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백중력” 에 대한 검색결과 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1)

사전(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워졌다. 영조 때에 와서 시헌력법(時憲曆法)이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자, 1772년(영조 48)부터 10년간을 시헌력법으로 『시헌칠정』을 만들었다. 이 역서는 1781년(정조 5)에 끝나므로 1780년에는 다시 『』을 만들었다. 이것은 1780년부터 1...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법(曆法) 시헌(時憲) 시헌력(時憲曆), 천세력(千歲曆) 문화과학/천문 개념용어 정성희 [정의] 간행년을 기준으로 지나간 과거의 절기와 달의 대소를 적은...
    상위어역법(曆法) | 하위어시헌백중력(時憲百中曆) | 관련어시헌력(時憲曆), 천세력(千歲曆)
  • 칠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에 편찬된 역서. [내용] 6책. 활자본. 1650년부터 1711년까지의 역을 묶어서 펴낸 책이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 에는 매년 매월의 대소(大小), 매일의 일진(日辰), 24절기의 입기일시(入氣日時), 달의...
  • 시헌칠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추산된 칠정이라 할 수 있다. 편찬자는 알 수 없으나, 아마도 조선시대 관상감(觀象監)이 발행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원래 중국력에서는 일월뿐만 아니라 목‧화‧토‧수‧금의 5성의 운행에 따른 이들의 천구상(天球上)의 위치도 기록에 나타냈으므로, 중국역법은 마...
  • TD_A0_O_0007 千歲等曆 천문(기타) 術家, 星命四柱, 觀象監, 曆元 唐高宗顯慶壬寅年壬寅日, 宋, 皇明, 皇明至今淸道光丁未, 淸道光丁未, 黃帝甲子, 黃帝甲子爲曆元 我東, 中原 徐整 , 大統曆, 時憲曆, 七政, 萬歲, 長曆 ...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1권 5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58)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

    백년간의 일월운행과 절후를 추산하여 만든 역서.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중국의 역서를 사용하였으나 조선 초기 세종 때부터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역서의 편찬에 관심을 보였다. 영조 때 시헌역법이 중국에서 도입되자 1772년부터 10년간을 시헌역법으로 <시헌칠정>을 만

  • 만세력 / 萬歲曆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역서. 1782년 정조의 명에 의해 관상감에서 편찬하였다. 이 역은 10년마다 다시 10년씩의 역을 추가 보충하도록 한 것으로, 1772년에 간행한 <칠정>을 인계 확충하였다. 처음에는 <천세력>이라고 하였는데, 이 <천세력>으로 앞으로의 10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