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방언” 에 대한 검색결과 3,2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193)

사전(1,3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 언어의 하위류(下位類)를 이루는 변종(變種)들을 가리키는 용어. [내용] 하나의 언어가 지역적으로 달리 변화하여 어느 정도의 상이한 체계를 이룰 때에 각각의 지역에 분포된 언어체계를 그 개별언어에 대하여 지역(地域)이라 하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황덕길(黃德吉)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의 편찬 경위는 알 수 없지만, 1918년에 후손이 간행한 『하려선생문집(下廬先生文集)』의 발문에 『두호(斗湖)』을 토대로 했다고 한 것으로 볼 때, 이 책이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언어에서, 사용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 따라 분화된 말의 체계.
    정의한 언어에서, 사용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 따라 분화된 말의 체계.[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bangeon | MR표기pang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약 시대에, 성령에 힘입어 제자들이 자기도 모르는 외국 말을 하여 이방인을 놀라게 한 말. 또는 황홀 상태에서 성령에 의하여 말해진다는, 내용을 알 수 없는 말
    정의신약 시대에, 성령에 힘입어 제자들이 자기도 모르는 외국 말을 하여 이방인을 놀라게 한 말. 또는 황홀 상태에서 성령에 의하여 말해진다는, 내용을 알 수 없는 말 | 문광부표기bangeon | MR표기pang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I5_D_0109 서적-문집 不迨, 學于祿, 惟恐 顓孫 梅月堂 D_10_04_23 대동운부군옥 10권 4장 2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4장 2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3)

  • 1960년대 육진 연구(자료편)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황대화... | 출판사 : 역락 | 출판일 : 2011.09.
    분야언어 | 유형단행본
    제1장 서론 제2장 함경북도 경흥군 제3장 함경북도 경원군 제4장 함경북도 온성군 제5장 함경북도 종성군 제6장 함경북도 회령군 제7장 함경
  • 韓国語citaと北海道ラサルと日本語ラレルの硏究 [글로벌 지역연구 속의 한국학의 '전개력 강화'와 '전학적인 신진연구자 육성사업 전개' | 東京大學 (University of Tokyo)]
    저자 : 마루야마 히로코... | 출판사 : 히쯔시 서방 ひつじ書房 | 출판일 : 20160909
  •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조선후기 통신삼사의 국내활동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임선빈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조선후기 통신삼사에 대해 통신사 파견의 추이, 통신삼사의 인물별 개황, 통신사 인물 사례 연구로 나누어 살폈다. 조선후기 통신사 파견의 추이는 본 연구의 배경에 해당한다. 조선후기 통신사행은 선조 40년(1607)에 처음 다녀왔으며, 순조 11년(1811)에 끝났다...

논문(3)

고서·고문서(1,380)

  • 宋名臣言行錄 別集 卷一上 權 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64 權 字朝美河間人崇寧四年賜上舎及第釋褐授青州教歴睦親西宅除太博改司業奉使契丹歸除集撰知易州欽宗即位召爲左司靖康初改宗少直徽猷閣知冀州尋除天章待制改知東平建炎三年以寶文閣學士知江州明年改知建康改淮南江浙荆湖等路制置發運使...
    서명宋名臣言行錄 | 저자주희(朱熹), 이유무(李幼武)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伊藤東涯의 三韓紀略 연구 | 고려대학교]
    략 문적략 略 원문입력의 저본은 天理大學 圖書館 古義堂文庫 소장 自筆本(이하 자필본)으로 하였다. 약자, 이체자 등은 별도 표시 없이 정자로 바꾸었고, 고유명사인 경우에는 되도록 바꾸지 않았다. 필사본마다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각주...
    대표표제어방언략 | 편명_제목방언략
  • 學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學事典 인문학 언어학 學事典 연구회 편저 태학사 서울 2001 언어학; ; [국중]서고자료신청대(...
    대표표제어方言學事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언어학 | 소분류방언
  • 강릉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강릉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강릉사전 박성종,전혜숙 태학사 파주 2009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어; ...
    대표표제어강릉방언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경북 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경북 사전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어학 경북 사전 이상규 편 태학사 서울 2000 언어사전; 국어사전; 한국어; ...
    대표표제어경북 방언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구술자료(4)

