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방언집석” 에 대한 검색결과 2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4)

사전(6)

  • 天淸亮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天淸亮 天淸亮 천청량 하 쳥명다 하늘이 청명하다 天文類 천문 天淸亮 하 쳥명다( 卷1:2a) _권1_2a 󰡔󰡕卷一:2a:10행 표준국어대사전:std...
    현대음천청량 | 현대대응어하늘이 청명하다 | 키워드천문
  •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天 天 천 하 하늘 天文類 천문 天 하( 卷1:2a) _권1_2a 󰡔󰡕卷一:2a:8행 『표준국어대사전』 하늘1: 󰃃 ① 지평선이나 수평선 위로 보이는...
    현대음 | 현대대응어하늘 | 키워드천문
  • [조선 후기 물명 집성과 DB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星 星 성 별 별 天文類 천문 星 별( 卷1:2b) _권1_2b 󰡔󰡕卷一:2b:4행 『표준국어대사전』 별1: 󰃃① 『천문』 빛을 관측할 수 있는 천체 가운...
    현대음 | 현대대응어 | 키워드천문
  • 설렁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는 공탕을 한나라에서는 콩탕, 청나라에서는 실러, 몽고에서는 슐루라 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실러ㆍ슐루가 설렁탕이 되었다는 것이다. 설렁탕은 서울의 명물음식으로서 일찍부터 대중음식으로 시판되었다. 설렁탕집에는 항상 2, 3개의 큰 무쇠솥에 설...
    이칭별칭설농탕
  • 고려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대보율령 大寶律令≫(701년)에는 장(醬)‧시(豉)‧말장의 셋이 나오고, 또 ≪쇼소원문서 正倉院文書≫(752년)에도 말장이 나오는데, 미소라 읽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의 ≪≫에는, “장은 중국어로 장, 만주어로 미순, 일본어로 미소라 한다.”고 하였고, 또...

고서·고문서(266)

기초학문(2)

  • 》 상업어휘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용중, 게재일 : 2013
    59023 강용중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문학회 2013 《》 상업어휘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倭學書에 보이는 日本語音의 比較硏究 ―『倭語類解』『』『三學譯語』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강희, 게재일 : 2004
    37095 조강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한일어일문학회 2004 倭學書에 보이는 日本語音의 比較硏究 ―『倭語類解』『』『三學譯語』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주제어사전(1)

  • /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에 홍명복(洪命福) 등이 편집한 대역어휘집(對譯語彙集). 조선 후기에 홍명복(洪命福) 등이 한(漢)·한(韓)·청(淸)·몽(蒙)·왜어(倭語)의 5개 언어로 편찬한 대역어휘집(對譯語彙集)이다. 『』 속에는 ‘방언유석(方言類釋)’·‘()’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