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방언집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4)
사전(6)
- 天淸亮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天淸亮 天淸亮 천청량 하 쳥명다 하늘이 청명하다 天文類 천문 天淸亮 하 쳥명다(方言集釋 卷1:2a) 방언집석_권1_2a 方言集釋卷一:2a:10행 표준국어대사전:std...현대음천청량 | 현대대응어하늘이 청명하다 | 키워드천문
- 天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天 天 천 하 하늘 天文類 천문 天 하(方言集釋 卷1:2a) 방언집석_권1_2a 方言集釋卷一:2a:8행 『표준국어대사전』 하늘1: ① 지평선이나 수평선 위로 보이는...현대음천 | 현대대응어하늘 | 키워드천문
- 星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星 星 성 별 별 天文類 천문 星 별(方言集釋 卷1:2b) 방언집석_권1_2b 方言集釋卷一:2b:4행 『표준국어대사전』 별1: ① 『천문』 빛을 관측할 수 있는 천체 가운...현대음성 | 현대대응어별 | 키워드천문
- 설렁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석(方言輯釋)』에서는 공탕을 한나라에서는 콩탕, 청나라에서는 실러, 몽고에서는 슐루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실러ㆍ슐루가 설렁탕이 되었다는 것이다. 설렁탕은 서울의 명물음식으로서 일찍부터 대중음식으로 시판되었다. 설렁탕집에는 항상 2, 3개의 큰 무쇠솥에 설...이칭별칭설농탕
- 고려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보율령 大寶律令≫(701년)에는 장(醬)‧시(豉)‧말장의 셋이 나오고, 또 ≪쇼소원문서 正倉院文書≫(752년)에도 말장이 나오는데, 미소라 읽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방언집석≫에는, “장은 중국어로 장, 만주어로 미순, 일본어로 미소라 한다.”고 하였고, 또...
고서·고문서(266)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方言集釋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방언집석 266 1778_방언집석 方言集釋 1778방언유석_신부방언002a.jpg 方言集釋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亥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방언집석 266 1778_방언집석 亥 1778방언유석_신부방언007a.jpg 亥 年 整年 왼 今年 올 明年 년 後年 후년 舊年 지난 去年 샹년 前年 그럿긔 大前年 그그럿긔 頭年 첫 本命年 환갑 本年 그 那一年 어 豊年 뭉년 饑荒年 흉년 年...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地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방언집석 266 1778_방언집석 地 1778방언유석_신부방언009b.jpg 地 地硬 굿다 地軟 무르다 地鬆 서벅서벅다 地動 디동다 地潮 축축다 地坼 터지다 滷地 背陰地 음달 水涸地 믈 은 坎坷地 얽머흔 粘泥 진흙 膠泥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奔 븐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방언집석 266 1778_방언집석 奔 븐 1778방언유석_신부방언022b.jpg 奔 븐 혼 @ 塗 훈투 哼喞 흥지 欸誒 애애 嗑嗑 햐햐 人道我 인돠오 眼麻嗏 연마차 敵流 지뤼 博立 보리 蹀躞 뎌셔 腼腆 면텬 出氣 숨쉬다 呵欠 픠옴 嗄咈 트림 嚔噴 츼옴 打嗝 피기...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조선시대 역학서:1778_방언집석_袜 모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방언집석 266 1778_방언집석 袜 모 1778방언유석_서부방언024b.jpg 袜 모 ■ 쇄 래사 一塊 이쾌 裁衣裳 옷 마다 衣料 옷 大襟 옷것셥 前襟 앏쟈락 後襟 뒤ㅅ쟈락 領子 깃 上身 옷웃동 下身 옷아동 衣面 옷거족 衣裏 옷안 衣邊 옷기슭 袖子 ...편명1778_방언집석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기초학문(2)
- 《方言集釋》 상업어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강용중, 게재일 : 201359023 강용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문학회 2013 《方言集釋》 상업어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3
- 倭學書에 보이는 日本語音의 比較硏究 ―『倭語類解』『方言集釋』『三學譯語』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강희, 게재일 : 200437095 조강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일어일문학회 2004 倭學書에 보이는 日本語音의 比較硏究 ―『倭語類解』『方言集釋』『三學譯語』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유형논문 | 게재일2004
주제어사전(1)
-
방언집석 / 方言集釋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에 홍명복(洪命福) 등이 편집한 대역어휘집(對譯語彙集). 조선 후기에 홍명복(洪命福) 등이 한(漢)·한(韓)·청(淸)·몽(蒙)·왜어(倭語)의 5개 언어로 편찬한 대역어휘집(對譯語彙集)이다. 『방언집석』 속에는 ‘방언유석(方言類釋)’·‘방언집석(方言輯釋)’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