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백택기”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9)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등에 사용하였다. 기 바탕은 백주(白紬), 화염각(火焰脚)과 영자(纓子)는 홍주(紅紬)로, 깃은 흑주(黑紬)를 쓴다. 磻朱紅一兩二錢二分阿膠一兩明油五合二前排改彩仍修補五幅付柄長四尺所入松煙二錢唐朱紅三錢石紫黃二錢, (국장1681/040ㄱ03~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휘(旗麾), 의장(儀仗) 대가노부(大駕鹵簿), 법가노부(法駕鹵簿) 왕실왕실의례/예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강제훈 의장기(儀仗旗) 견(絹) 등의 직물 국왕이 참여하는
    상위어기휘(旗麾), 의장(儀仗) | 관련어대가노부(大駕鹵簿), 법가노부(法駕鹵簿)
  • 백도련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 바탕감으로 쓰인 견직물로 다듬이질을 올려 매끄럽고 윤기 나게 만든 흰색의 주(紬). 도련은 종이나 피륙을 다듬잇돌에 다듬질하여 반드럽게 하는 일로 도침(搗砧)이라고도 한다. 백도련주(白搗鍊紬)는 이렇게 도련 작업을 하여 매끄럽고 윤기 나게 만든 흰색...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청개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좁게 편 양산 모양의 의물(儀物). 나무통에 대나무로 살(竹橡)을 만들고, 푸른색 비단을 덮은 뒤에 그 아래에 첨(幨)[수레휘장]을 세 개 만들어 용을 그린다. 二靑陽繖一靑蓋二合五件擔桶五介所入椴木半骨半半條蠶足鐵二十介, (책례1721/222ㄴ03~05)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은우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紅衣)에 자건(紫巾)을 착용했다. 銀立瓜二金粧刀二銀粧刀二金鐙子四銀鐙子四銀盂子一銀罐子一二大殿行禮時內差備二十二, (상호1853/135ㄴ07~09)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기초학문(1)

  • 조선후기 () 사용자와 형태 및 재료에 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희, 게재일 : 2014
    59518 이경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복문화학회 2014 조선후기 () 사용자와 형태 및 재료에 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

    조선 시대 의장기의 하나. 흰색의 사각기로 만물의 모든 뜻을 알아낸다는 상서로운 짐승인 백택과 청ㆍ홍ㆍ황ㆍ백의 구름무늬가 그려져 있고 화염각이 달려있다. 대가 노부ㆍ법가 노부ㆍ궁중 노부, 어장 등에 사용하였다. 기 바탕은 백주, 화염각과 영자는 홍주로, 깃은 흑주를 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