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백화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7)
- 백화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화주 만들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 책에 의하면 겨울에 매화ㆍ동백꽃으로부터 이듬해 가을 국화까지 꽃을 모으되 송이채 그늘에 말렸다가 중양절(음력 9월 9일)에 술을 빚는다고 하였다. 이 때 다른 꽃은 비록 향기가 많더라도 마르면 향내가 가시나, 국화는 마른 뒤에...
- 남수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쪽빛[남색] 수주. 수주(水紬)는 품질이 좋은 비단의 일종으로 일명 수화주(水禾紬)라 한다. 삼팔주(三八紬)와 같이 평직의 견직물이다. 覆巾一白禾紬內下○尙衣院造入仰帳白水紬縇藍水紬內下尙衣院造作烏竹六二預備繕工監, (빈전1921/087ㄱ07~09)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초당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이 노래를 짓는다고 하였다. “초당(草堂) 느진날에 깁피든잠 놀니 문앞 버들우에 소 봄이로다. 백화주(百花酒) 두셰잔애 취기언지(醉起言志) 오리라……"로 시작하는 이 작품은 자연을 즐기며 안빈낙도하고자 하는 심회를 노래하였다. ...
- 술방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을 경상도 안동지방의 사투리로 적어놓았다. 술빚는 법으로는 송순주법ㆍ백화주법ㆍ향훈주법ㆍ진장주법ㆍ석탄주법ㆍ홍나주법ㆍ두견주법ㆍ월국사주법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식경대전(韓國食經大典)』(이성우, 향문사, 1981)
- 아청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綠禾紬上下邊兒藍廣的紅裌紅禾紬白裌白禾紬褙接楮注紙再褙厚白紙衣鴉靑紬布褙接靑梁紙乭赤耳搗鍊紙貼金道吐落○西挾間所排一坐, (빈전1834/028ㄴ11~029ㄱ01)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10)
- 채약가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배는 삼신산에 약을 캐여 한 배 가득 높피 실고 범범중류 나오며 불노가를 부를 적에 서황모 요지연에 벽도 서 실은 밴가 한무뎨 승로반에 이슬 바다 실은 밴가 이태백의 백화주에 달은 건저 실은 밴가 젹벽강 추야월에 소동파를 실은 밴가 심양강 명월야에 백락텬 실은 밴가...구분잡가
- 오군지_吳郡志7 官宇 姑蘇館在盤門裏河西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舊事也制度尤瑰特爲吳中偉觀此臺正據古胥門門跡猶存又有百花洲在臺下射圃在洲之東臺洲亦皆㬇所建并館額皆吳説書 吳會亭升羽亭候春亭茂苑亭春波亭皆孫老橋之東吉利橋之西河北岸沿流客館也 皇華亭平匯亭在飲馬橋之東北岸亦客館 升平館在梵門橋南 賓興館在貢院前河西 望雲館在閶門河南 髙麗亭二 一在閶門外...국가중국 | 서명오군지 | 왕대기타
- 人事門2_生財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不貲, 民受其弊. 東俗必戴廣簷笠, 織竹爲簷, 金隄最號號: 와세다대본에는 ‘好’로 되어 있다. 良工, 濟州次之. 又業作梳篦, 今家家日用, 皆南産也. 俗尙行賈, 故近濟, 而馬價反踊. 全州爲監司所治, 商賈益衆, 百貨走集. 薑、蒜最饒, 今域中用薑, 皆全之流溢也. 俗獷悍, 行旅...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八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草部上品之上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藥性論云能治熱風筋脈攣急能令人食主肺痿肺氣吐膿血欬嗽涕唾上氣昔馬援煎 服之破五溪毒腫○孟詵云性平去乾濕脚 氣大效○圖經曰春生苗莖高三四尺葉如 黍開紅白花作穗子五月六月結實靑白色 形如珠子而稍長故名薏珠子小兒多以線 穿如貫珠爲戲今人通以九月十月採用其 實中仁古方大抵心肺藥多用之○陳藏器本草云收子蒸令氣...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盎葉記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國寺在宣武門外迤北一里. 月三五爲市日, 海內百貨輳集. 佛殿三寮廂周遭, 而居僧鮮少, 皆京外商旅, 無異闤闠, 禪林中一大都會也. 第一殿扁曰‘一塵不到’, 第三殿後有毘盧閣. 中間爲大路, 廛鋪羅列, 車馬鬧熱, 不獨市日爲然也. 余讀 讀 : 저본에는 ‘謂’로 되어 있으나 ‘필·총5(친...대표표제어盎葉記 | 목차熱河日記
구술자료(1)
- 백화주 담궈 시모 봉양한 할머니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뱀 메고 와서 술 담근 할머니’를 끝내고 “예사 일이 아니라니 더 걱정이래요.”라는 말을 한 후에 계속해서 이 이야기를 들려주었 다. 손으로 꽃모양을 가늠하면서 실감나게 구연했다. 해거름이 가까워지고 유일한 청중이던 할머니가 집으로 갔는데도, 전혀 동...조사일시2011. 5. 7.(토) | 조사장소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쌍계리 마을회관 | 제보자최춘옥
주제어사전(1)
-
백화주 / 百花酒 [생활/식생활]
여러 종류의 꽃을 넣어 빚는 술. 술에 향기와 약효를 아울러 주므로 가향주(加香酒)인 동시에 약용 약주라 할 수 있다. 그 제법은 『음식보(飮食譜)』·『민천집설()民天集說』·『증보산림경제』·『규곤요람(閨壼要覽)』·『규합총서(閨閤叢書)』·『김승지댁주방문(金承旨宅酒方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