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백두대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45)
- 백두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름이다. 2005년 1월 1일1부터 시행되고 2009년 3월 5일자로 개정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백두대간이라 함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ㆍ설악산ㆍ태백산ㆍ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를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산경표에 따르...
- 고루포기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052m), 남쪽에 옥녀봉(玉女峰, 1,146m) 등이 솟아 있고, 백두대간 상에 솟아 있는 산으로, 울창한 숲과 초원지대와 야생화가 조화를 이루어 풍경이 아름답다. [자연환경] 북서쪽의 사면은 완경사를 이루고 있어 한 때 대관령스키장이 있었던 곳이기도...
- 소간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령 터널이 완공되면서 대간령과 더불어 소간령의 영동과 영서지방을 연결하는 교통 기능은 거의 없고 대간령과 미시령 구간의 백두대간 등산객들의 주요 탐방코스가 되고 있다. 현재는 백두대간 등산로의 최북단에 속하는 곳으로 박달나무쉼터-계곡-소간령-물구비계곡상류-대간령...
- 장백정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우리나라 지형을 동서로 크게 갈라놓은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북쪽으로 함경북도의 지형을 두만강유역과 동해안유역으로 갈라놓은 산줄기의 옛 이름. [내용]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맥체계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
- 동국주현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연대ㆍ작자 미상의 8도 주현도. [내용] 필사본. 세로 47㎝, 가로 32㎝. 삼성출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전국의 8도 330개 주현을 자세하게 표기하였으며, 백두산에서 비롯되는 백두대간(白頭大幹)을 강조하고 있다. 강줄기는
논문(1)
- 한국 명산문화 연구의 모델 설계와 방법 수립을 위한 試論 [한국의 명산문화 연구 | 경상국립대학교]저자 : 최원석 | 게재정보 : 남명학연구
고서·고문서(5)
- 天地門2_朝鮮地方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遂弱, 則其始封之界, 實與燕接近. 今長城外遼、瀋之地, 皆域內也. 所謂滿潘汗, 不知何指, 而燕東無許大地, 今自義州至山海關, 不過千四百里. 意者, “滿”者, 今之滿洲, 淸之興王地, 是也. “潘”者, 恐“瀋”之誤. 我邦江界之外、白頭大幹之西, 皆爲燕人所統也. 然猶與燕以浿水爲界...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天地門1_白頭正幹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水皆散流. 惟嶺南左右圍抱, 東萊、金海爲捍門, 是卽山盡水會, 而麤厲殺氣, 脫去無迹也. 左旁東海, 乃凝定一大湖, 與白頭大幹同其始終. 黿鼉蛟龍魚鼈生焉, 貨財殖焉, 所以養成無限人材. 外周日本大幹, 迤南迤西, 圍抱水口, 飛霞過脈, 爲島爲嶼也. 右幹止於頭流, 其勢若截溟而過者, 雄...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天地門2_西道關阨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前朝朴犀保障之地. 時梗、龍川之間, 亦宜量擇形勢, 而修築之, 可也. 慈母城雖曰天險, 非要衝也.” 其說如此, 而余未曾躬歷, 未詳其如何. 其他江界、理山等路, 國朝征討, 多由此, 亦不可不慮, 而赤兎、赤鼠之役, 皆取義州路, 此必其勢有然者也. 蓋白頭大幹, 沿海南走, 其間鐵嶺爲北關...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天地篇下]地理門_西道關隘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가)ㆍ성균관대본(나)ㆍ성호기념관본ㆍ아단문고본(가)ㆍ연세대본(가)ㆍ연세대본(나)에는 ‘詳’으로 되어 있다.其如何. 其他江界、理山等路, 國朝征討, 多由此, 亦不可不慮 慮: 성균관대본(가)에는 ‘思’로 되어 있다., 而赤兎、赤鼠之役, 皆取義州路, 此必其勢有然者也. 蓋白頭大...서명星湖僿說類選卷之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동유기(東遊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우리나라 백두대간이 뻗어내린 곳이다. 산봉우리가 무더기로 솟아 장막처럼 늘어서서 높이 허공에 우뚝 솟았는데, 그 주봉을 선굴산(仙窟山)이라 하고, 다음 봉우리를 비로봉이라 하는데, 남쪽을 향해 크게 펼쳐져 있으니, 곧 온 산의 정령(精靈)을 모아 정북쪽의 위치에 웅거하...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종욱(李鍾郁)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1)
