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배재학당” 에 대한 검색결과 20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6)

사전(8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치고, 또 앞으로 여러 학생을 교육할 학교를 세울 뜻을 가지고 있다는 말을 듣고 곧 학교 사업을 허락하였다. 그리고 고종은 1886년 6월 8일 인재를 배양하는 ‘’이라는 교명(校名)과 액(額, 학교 간판)을 내려 주었다. 당대의 명필 정학교(丁學喬)에게...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885년(고종 22)에 미국의 북감리회 선교사인 아펜젤러가 서울에 세운 조선 최초의 근대식 사립 학교
    정의1885년(고종 22)에 미국의 북감리회 선교사인 아펜젤러가 서울에 세운 조선 최초의 근대식 사립 학교 | 문광부표기Baejae Hakdang | MR표기Paejae Hakt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협성회회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8년에 창간되었던 순국문 주간신문. [내용] 1897년 12월 상순 ()의 학생회인 협성회 제29회 공개토론회에서 회보 발간을 결정하고 이듬해 1월 1일 구내에서 창간하였다. 그러나 실제의 발행허가는 1월 26일부터였...
  • 근대신어 : 토요일(토요일)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9033 토요일 타항 토요일 학당에셔 토요일 열시면 교관 량호믁씨가 에서 토요일 10시이면 교관 양호묵씨가 독립신문 1896 5 23 2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1, 188면
    출전독립신문 | 계통분류 [과학지식] 시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이중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1(고종 18)∼? 국어학자. [내용] 호는 동운(東芸). 서울 출신. 흥화학교(興化學校) 영어과 졸업 후, 1904년 이 학교 교사를 지낸 뒤 에서 교편을 잡았다. 1929년 『조선어사전』(뒷날 한글학회...
    이칭별칭 동운(東芸)

고서·고문서(5)

  • 번커가 알렌의 주한미국공사 임명을 축하하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
    ce N. Allen)의 주한미국공사 임명을 축하하는 날짜 미상의 서한으로, 발신자는 육영공원을 거쳐 에서 교사로 활동하던 번커(Dalzell A. Bunker)이다. 이영미 뉴욕공공도서관 R1-B1-07-024.pdf
    문서종류서한 | 생산일자1897년 7월경 | 수신자Horace N. Allen
  • 벙커가 알렌에게 스완지에게 돈궤를 보낸 사실을 알리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
    1904년 12월 29일 북감리교 선교사로서 교장 벙커(Dalzell A. Bunker)가 주한미국특명전권공사 알렌(Horace N. Allen)에게 보낸 문서이다. 돈궤와 자물쇠, 포장용 상자를 구입하고 각종 운송료를 지불한 명목으로 알렌에게 56.55...
    문서종류기타 | 생산일자1825 | 수신자Horace N. Allen
  • 알렌이 덴비에게 돈궤 구매와 관련하여 정보를 알리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
    다. 덴비는 11월 10일자 편지를 통하여 한국의 돈궤를 구해 달라고 부탁하였던 바, 알렌은 포장비와 운송비를 제외하고 30~40엔 정도면 구입할 수 있으며 교장 벙커(Dalzell A. Bunker)에게 돈궤의 구매와 운송을 부탁하였다고 답변하였다. 아울러...
    문서종류서한 | 생산일자1793 | 수신자Charles Denby
  • 알렌이 아들들에게 한국 소식을 전하고 학교생활과 관련해 조언하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
    M. Allen), 엘렌(Ellen)※, 봉기계획, 언더우드(Horace G. Underwood), 고종(高宗), 블랜드 살인사건(Bland Murder), 사이드보덤(Effie B. Sidebotham), 존슨 부인(Mrs. Johnson)※, , 선원전 화재...
    문서종류서한 | 생산일자330 | 수신자Boys
  • 전협 외 인 판결문(경성지방법원) 송세호 외 8인 판결문(1920년 형공제35호‧40호, 경성복심법원) 윤종석 외 2인 판결문(1920년 형상제68호, 고등법원)( 全 協 外 35人 判決文(大正9年公刑第1003號,第1013號, 京城地方法院) 宋世浩 外 8人 判決文(大正10年刑控第35號‧40號, 京城覆審法院) 尹鍾奭 外 2人 判決文(大正10年刑上第68號, 高等法院))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
    (1) 1대는 남대문통 조선은행 앞 (2) 1대는 동대문 내 한일은행 지점 앞 (3) 1대는 정동 앞에 파견하고 (1)에는 피고 정규식이 다른 공모자 3명과 함께 차를 타고 해(該) 선언서를 살포하면서 하세가와쵸(長谷川町)를 경유하여 광화문통으로 나와 비각 앞...
    제목 전협 외 인 판결문(경성지방법원) 송세호 외 8인 판결문(1920년 형공제35호‧40호, 경성복심법원) 윤종석 외 2인 판결문(1920년 형상제68호, 고등법원)( 全 協 外 35人 判決文(大正9年公刑第1003號,第1013號, 京城地方法院) 宋世浩 外 8人 判決文(大正10年刑控第35號‧40號, 京城覆審法院) 尹鍾奭 外 2人 判決文(大正10年刑上第68號, 高等法院)) | 사건유형 정치범처벌령 위반,출판법 위반,보안법 위반 및 사기 사건 | 소장처국가기록원

