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백광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51)
- 백광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弘) 및 종제 광성(光城) 등 한 집안 4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한사람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백광훈은 박순(朴淳)의 문인으로 13세 되던 해인 1549년(명종 4)에 상경하여 양응정(梁應鼎)‧노수신(盧守...이칭별칭 창경(彰卿)| 옥봉(玉峯)|백광선생(白光先生)|삼당시인(三唐詩人)
- 백광훈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이달의 절친한 친구로 최경창, 이달 등과 더불어 시사를 결성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홍경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오언절구. 『옥봉집(玉峰集)』‧『국조시산(國朝詩刪)』 권1 등에 전하며, 『학산초담(鶴山樵談)』‧『소화시평(小華詩評)』 등에도 전편이 소개되어 있다. [내용 및 평가] ...
- 용강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장편 칠언고시로, 작자의 문집 『옥봉집(玉峰集)』에 전한다. 형식은 서울 가서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는 아낙네의 사설로 작품을 구성하였다.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한...
- 옥봉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시인 백광훈(白光勳)의 시문집. [개설] 4권(별집 1권 포함) 2책. 목활자본. 초간본은 백광훈이 죽은 지 27년이 지난 뒤인 1609년(광해군 1)에 그의 아들 진남(振南)이 편찬하고 윤안성(尹安性)이 간행하였다. 그 뒤...
고서·고문서(8)
- 옥봉시집(玉峰詩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在縣西十里李後白白光勳崔慶昌配享)출처전거輿地圖書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572 B049572 덕진 德津 군사교통 全羅道邑誌 靈巖郡邑誌 靈巖郡 池塘 ... 經開李後白詩北嶺林巒拱挹來南山嵢翠望中迴一村樓觀家家好犻愛玆堂眞地開白光勳詩一枕淸聲遠澗來主人明月夢初新醅欲漲葡萄迴綠何日寒梅滿樹開愼天翊詩皎潔何妨汚穢來淸陰一貫四時迴閑中自省應遺意爲勉塵襟向此開金壽怛...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가우도(駕牛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出又有群峯矗矗奇怪可賞 白光勳詩曰白蓮山到玉泉村一水中分是石門隨興自知芳草路獨歸時帶暮雲痕秋風別夢遼城鶴明月鄕心楚寺猿聞道仙人猶不死若爲相見問三元 駕牛島竹島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千竿修竹鳳將來萬朶紅蓮月欲迴歲晚好爲松菊伴橘中杯酌愼經開李後白詩北嶺林巒拱挹來南山嵢翠望中迴一村樓觀家家好犻愛玆堂眞地開白光勳詩一枕淸聲遠澗來主人明月夢初新醅欲漲葡萄迴綠何日寒梅滿樹開愼天翊詩皎潔何妨汚穢來淸陰一貫四時迴閑中自省應遺意爲勉塵襟向此開金壽怛詩高門積慶啓方來二友名堂歲幾回苦節淸芬元世業莫...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0)
-
백광훈 / 白光勳 [종교·철학/유학]
1537년(중종 32)∼1582년(선조 15). 조선 중기의 시인. 아버지는 세인, 어머니는 신광통의 딸이다. 형인 광안과 광홍 및 종제 광성 등 한 집안 4형제가 모두 문장으로 칭송을 받았다. 양응정·노수신 등에게서 수학하였다. 예빈시, 소격서 참봉을 역임하였다. 저
-
용강사 / 龍江詞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장편 칠언고시로, 작자의 문집 『옥봉집(玉峰集)』에 전한다. 형식은 서울 가서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기다리는 아낙네의 사설로 작품을 구성하였다.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한 사람인 백광훈이 생활감정을 절실하게 표현하는 방향으로
-
서봉서원 / 瑞峯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현산리에 있는 서원. 1590년(선조 23)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후백(李後白)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강진군 성전면 월곡리에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2년(숙종 38)에 백광훈(白光勳)과 최경창(崔慶昌)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
-
홍경사 / 弘慶寺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백광훈(白光勳)이 지은 한시. 오언절구. 『옥봉집(玉峰集)』·『국조시산(國朝詩刪)』 권1 등에 전하며, 『학산초담(鶴山樵談)』·『소화시평(小華詩評)』 등에도 전편이 소개되어 있다. 홍경사를 지나며, 그 회고적 감회를 읊은 시이다. 1구에서는 가을 풀 우거
-
옥봉시집 / 玉峰詩集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시인 백광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60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별집 1권 포함) 2책. 목활자본. 초간본은 백광훈이 죽은 지 27년이 지난 뒤인 1609년(광해군 1)에 그의 아들 진남(振南)이 편찬하고 윤안성(尹安性)이 간행하였다. 그 뒤에 그의 5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