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백산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6)
사전(35)
- 백산자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잔칫상과 제사상에 사용되는 찹쌀가루로 만든 유밀과의 하나. 찹쌀가루를 청주로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말린 후 꿀을 바르고 백반가루, 잣, 호두, 깨 등을 묻혔다. 이와 같은 유밀과에는, 백반가루를 묻혀 흰 빛을 띠는 백산자와 팥 삶은 물로 지은 찹쌀밥인 홍반가루를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金帛山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F0_D_0061 金帛山積 경제 기타 宦者, 得幸, 怙勢, 作福, 作威, 貨賂 高龍普, 恭愍王 麗史 D_20_01_70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7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7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홍백산자(紅白散子)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홍백산자 홍백산자 紅白散子 한과(漢菓) 박산(薄散), 백산자(白散子), 홍산자(紅散子) 생활 풍속식생활/음식 음식 대한민국 조선 차경희 찹쌀, 튀김용 기름(참기름이나 콩기름), 꿀, 조청 연희(...상위어한과(漢菓) | 관련어박산(薄散), 백산자(白散子), 홍산자(紅散子)
- 산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 벌어지므로, 이렇게 만든 고물을 묻힌 유전병류를 산자라 한다.”고 하였다. 즉, 산자는 고물의 모습에서 붙여진 음식명이다. 이것은 가정에서도 만들지만 조선시대 후기는 널리 상품화되었다. 특히, 곡창인 전라남도의 백산자는 예로부터 명물로 알려졌다. 산자...
- 밀병자(蜜餠子)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3355 물품도구 밀병자(蜜餠子) 밀병자 蜜餠子 약과(藥果) ‧ 중배끼[中桂果] ‧ 홍산자(紅饊子) ‧ 백산자(白饊子) ‧ 빙과(氷果) ‧ 과과(瓜果) ‧ 봉접과(蜂蝶果) ‧ 만두과(饅頭果) 등의 총칭. 조선 전통과자로, 제사나 손...유형분류물품도구
고서·고문서(79)
- 고장성(古長城)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726 B025726 고장성 古長城 군사교통 咸境道邑誌 定平府邑誌 定平府 古蹟 古蹟古長城在府北鼻白山上高麗時所築西踰大嶺東接咸興宣德海潰三周其隍以禦女眞古稱三關門長州古城在府南五十五里高麗時所置一云椵林一云端谷焉顯宗三年築城周二千二百尺九年稱長州置防禦使本朝世宗四年廢爲長谷社今稱城內...출처전거咸境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금사_金史70 列傳8 石土門 弟阿斯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兵從擊高麗 及伐遼 功尤多 王師攻下西京 賜以金牌 其子蟬蠢從行 上語之曰 吾妃之妹白散者在遼 俟其獲 當以為汝婦 竟如其言 전쟁, 여진전, 여진,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기타
- 원사_元史208 列傳95 外夷1 高麗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2380 중국 정사 원사 열전 256 기타 元史208 列傳95 外夷1 高麗 高麗本箕子所封之地 又扶餘別種嘗居之 其地東至新羅 南至百濟 皆跨大海 西北度遼水接營州 而靺鞨在其北 其國都曰平壤城 即漢樂浪郡 水有出靺鞨之白山者 號鴨淥江 而平壤在其東南 因恃...국가중국 | 서명원사 | 왕대기타
- 평양시_ST2017014605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백산자료원2003 마산리, 반궁리, 표대 유적발굴보고 1단계대표표제어평양시_ST2017014605 | 유적명표대
- 평양시_ST2017014606 [동북아 기후변화 맥락에서 본 한국 선사시대 도구문화의 추이 | 충북대학교]1 백산자료원2003 마산리, 반궁리, 표대 유적발굴보고 2단계대표표제어평양시_ST2017014606 | 유적명표대
신문·잡지(1)
- 만한지실업_1914_095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村 31 迎日灣の鰊漁業 靑水生 34 馬木線と産業鐵道 岡庸一 37 長白山上の分水狀態と總督府陳列...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4
기타자료(1)
- 백산자화;栢山滋和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2824 남한 경남 김해공립농업학교 2-13 김해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5년 n.r. 57면 2. 졸업증서대장 (1938. 3. 7~1951. 7. 14) 백산자화;栢山滋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김해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백산자 / 白散子 [생활]
잔칫상과 제사상에 사용되는 찹쌀가루로 만든 유밀과의 하나. 찹쌀가루를 청주로 반죽하여 납작하게 만들어 말린 후 꿀을 바르고 백반가루, 잣, 호두, 깨 등을 묻혔다. 이와 같은 유밀과에는, 백반가루를 묻혀 흰 빛을 띠는 백산자와 팥 삶은 물로 지은 찹쌀밥인 홍반가루를
-
홍산자 / 紅散子 [생활/식생활]
연회와 제례에 사용된 찬물로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튀긴 후 꿀과 홍반가루를 묻혀 붉은색을 띄는 산자. 산자는 반죽한 찹쌀가루를 사각형으로 잘라기름에 튀긴 후 꿀을 발라 밥이나 깨를 묻혀 만든 유밀과이다. 백반가루를 묻히면 흰색의 백산자이고 팥물로 지은 밥인 홍반가루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