구술자료(2)

  • 전용재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김기병, 김우신, 남궁억, 맥클레이(Robert S. Maclay), 박마리아, , 서재필, 이승만, 전덕진, 전진, 전희균, 최용신,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 스크랜턴(Mary Scranton), 알렌(Horace Newton
    구술자전용재 | 직업목사 | 지역함경도
  • 자로 잘 산께 서울서 인자, 거그는 서울로 떠갖고 당고모 딸이 배재학교요, 그때? 거그를, 이라고 했어요. 거그를 보내줄 것인께 “우리가 다 니 밥도 먹이고 너를 보내 줄것인께 가 자.” 그더요. 몰래 도망가자고. 그런디 아버지가 “니 한 번 내 살 방 나가기만
    조사일2014년 07월 12일

신문·잡지(3)

  • (12) 대학설립관련 정동에 대학설립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14년 6월 21일 권업회 권업신문 제116호 기사/사설 2 이 기사는 정동 이 대학을 설립하고 그 규모를 확충하는 것을 알리는 기사임. 대학 설립 비용은 동양선...
    대표표제어정동에 대학설립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권업회 | 출처권업신문 제116호 | 키워드정동 배재학당, 대학 설립, 동양선교사, 미국선교회
  • 근래의 생물학 서춘 43 소년행 54 학교 방문기- 급 배재고등보통학교 56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8
  • 회원과 함께 가련다 나정현 78 의 일화 장용하 80 꽁주사 김성환 84 만화임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9

멀티미디어(1)

  • 서울의 하루 2 - 개화와 문명의 발달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구한말의 개화는 한국 사람들과 서울에 많은 변화를 몰고 왔다. , 이화학당 등의 교육시설, 제중원 등의 새로운 병원, 기독교 등의 새로운 종교가 이러한 변화를 대표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시내와 길거리가 폐허로 변하고 많은 주택이 소실되었지만, 서울은 빠르게 제
    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57년 | 제작영진 푸로덕숀

기타자료(98)

  • 신교육체제창시의 선구자-과 H.G 아펜셀라 박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신교육체제창시의 선구자-과 H.G 아펜셀라 박사 신교육체제창시의 선구자-과 H.G 아펜셀라 박사 新敎育體制創始의 先驅者-과 H.G 아펜셀라 博士 교육 문헌 현대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장용하 | 사료철명교육평론
  • 배재80년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1965 학교법인 859 PDF
    범주1학교사 | 형식단행본 | 한글저자배재학당
  • 김명엽;金明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1723 남한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1-27 배제 창간호 1922 95면 1. 13회 김명엽;金明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배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공인태;孔仁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1724 남한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1-27 배제 창간호 1922 95면 1. 13회 공인태;孔仁台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배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중학;金中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1725 남한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1-27 배제 창간호 1922 95면 1. 13회 김중학;金中學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배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9)

  • / [교육]

    1885년(고종 22) 8월 5일 미국 감리교 선교사인 아펜젤러가 서울에 세운 한국 최초의 현대식 중고등 교육기관. 오늘날 배재중.고등학교 전신이다. 처음에는 학생 2명으로 시작, 고종황제로부터 <>이라는 친필 간판까지 하사받고, 그해 10월 학생수가 20명으

  • 매일신문 / 每日新聞 [언론·출판/언론·방송]

    1898년에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신문. 원래 ≪협셩회회보≫는 구내에서 발행하였으나 ≪일신문≫으로 발전한 뒤에는 사옥을 남대문 안, 전 싸전(쌀과 그 밖의 곡식을 파는 가게)도가로 정하고 훈동에 있던 이문사의 활판을 옮겨다 발행하였다.

  • 조선어문법제요 / 朝鮮語文法提要 [언어/언어/문자]

    용하면서 당시로서는 높은 수준의 내용을 서술하였는데, 저자가 () 교수로 되어 있는 점으로 보아 그 대학부의 강의안일 가능성도 있다. 이 책은 국어사적 서술의 효시인 동시에, 국어문법의 충실한 초기적 음운론의 서술에 해당한다. 특히, 우리 민족의 원류를

  • 강매 / 姜邁 [종교·철학/개신교]

    1878-1941. 장로, 기독교 문필가. 최병현, 전덕기 등과 교류하면서 기독교인이 되었다. 정동교회에 출석하였으며, 장로로 시무하였다. 1907년 일본대학 고등사범 수법과를 졸업하였다. 귀국후 등에서 가르쳤다. 언론계에도 투신하여 조선일보, 중앙일보, 시

  • 이중화 / 李重華 [언어/언어/문자]

    서울 출신. 국어학자. 영어과 졸업 후, 1904년 이 학교 교사를 지낸 뒤 에서 교편을 잡았다. 1929년『조선어사전』(뒷날 한글학회의 큰사전) 편찬집행위원, 1936년 이 사전 전임 집필위원 및 조선어표준말사정위원을 지냈는데, 사전 집필에서 특히 옛 제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