- 해병대에 자원입대해 참전한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장이 앞장설테니까 대대장 뒤에 따르라 하게 하는. 겨난 그거 좀 머 이제 두 루 몇 따라갔제. 따른디 눈이 많쿠 와서 야튼 그 저 백두대간 그 저 이북간에는 산이 더 산세가 허 [조사자 : 험하고 위험했고?] 예. 겨닌 산꼭대기 타고 하다가 철모라도 털어지믄 땡굴땡굴조사지역제주 | 조사일2012년 2월 6일
기초학문(1)
- 백두대간 이용과 보전에 관한 갈등사례 연구 - 갈등조정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광구, 게재일 : 201358170 김광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자치행정학회 2013 백두대간 이용과 보전에 관한 갈등사례 연구 - 갈등조정과정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
- 장백산_2004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발효, 취하는 세상(외9수) 김파 96 김파의 해체주의시 실험 최삼룡 100 백두대간에 내리는 눈(외3수)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2004
기타자료(1)
- 울산 서하리 서하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북면과 접하고 있다. 조사지역의 지형은 대부분 산악지형으로 형성된 고지대로 서쪽에는 백두대간의 지선인 낙동정맥이 뻗어내려와 백운산과 고헌산에 이르러 험준한 산악지형을 이루고 있다. 하천은 백운산에서 발원하여 형산강의 상류에 해당되는 복안천이 북쪽을 돌아 흐르며 남쪽에는...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재)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연구과제(1)
-
한국의 명산문화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원석 | 경상국립대학교 | 2021 | 국내 | 경남
주제어사전(18)
-
백두대간 / 白頭大幹 [지리/자연지리]
행되고 2009년 3월 5일자로 개정된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서 “백두대간이라 함은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금강산·설악산·태백산·소백산을 거쳐 지리산으로 이어지는 큰 산줄기를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산경표에 따르면 백두산부터 원산, 함경도 단천의 황토령, 함
-
낙동정맥 / 洛東正脈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태백시의 구봉산에서 부산광역시 다대포의 몰운대에 이르는 산줄기의 옛 이름. 낙동정맥(洛東正脈)은 낙동강 동쪽에 위치한 정맥이다. 이 정맥은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전국토의 근골(筋骨)을 이룬 백두대간(白頭大幹)의 태백산 줄기인 구봉산(九峰山)에서 남쪽으로 갈라져
-
산경표 / 山經表 [지리/인문지리]
고 난외 상단에 주기(註記)로 소속 군현을 명기하였다. 내용은 백두대간(白頭大幹)과 이에서 연결된 14개의 정간(正幹)·정맥으로 구분되어 있다. 백두대간은 백두산으로부터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그치며, 장백정간(長白正幹)은 황토령(단천)에서 시작하여 함경도 지역의 산계들을
-
고루포기산 / ─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도암면과 강릉시 왕산면에 걸쳐 있는 산. 고루포기산의 높이는 1,238m이고,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한다. 북쪽에 능경봉(1,123m), 동쪽에 서득봉(西得峰, 1,052m), 남쪽에 옥녀봉(玉女峰, 1,146m) 등이 솟아 있고, 백두대간 상
-
동국주현도 / 東國州縣圖 [지리/인문지리]
전국 8도 330개 주현을 그린 지도.고지도. 필사본. 세로 47㎝, 가로 32㎝. 삼성출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전국의 8도 330개 주현을 자세하게 표기하였으며, 백두산에서 비롯되는 백두대간(白頭大幹)을 강조하고 있다. 강줄기는 모두 그려져 있지만 산은 높은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