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배불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20)
- 배불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불교를 배척하자는 주장.정의불교를 배척하자는 주장.[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baebullon | MR표기paebullo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김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ㆍ음률에 이르기까지 통달하였다. 배불론자(排佛論者)의 한 사람으로 자신의 상(喪)을 『주자가례』에서 따르도록 여러 아들에게 유언할 정도였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고려사(高麗史)』 『태종실...이칭별칭 원명(元明)| 일계(逸溪)| 문정(文靖)
- 유석질의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학자들의 배불론(排佛論)에 대하여 불교의 입장에서 유교와 불교를 대질하여 자문자답식으로 논술한 책이다. 내용의 요지는 유교와 불교는 세상을 구제하고 백성을 이롭게 하는 교법이므로 공존함이 마땅하니 서로 배척하지 말아야 한다는 취지를 논하고 있다. 배불자의 질문에...
- 김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또한, 김자수에게 무례한 행동을 하여 김자수의 소에 따라 순군옥(巡軍獄)에 갇혔다가 얼마 후 석방되었다. 철저한 배불론자(排佛論者)로서 천변(天變)이 자주 일어나고 가뭄이 심하자 왕의 숭불사상을 통박하며, 중들은 본업에 환속하게 하는 한편, 오교양종(五敎兩宗)...
- 허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들어 배불론(排佛論)을 주장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샀다. 그 뒤 좌상시(左常侍)에 보직되어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가담하여 시폐를 혁신할 것과 전제의 개혁을 주장하였다. 조선이 개국된 뒤 여러 요직을 거쳐 태종초에는 대사헌이 되어 배불정책을 강경하게 주장하였...이칭별칭 경혜(景惠)
논문(1)
- 정도전의 배불론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저자 : 아오잉(延邊大學) | 게재정보 : 유불관계와 유교중국화 1권, 게재일 : 2010.10유형논문
주제어사전(2)
-
배불론 / 排佛論 [종교·철학/불교]
불교에 대한 비판이론. 중국 동진시대 이후 본격적으로 불교에 대한 비판이 일면서 대두되었다.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초기에는 비판이 미미했다. 불교가 사회적, 사상적으로 영향력이 있으면서 도교와의 논쟁이 격렬해졌고, 이 과정에서 배불론은 더욱 발전하였다. 우리나는 고려
-
박강생 / 朴剛生 [종교·철학/유학]
관으로 명나라에 가서 세자에 대하여 보고를 잘 함으로써 황제의 환심을 사게 하고 돌아와 태종으로부터 미두를 하사받고 이어 선공감역이 되었다. 수원부사, 안변도호부사를 역임하였다. 저술로는 <배불론>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