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백중” 에 대한 검색결과 8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69)

사전(20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공양했다는 고사에 따라 우란분회(盂蘭盆會)를 열어 공양을 하는 풍속이 있다.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나 고려 때에는 일반인까지 참여했으나 조선시대 이후로 사찰에서만 행해지고 민간에서는 소멸되었다. 이 되면 여러 행사가 있어왔다. 우선 각 가정에서 익은 과일...
    이칭별칭중원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음력 7월 15일에 해당하며 세벌김매기가 끝난 후 여름철 휴한기에 휴식을 취하는 날.
    정의음력 7월 15일에 해당하며 세벌김매기가 끝난 후 여름철 휴한기에 휴식을 취하는 날.[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사전] | 문광부표기Baekjung | MR표기Paekchu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워졌다. 영조 때에 와서 시헌력법(時憲曆法)이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자, 1772년(영조 48)부터 10년간을 시헌력법으로 『시헌칠정력』을 만들었다. 이 역서는 1781년(정조 5)에 끝나므로 1780년에는 다시 『력』을 만들었다. 이것은 1780년부터 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칙이 너무 많아서 범하기 쉽고 지키기가 어려워 항상 학습하여야 된다는 뜻에서 중학이라 하나 그 가운데 백계(百戒)만을 들어서 학이라고 한다. 이 학은 백장청규(百丈淸規)와 비교되어진다. 백장청규는 인도에서 전래된 율장(律藏)이 인도의 생활습속을 바탕으로...
    이칭별칭응당학(應當學)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1)

  • 조선민족의 민속 세시풍속, 관혼상제 및 민속신앙 [중앙민족대학 | 中央民族大學 (Minzu University of China)]
    저자 : 김춘선(중앙민족대학), 박승권(중앙민족대학 조선언어문학부 부교수), 김광영(중앙인민방송국... | 출판사 : 民族出版社 | 출판일 : 2010.09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리날(단오절) (15)망종 (16)하지 (17)소서와 대서 (18)류두 (19)삼복 (20)칠석 (21)

고서·고문서(413)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력 최 남자 경상북도 청도군 요녕성(辽宁省) 개원현(开原县) 양목림자공사 랑가툰 선대 3 3 력, 부탁
    대표표제어백중력 | 성씨
  • 내용분류교육/문화-과학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三 【拾遺】序 80 贈(紹)序 41_112_082.jpg 贈(紹)序 紹將有所適, 就珥求贈言。 珥曰: “惟仁者, 能以言贈人, 余惡敢哉?” 白侯曰: “古人之別, 莫不有文有詩以賮行, 豈皆以仁者自處乎哉? 良以有蘊於中而不得不發。 於是奮乎詞章,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經史門9_泰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雍 《史記ㆍ吳泰伯世家》云: “泰伯、仲雍, 乃奔荊蠻, 文身斷髮, 示不可用.” 此出於《吳越春秋》, 而史遷從之也. 按, 《左傳》哀公七年: “魯 子服景伯對吳人曰: ‘太伯端委, 以治周禮, 仲雍嗣之, 斷髮文身, 臝以爲飾, 豈禮也哉?’” 然則斷髮文身, 非泰伯也. 泰伯若有實事...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六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9년_웅촌면(熊村面) 1849년 웅촌면(熊村面) (第二十一)曲川里* 第三十一의 오기이다. 1 第一統統首伊 第一戶 業武伊年伍拾貳戊午本扶餘父達興祖成俊曾祖雲哲外祖李東三本 慶州妻吳姓年伍拾壹己未本海州父廣用祖德海曾祖萬在外祖李萬守本慶 州等丙午戶口相...
    연도_면이름1849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十一)曲川里* 第三十一의 오기이다.

구술자료(25)

  • 06_117 경남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남도 밀양시_어산영 어산영 밀양 놀이 논매기소리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 1985.8.29 素85-8-29②A 김상룡,신의근 등 [밀양 놀이] 회원들 김상룡(1916년생.남.내이동 토민), 신의근(1916년생.남.밀양시 산내
    녹음지역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 | 녹음날짜1985.8.29 | 가창방식독창 + (제창)
  • 무주 시나위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음악활동 등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중 박상용 엄재록 임정렬 임삼도 임춘도 임홍도 임벽도 야당춘 권삼덕 신청 재인 굿 오구굿 해원굿 당제 농악 두레굿 농기 잔치 놀이 권번 국악 대금 삼현 풍류 산조 잔도드리 굿거리 가야금 거문고 양금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나위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황봉수
  • 무주 시나위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음악활동 등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중 박상용 엄재록 임정렬 임삼도 임춘도 임홍도 임벽도 야당춘 권삼덕 신청 재인 굿 오구굿 해원굿 당제 농악 두레굿 농기 잔치 놀이 권번 국악 대금 삼현 풍류 산조 잔도드리 굿거리 가야금 거문고 양금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나위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송석술
  • 무주 시나위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음악활동 등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중 박상용 엄재록 임정렬 임삼도 임춘도 임홍도 임벽도 야당춘 권삼덕 신청 재인 굿 오구굿 해원굿 당제 농악 두레굿 농기 잔치 놀이 권번 국악 대금 삼현 풍류 산조 잔도드리 굿거리 가야금 거문고 양금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나위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천영
  • 무주 시나위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음악활동 등에 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중 박상용 엄재록 임정렬 임삼도 임춘도 임홍도 임벽도 야당춘 권삼덕 신청 재인 굿 오구굿 해원굿 당제 농악 두레굿 농기 잔치 놀이 권번 국악 대금 삼현 풍류 산조 잔도드리 굿거리 가야금 거문고 양금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시나위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안승선

