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배응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4)
- 배응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44(중종 39)∼1602(선조 35).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성산(星山). 자는 회보(晦甫), 호는 안촌(安村). 증 제용감정(贈濟用監正) 윤문(潤文)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증 형조참의 유(裕)이고, 아버지는 무원(茂...이칭별칭 회보(晦甫)| 안촌(安村)
- 소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박승임(朴承任)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600년(선조 33) 그의 제자 김륵(金玏)ㆍ오운(吳澐)ㆍ배응경(裵應褧)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속집과 부록은 그의 6대손 희천(希天)이 수집하고 이상정(李象靖)...
- 박이현(朴而絢)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치고 성원(聲援)하면서 여러 차례 왜적과 싸웠다. 왜적이 울산(蔚山)으로 들어가자, 부사(府使)배응경(裵應褧)이 대비하지 않고 있다가 패배를 당하여 처벌을 받게 되었는데, 그가 참살한 적의 머리를 배응경에게 주어 처벌을 면하도록 해 주었다. 이 해 10월에 왜적이 가천...
- 안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배응경(裵應褧)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84년(고종 21) 황재영(黃在英)이 편집, 8세손 한식(漢植)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연하(權璉夏)의 서문, 권말에 황재영의 발문과 한식의 후지가 있다...
고서·고문서(10)
- 안촌선생문집(安村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개운포(開雲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在開雲浦西應下山東應川內北應慶州府大岾 川內烽燧 在魴魚津西西應加里山東應南木川 南木川烽燧西應川內北應柳浦 柳浦烽燧 南應南木川北應慶州府下西知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기장(機張)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雲浦西應下山東應川內北應慶州府大岾 川內烽燧 在魴魚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山) 望德山烽燧(在府城內北南應屈伸浦北應浦項峴) 浦項峴烽燧(在府北十五里南應望德山北應撫夷堡西峯) 撫夷西峯烽燧(在府北三十五里南應浦項峴西應阿吾地東峯) 阿吾地東峯烽燧(在府西三十二里東應撫夷西峯北應慶源白顔)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산(南山)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西應下山東應川內北應慶州府大岾 川內烽燧 在魴魚 ...출처전거新增東國輿地勝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배응경 / 裵應褧 [종교·철학/유학]
1544(중종 39)∼1602(선조 35). 조선 중기의 문신. 윤문 증손, 할아버지는 유, 아버지는 무원, 어머니는 정희장의 딸이다. 정구와 교유하였다. 1573년(선조 6) 사마시에 합격, 1576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대표관직으로는 순천부사, 나주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