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방호별감” 에 대한 검색결과 5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

사전(3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후기 왜(倭)와 몽고군, 그리고 합단(哈丹)의 침략 때 이를 방어하기 위해 산성 등 요지에 파견된 군대의 지휘관. [개설] 산성(山城)으로 불렸으며 ‘산성별감(山城別監)’이라고 약칭되었다. 은 후대에 방호사(防...
    이칭별칭산성방호별감(山城防護別監)|산성별감(山城別監)
  • TD_L7_D_0499 金允矦 남자 忠州 麗, 蒙, 蒙 高宗, 允矦 D_08_01_107 대동운부군옥 8권 1장 10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1장 10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H1_D_0084 松炬 전쟁 蒙兵, 火攻, 竹州 宋文胄 麗史 D_09_06_36 대동운부군옥 9권 6장 3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6장 3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5_D_0202 勸農備禦 정치사건 , 勸農別監, 巡問使, 煩宂 各道, 山城 高宗 麗史 D_09_06_06 대동운부군옥 9권 6장 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6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4005 宋文胄 인물 , 蒙兵, 士卒, 拔城, 神明, 左右衛將軍 竹州, 蒙古 高宗 D_17_04_12 대동운부군옥 17권 4장 1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4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3)

  • 2920 B002920 갑곶강 甲串江 하천 高麗史節要 卷之十七 高宗 四十五年 九月 九月 蒙兵三百餘騎 來屯 G030100]甲串江外發崔竩家產 自諸王宰樞 以至權務隊正 賜布有差⁄廣福山城避難吏民 殺柳邦才 降於蒙兵⁄蒙兵自窄梁 來屯甲串江外 籠絡山野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七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921 B002921 갑곶강 甲串江 하천 高麗史節要 卷之十七 高宗 四十五年 九月 九月 蒙兵三百餘騎 來屯甲串江外發崔竩家產 自諸王宰樞 以至權務隊正 賜布有差⁄廣福山城避難吏民 殺柳邦才 降於蒙兵⁄蒙兵自窄梁 來屯甲串江外 籠絡山野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七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波穴避兵之民多入兩窟蒙古兵爇草投陽波穴中⁄遂安縣令朴林宗自縊死周尹率別抄出戰死之嘉殊穴別監盧⁄克昌被擒⁄廣福山城今未詳降于蒙古○安慶公淐偕蒙古使還
    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一上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皇叔也窟 統師往伐 若迎命納款 罷兵以還 若有拒命 朕必無赦⁄蒙古兵 陷西海道椋山城 是城四面壁立 唯一徑僅通人馬 權世侯 恃險縱酒 不爲備 且有慢語 蒙人臨城設砲 攻門碎之 矢下如雨 又梯石壁而上 以火 ...
    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十七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百姓而不出降乎降則秋毫不犯先是王以蒙兵⁄大至令三品以上各陳降守之策衆論紛紜平章事崔滋樞密使金寶鼎曰⁄江都地廣人稀難以固守出降便⁄蒙古攻寒溪城安洪敏擊敗之城在今麟蹄⁄登和州等諸城叛民自稱官人引蒙古人來攻寒溪城安洪敏率別抄出擊⁄盡殲之⁄盜發厚睿二陵
    출처전거東史綱目第十一上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국방]

    고려 후기 왜와 몽고군, 그리고 합단의 침략때 이를 방어하기 위해 파견된 군대의 지휘관. 1227년(고종 14) 김해 노단이 침구해오는 왜구의 배 2척을 잡아 30여 명을 베고 노획한 병장기를 바쳤다. 1236년 죽주 송문주가 몽고병을 패주시켰으며

  • 죽산 / 竹山 [지리/인문지리]

    종 9)광주(廣州)에 예속시켰다가 명종 때 감무를 두었다. 1226년(고종 13) 몽고군이 죽주성을 공략하였으나 () 송문주(宋文胄)가 이를 격퇴하였다. 1413년(태종 13)죽산현으로 하여 현감을 두었으며, 1434년(세종 16)에는 충청도 소관에서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