기초학문(1)

  • 움직이는 전통, 변화하는 시선-밀양놀이의 장애 표현과 그 형상화 시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허용호, 게재일 : 2014
    58508 허용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연문화학회 2014 움직이는 전통, 변화하는 시선-밀양놀이의 장애 표현과 그 형상화 시선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204)

  • 疏 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구관찰 리근호씨 인상소 비지에 인것 업스니 관찰직무 더욱힘쓰라고 군부대신 리근씨 직상소 비지에 다시번거이말나 압셧더라
    게재일1905년 11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丸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셩외에 토병이 치고 경무쳥에셔 즁환이란약을 각셔에 분급야 토病 들엇다는 사에게는 의레히 각셔에셔 그약을 츌급더라
    게재일1902년 9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基(-) 개성 基 - 南本町 121 - - 해산물도매 - - 위탁판매 겸업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白重基(-)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해산물도매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哲(-) 개성 哲 - 東本町 807 - - 금전대부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白重哲(-)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금전대부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원회 4 홍수일 한라산 김일성 백발의 사격은 김일성장군 항일유격대시기로부터 우리 인민군대의 영예로운 전통의 □나이다. 우리의 경애하는 최고사령관은 보병은 위선 백발의 사격수가 되라고 훈시하시었다. 백발 의 사격은 화선에서 적 화력을...
    대표표제어조국과인민을위하여_1950_1117_01 | 책임주필홍수일

기타자료(20)

  • 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133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66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19)송도고보 제12회(소화6년) 26명 철;哲 ...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547 남한 경기 송도고등보통학교 3-03 송우 제7호 1933―03―18 100면 1. 졸업생상황;19)송도고등보통학교 제12회(1931년) 26명 철;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송도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9072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96면 1. 제4학년(今春 졸업 예정) 경;慶 경성부 서린동 96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8990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80면 1. 3. 각 과별 졸업생;16) 제16회 졸업생 (1934년 3월 졸업);(2) 상과 철;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9908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84면 1. 3. 각 과별 졸업생;16) 제16회 졸업생 (1934년 3월 졸업);(2) 상과 철;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9)

  • / [생활/민속]

    음력 7월 보름날로 명절의 하나. 이 날이 되면 남녀가 서로 모여 온갖 음식을 갖추어 놓고 노래하고 춤추며 즐겁게 놀았다. 승려들은 이 날 절에서 재를 올린다. 조선조에는 주로 승려들만의 행사가 되었다. 농촌에서는 날을 전후해서 시장이 섰는데 이를 장이라고 한

  • 력 / [종교·철학]

    백년간의 일월운행과 절후를 추산하여 만든 역서.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중국의 역서를 사용하였으나 조선 초기 세종 때부터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역서의 편찬에 관심을 보였다. 영조 때 시헌역법이 중국에서 도입되자 1772년부터 10년간을 시헌역법으로 <시헌칠정력>을 만

  • 밀양놀이 / 密陽 [생활/민속]

    경상남도 밀양 지방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중요무형문화재 제68호. 머슴들이 7월 보름경 진(辰)에 해당하는 날(용날)을 택하여 지주(地主)들이 마련해준 술과 음식으로 하루를 즐겁게 노는 데서 연유한 두레굿이다. 이러한 놀이는 두레먹기·호미씻기[洗鋤遊 : 세서연]·호미걸

  • 연산놀이 / 連山 [생활/민속]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두마면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4호. 본디 두마면 왕대리에서 오래 전에 시작되어 연산 장터로까지 확대되어 행해지다가 일제 때 단절된 것을 최근 연산 쪽에서 재현하여 계승하고 있다. 확실한 유래는 알 수 없지만, 이 놀이가 이

  • 강진땅뺏기놀이 / 康津땅뺏기놀이 [생활/민속]

    전라남도 강진군 지역에서 행해지는 민속놀이. 전라남도 강진군의 군동면 일대에서 6월 유두(流頭)나 7월 () 때, 머슴들이 주로 놀았으며, 용기(龍旗)나 덕석기 뺏기를 해서 이긴 편이 땅이나 황소를 차지하는 민속놀이의 일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