을 사신으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물도 보내라.” (『日本書紀』 19 欽明紀) 【원문】 (夏)六月 遣內臣[闕名] 使於百濟 仍賜良馬二匹同船二隻弓五十張箭五十具 勅云 所請軍者 隨王所須 別勅 醫博士易博士曆博士等 宜依下 今上件色人 正當相代年月 宜付還使相代 又卜書曆本種種藥物 可付送 (『日本書紀』 19 欽明紀)...
    대표표제어왜가 백제에 우치노오미을 사신으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53년(癸酉/신라 진흥왕 14 開國 3/고구려 양원왕 9/백제 성왕 31/梁 元帝 承聖 2/倭 欽明天皇 14)
  • 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숙위 학생을 신라로 돌려 보내달라고 요청한 狀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배편에 연한이 찬 숙위학생을 귀국하도록 했다. 하정사 김영은 新羅賀正表 뿐만 아니라 遣宿衛學生首領等入朝狀과 奏請宿衛學生還 등도 당 소종에게 올렸다. 【원문】 新羅國當國 先具表奏 宿衛習業學生四人 今錄年限已滿 伏請放還 謹錄姓名奏聞如後 金茂先楊穎崔渙崔匡裕 右臣伏以當...
    대표표제어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숙위 학생을 신라로 돌려 보내달라고 요청한 狀 | 주제분류외교문서
  • 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새해를 축하면서 보낸 표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김영은 신라왕이 新羅賀正表 뿐만 아니라 遣宿衛學生首領等入朝狀과 奏請宿衛學生還 등도 당 소종에게 올렸다. 【원문】 臣某言 元正告始 景福惟新 伏惟皇帝陛下 膺乾納祐 與天同休 臣某誠歡誠喜 頓首頓首 臣蕃伏自立國承家 開彊拓土 皆乃仰攀天蔭 方能俯靜海隅 遂從先祖而來 每慶新正...
    대표표제어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새해를 축하면서 보낸 표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11)

  • / [정치·법제/국방]

    정군이 일정한 기간의 당번근무를 위해 서울에 올라오는 일. 세종대(世宗代)에 중앙군의 양적 확장과 번차수 증가가 이루어지고, 문종대(文宗代)에 하번 중앙군이 모두 거주지에 녹적되어 도절제사(都節制使)가 장악하면서 ()의 체제가 완전히 갖추어졌다.

  • 방역 / 防役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베를 징수하기 위해 정군의 입역을 방해하던 부정 행위. 조선시대 15세기 말부터 병의 대립현상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대립이란 병이 보인(保人)에게 받아 온 조역가(助役價)로 타인을 고용해 대신 입역하게 하고 자신은 귀향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현

  • 신포 / 身布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역 대신으로 바치던 베. 정군의 부경 때 모든 경비는 보인 2인이 책임지도록 되어 있었다. 본래 미곡을 바쳤으나 이를 지참하고 하는 데 불편이 많았으며, 점차 베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정군이 보인에게 요구하는 것이 베였으므로 보인이 정군에게 바치는

  • 어영청 / 御營廳 [정치·법제/국방]

    로 훈련도감처럼 서울에 상주시키지 못하고 양분해 500명씩 교대로 하게 하고, 시의 경비를 제공하는 보인을 지급하였다.

  • 부병제 / 府兵制 [정치·법제/국방]

    병농일치의 병제. 조선은 지방군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농민을 기간으로 하는 진군이었다. 진군은 교대로 입역해 군무에 복역하는 병농일치의 군대였다. 중앙군과 지방군의 이중구조는 뒤에 진관체제가 성립되면서 일원화되었다. 즉, 서울에 하는 농민 출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