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백인걸” 에 대한 검색결과 1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2)

사전(60)

  • 휴암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실기. [내용] 4권 2책. 석인본. 1831년(순조 31) 처음으로 목활자로 간행되었고, 1959년경에 중간되었다. 권두에 임헌회(任憲晦)의 서문이, 권말에 정재경(鄭在褧)과 후손 동규(東奎)‧주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東儒師友錄 燃藜室記述 신도비
    이칭별칭 사위(士偉)| 휴암(休菴)| 문경(文敬)
  • TD_L14_D_4525 인물 登第, 密旨, 權奸, 壁書獄, 淸白, 上疏, 請伸, 從祀文廟, 大耋, 力學不倦, 左參贊 水原, 楊州 士偉, 休庵, 我中廟, 靜庵 D_19_05_65 대동운부군옥 19권 5장 6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5장 6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 인물 한국 조선 중종~선조 이기순 이범직 2009 사위(士偉) 휴암(休菴) 충숙(忠肅)...
  • 김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江陵陳氏)로 생원 담(霮)의 딸이다. 1547년(명종 2) 양재역(良才驛) 벽서사건으로 안변에서 유배생활을 하던 ()을 찾아가서 스승으로 섬겼다. 학문이 크게 진전되어 명성이 높았으므로 함경도관찰사인 김광진(金光軫)이 맞이하여 자질을 교육...
    이칭별칭 지중(止中)| 유당(柳塘)

고서·고문서(40)

  • 七月。 解官歸坡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七月。 解官歸坡州 28_119_113.jpg ○ 七月 七月: 외연 및 전홍‧전순 두주에 “此段, 元本多墨漆處, 今皆還錄. 惟聞闇昧之謗下, 割去八行, 終無所考.”。 解官歸坡州。 是時士類雖據淸要, 而大臣皆是流俗, 大小...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八月。 以爲議政府右參贊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 經筵日記三 56 ○八月。 以爲議政府右參贊 30_189_036.jpg ○八月。 以爲議政府右參贊。 仁傑雖在畎畝, 不能忘懷於時事, 每歎時人不相知。 至是老耄, 欲請趙光祖從祀文廟上京。 大臣憫其老且窮, 白上請使奉朝賀以給祿。 未幾仁傑還歸坡州。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五月。 領議政李浚慶等以疏議啓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五月。 領議政李浚慶等以疏議啓 28_119_095.jpg 五月。 領議政李浚慶等以疏議啓曰: “疏中聖學做功, 招賢委任之事, 惟在聖明省察而篤行之。 其餘陳 餘陳: 대규에는 없음.弊, 則皆方今商確講究之事, 乃有司之務不敢更煩聖...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十一月。 拜爲大司諫, 下書召之, 仁傑不至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十一月。 拜爲大司諫, 下書召之, 仁傑不至 28_119_057.jpg ○十一月。 拜爲大司諫, 下書召之, 仁傑不至。 成渾問李珥曰: “白公去就當何如?” 珥曰: “白公立朝陳大計, 而主上不用, 則可以退矣。 今者君臣之閒, 無...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隆慶三年己巳○今上二年正月。 以爲大司憲。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隆慶三年己巳○今上二年正月。 以爲大司憲。 28_119_058.jpg 隆慶三年己巳○今上 今上: 외연・대규에는 없음. 二年正月。 以爲大司憲。 仁傑旣退,上思其風節,屢下敎召之,仁傑固辭以疾。 至是,上特命陞品爲憲長。 仁傑上章三...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신문·잡지(2)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과 일화를 소개한 글 남치근(南致勤), 서림(徐林), (), 김식(金湜), 조광조(趙光祖), 인순왕후(仁順王后), 윤임(尹任), 윤원형(尹元衡), 민제인(閔齊仁), 김광준(金光準), 송희규(宋希奎), 박광우(朴光佑), 유희춘(柳希春), 이황(李滉), 허자...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천도교회월보_1920_11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잊지 못할 것은 천덕사은 24 신년 우리의 할 일 김성완 26 최신농업법 (속) 경농자 28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0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497(연산군 3)∼1579(선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효삼의 증손, 할아버지는 사수, 아버지는 익견. 어머니는 우종은의 딸이다. 조광조 문인으로 김안국에게서도 학문을 배웠다. 송인수·유희춘·이이·성혼 당대 사림계 인물들과 널리 교유하였다. 예문관검열

  • 신응시 / 辛應時 [종교·철학/유학]

    1532(중종 27)∼1585(선조 18). 조선 중기의 문신. 석 증손, 할아버지는 윤형, 아버지는 보상, 어머니는 민거의 딸이다. 의 문하에서 배웠다. 155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연안부사, 예조참의, 병조참지 등을 역임하였다.

  • 파산서원 / 坡山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눌로리에 있는 서원. 1568년(선조 1) ()·이이(李珥) 등의 관료와 파주 일대 유생의 발의에 의하여 적성현감 성수침(成守琛)을 제향하고, 유생의 장수처(藏修處)로 삼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성수침은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이며, 중종

  • 이항 / 李恒 [종교·철학/유학]

    1499(연산군 5)∼1576(선조 9).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이자영, 어머니는 최인우의 딸이다. 박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은 이항의 학문이 조식에게 비길만하다고 칭찬하였다. 당시의 대학자인 기대승·김인후·노수신 등과 교유하면서 학문의 질을 높

  • 용주서원 / 龍州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파주시 월릉면 덕은리 용주동에 있는 서원. 1598년(선조 3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사우(祠宇)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유생 정재심(鄭在心)이 사액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철폐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