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배향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23)
- 배향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사람을 택정해 묘정에 배향하고 부제(祔祭)를 지냈다. 그런데 국왕의 신주를 종묘에 봉안할 때 모든 배향공신이 택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국왕과 특별한 관계에 있던 사람이 국왕보다 늦게 죽으면 사후에 선왕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또한 후대에 특별히 추배(追配)되...
- 배향공신(配享功臣)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배향공신 배향공신 配享功臣 공신(功臣) 종묘배향공신(宗廟配享功臣), 문묘배향공신(文廟配享功臣), 묘정배향공신(廟庭配享功臣), 정향(庭享) 훈봉공신(勳封功臣), 정훈공신(正勳功臣), 원종공신(原從功臣) 정치인사/녹훈 개념용어상위어공신(功臣) | 하위어종묘배향공신(宗廟配享功臣), 문묘배향공신(文廟配享功臣), 묘정배향공신(廟庭配享功臣), 정향(庭享) | 관련어훈봉공신(勳封功臣), 정훈공신(正勳功臣), 원종공신(原從功臣)
- 허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향년 59세였다. 왕이 이를 듣고 슬퍼하여 셋째 아들 관(冠)에게 8품의 관직을 주었다. [상훈과 추모] 보현원(普賢院) 서산 기슭에 장사지냈다. 이후 1310년(충선왕 복위 2) 충렬왕의 묘정에 배향됨으로써 배향공신으로 추증되었다. 문경(文敬)이라는...이칭별칭의(儀)|온궤(韞匱)|문경(文敬)
- 배원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관리. [개설] 김해(金海) 배씨(裵氏)의 시조. 고려 태조배향공신(太祖配享功臣) 배현경(裵玄慶)의 후손으로 가락군(駕洛君)사혁(斯革)의 큰아들이다. [활동사항] 우왕(禑...
- 이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된 판삼사사(判三司事) 박지량(朴之亮)의 외손이고, 철원군 우(鐵原君瑀)의 아들이며, 충혜왕의 배향공신인 정당문학 이조년(李兆年)의 사위이다. 충숙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1357년 형부상서로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원나라에 다녀왔다. 1360년 어사대부로...이칭별칭 모지(慕之)| 도촌(桃村)
고서·고문서(12)
- 정종대왕국휼등록[계제사](正宗大王國恤謄錄[稽制司])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책은 『정종대왕국휼등록』(K2-3015)에 비해 국상의 제반 절차가 빠짐없이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국상을 당하여 과거를 일시 정지한다든가 종묘 부묘와 동시에 배향공신 논의가 있는 것은 K2-3015에서 보이지 않았던 기사이다. 요는 K2-3015에서 생략된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人事門9_同牢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同牢 《婚義》云: “共牢而食, 合巹而酳, 所以合體、同尊卑.” 今人婚禮, 中設一卓, 謂之“同牢”, 考諸《儀禮》及《家禮》, 何嘗同一卓耶? 東俗之魯莽, 如此. 夫男女大婚, 爲人倫之始, 其禮至嚴定, 不宜如是褻狎也. 杜氏《通典》: “魏 高堂隆議配享功臣云: ‘功臣配食於先王, 象...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1652]기축국휼등록(己丑國恤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는 분명하지 않다. 『인조대왕국휼등록』의 기사보다 덧붙여진 부분은 청나라 칙사가 나왔을 때 복색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의논하는 것이 많다. 또 『인조대왕국휼등록』의 기사가 1651년 4월에 끊어지는데, 이 책은 그 이후로 국상이 종료되어 종묘에 합부하는 절차, 배향공신...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순종대왕국휼의주등록(純宗大王國恤儀註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명정후별전의(改銘旌後別奠儀)」는 명정을 고친 후에 별도로 올리는 전제에 관한 규정이다. 「원당리행전숙소봉안의(元堂里行殿宿所捧安儀)」는 원당리의 임시 숙소에서 영좌를 안치하는 의절에 관한 규정이다. 「제배향공신위판선교서치제의(題配享功臣位版宣敎書致祭儀)」는 배향공신의 위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고종태황제‧명성태황후]부묘주감의궤([高宗太皇帝‧明成太皇后]祔廟主監儀軌)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수선하거나 새로 갖추는데 들어가는 재료의 양과 규격 등에 관해 정리해 놓았다. 「배향신 위판」은 배향공신의 위판 규격과 위판에 글씨를 쓰는 식, 위판을 제작하고 글씨를 쓰는데 소용되는 재료와 규격 등을 정리해 놓았다. 「배향신 교서」는 배향공신인 우의정 박규수와 우...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3)
-
배향공신 / 配享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국왕의 묘정에 배향된 공신. 국왕이 죽으면 종묘에 신주를 봉안하고 선왕들과 합사, 이 때 국왕 생전의 총신이나 보익에 큰 공로가 있는 사람을 택정해 묘정에 배향하고 부제를 지냈다. 그런데 국왕의 신주를 종묘에 봉안할 때 모든 배향공신이 택정되는 것은
-
공신 / 功臣 [역사]
국가나 왕실을 위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주던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크게 배향공신과 훈봉공신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훈봉공신은 다시 정공신과 원종공신으로 나누어진다.
-
원종공신 / 原從功臣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을 수종해 공을 세운 사람에게 준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공신을 크게 나누면, 배향공신과, 훈공을 나타내는 명호를 1등에서 3등 또는 4등으로 나누어 포상하는 훈봉공신이 있다. 그리고 훈봉공신은 다시 정공신과 원종공신으로 나뉜다. 실록에 나오는 원종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