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백산자” 에 대한 검색결과 1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6)

사전(35)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잔칫상과 제사상에 사용되는 찹쌀가루로 만든 유밀과의 하나. 찹쌀가루를 청주로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말린 후 꿀을 바르고 백반가루, 잣, 호두, 깨 등을 묻혔다. 이와 같은 유밀과에는, 백반가루를 묻혀 흰 빛을 띠는 와 팥 삶은 물로 지은 찹쌀밥인 홍반가루를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TD_F0_D_0061 金 경제 기타 宦者, 得幸, 怙勢, 作福, 作威, 貨賂 高龍普, 恭愍王 麗史 D_20_01_70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7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7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紅)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과(漢菓) 박산(薄散), (), 홍산자(紅散子)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음식 대한민국 조선 차경희 찹쌀, 튀김용 기름(참기름이나 콩기름), 꿀, 조청 연희(...
    상위어한과(漢菓) | 관련어박산(薄散), 백산자(白散子), 홍산자(紅散子)
  • 산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 벌어지므로, 이렇게 만든 고물을 묻힌 유전병류를 산자라 한다.”고 하였다. 즉, 산자는 고물의 모습에서 붙여진 음식명이다. 이것은 가정에서도 만들지만 조선시대 후기는 널리 상품화되었다. 특히, 곡창인 전라남도의 는 예로부터 명물로 알려졌다. 산자...
  • 밀병자(蜜餠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3355 물품도구 밀병자(蜜餠子) 밀병자 蜜餠子 약과(藥果) ‧ 중배끼[中桂果] ‧ 홍산자(紅饊子) ‧ () ‧ 빙과(氷果) ‧ 과과(瓜果) ‧ 봉접과(蜂蝶果) ‧ 만두과(饅頭果) 등의 총칭. 조선 전통과자로, 제사나 손...
    유형분류물품도구

고서·고문서(79)

신문·잡지(1)

기타자료(1)

  • 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2824 남한 경남 김해공립농업학교 2-13 김해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5년 n.r. 57면 2. 졸업증서대장 (1938. 3. 7~1951. 7. 14) 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김해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생활]

    잔칫상과 제사상에 사용되는 찹쌀가루로 만든 유밀과의 하나. 찹쌀가루를 청주로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말린 후 꿀을 바르고 백반가루, 잣, 호두, 깨 등을 묻혔다. 이와 같은 유밀과에는, 백반가루를 묻혀 흰 빛을 띠는 와 팥 삶은 물로 지은 찹쌀밥인 홍반가루를

  • 홍산자 / 紅散子 [생활/식생활]

    연회와 제례에 사용된 찬물로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튀긴 후 꿀과 홍반가루를 묻혀 붉은색을 띄는 산자. 산자는 반죽한 찹쌀가루를 사각형으로 잘라기름에 튀긴 후 꿀을 발라 밥이나 깨를 묻혀 만든 유밀과이다. 백반가루를 묻히면 흰색의 이고 팥물로 지은 밥인 홍반가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