  • 였던 영향으로 전라도식 억양과 을 사용하고 있었다. 주요 구연 자료는 생애담, 민속, 문화에 관한 것이었으며 민담의 경우에는 우화적인 이야기가 주종을 이루었다. 제보자를 대상으로는 총 2회의 조사가 이루어졌는데, 첫 번째 조사는 2017년 2월 19일 제보자의 자
    원국적몽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그러니까. [조사자2: 난 그렇게 생각했거든 우리나라가 서울 표준어가 있고 지방 이 있으면 알아듣거든. 의사소통하는데 그런 게 아니에요?] 근데 광동어는 약간 제주도 말, 제주 . [조사자1: 어 확 와 닿네.] 그런 느낌이어서 그래서 그런 거예요. 그래서 우리
    국가홍콩 | 제보자채가오 [홍콩, 여, 1993년생, 유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 틀린 것도 있는데 아예 안 맞아요. 약간 말도 안 통하고, 그러니까 어떻게 보면은 홍콩 사람들이 광둥어(广东语 , Cantonese Chinese)푸퉁화와 함께 중국을 대표하는 언어 중 하나라, 광둥성 등지에서 사용되는 중국의 대표적인 이다.를 쓰는데 광둥어는
    국가홍콩 | 제보자채가오 [홍콩, 여, 1993년생, 유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이리 왔어. 이리 와가지 고, 여기서 이제[조사자 : 노래 배우고] 내 혼자만, 내 혼자만 떨어졌지, 거기서. 그래 나는 아침부터 새벽부터 가가지고 거기서 산에 들어 가가지고 할 게 있어? 산에 덤불나가 는거 쭉 나가는 게 있어. 그거 가지고 참 그게 여 말로는
    조사지역경북 김천 | 조사일2013년 3월 24일

기초학문(206)

  • 충남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명옥, 게재일 : 2001
    08994 최명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어국문학회 2001 충남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23c52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전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명옥, 게재일 : 2001
    08304 최명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회 2001 전북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523c52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영남 과 호남 의 운율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고광모, 게재일 : 2000
    08603 고광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어문연구학회 2000 영남 과 호남 의 운율 비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울진과 오키의 성조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종승, 게재일 : 2009
    30354 박종승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우리말학회 2009 울진과 오키의 성조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대구과 안동의 성조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32435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학회 2002 대구과 안동의 성조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02

신문·잡지(143)

  • 米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상항 신문지 일미량국간에 갈등나도록 션동야 미국은 조만간에 일본과호것이 가쥴노 극력셜명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6월 1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無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동양에셔 십륙일 일본항에 도착 독일국 긔션함장은 일본이 미국에 야 음모가 잇다고 단언고 일본은 삼월 이에 미국에 야  문뎨를 리라고 인민을 경동케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2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天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위샤리대학교에셔 십리가랑되 링콩셩에 예슈교회당이잇 거월초에 그회당에셔슈일 젼에 특별긔도회를열고 하나님의 큰은헤밧기를 간구얏 그긔도 헤 외국말몰으 녀인과 한산아가 외국을 쥴곳며 그말노 긔도얏 이예슈 강 이쳔년 쳐음되일이라 왼교회와...
    게재일1906년 12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민세안재홍전집 : 獨總統의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045 1936 2 6 8 1 安在鴻 안재홍 獨裁管見 獨總統의 所謂白人優越論에 對하야 (一) 신문 조선일보 1면2단석간 논문 국제정세 직접자료 6권 뭇소리니 히틀러 케말파샤 A19360206...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세샹에 말말과 의 슈효가 이쳔...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세샹에 말말과 의 슈효가 이쳔 칠 오십가지가 잇더라
    게재일1901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15)

  • 중부과 동북_3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어의 한국어의 본 강좌는 표준어로서의 한국어뿐만 아니라 지역, 계층, 성별 등 여러 요인별 다양한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
    강좌제목한국어의 방언 | 강의자이영제 교수, 신우봉 교수, 손다정 교수, 손혜진 교수
  • 중부과 동북_3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어의 한국어의 본 강좌는 표준어로서의 한국어뿐만 아니라 지역, 계층, 성별 등 여러 요인별 다양한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
    강좌제목한국어의 방언 | 강의자이영제 교수, 신우봉 교수, 손다정 교수, 손혜진 교수
  • 중부과 동북_3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어의 한국어의 본 강좌는 표준어로서의 한국어뿐만 아니라 지역, 계층, 성별 등 여러 요인별 다양한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
    강좌제목한국어의 방언 | 강의자이영제 교수, 신우봉 교수, 손다정 교수, 손혜진 교수
  • 중부과 동북_3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어의 한국어의 본 강좌는 표준어로서의 한국어뿐만 아니라 지역, 계층, 성별 등 여러 요인별 다양한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
    강좌제목한국어의 방언 | 강의자이영제 교수, 신우봉 교수, 손다정 교수, 손혜진 교수
  • 중부과 동북_3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https://ocks.korea.ac.kr/ocks/index.do) 한국어의 한국어의 본 강좌는 표준어로서의 한국어뿐만 아니라 지역, 계층, 성별 등 여러 요인별 다양한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
    강좌제목한국어의 방언 | 강의자이영제 교수, 신우봉 교수, 손다정 교수, 손혜진 교수

기타자료(25)

  • 강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6273 남한 경성 경성전기학교 1-15 졸업앨범 1942 0 강전 경상북도 경부선 왜관역전 250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전기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토옥;土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799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130면 - 토옥;土屋 소화16년 3월3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진궁;眞弓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1258 일본 東京 第一高等學校 第一高等學校一覽 昭和18年-昭和19年 n.r. 112면 진궁;眞弓 조선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第一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복영;福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2786 남한 경남 김해공립농업학교 2-13 김해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5년 n.r. 54면 2. 졸업증서대장 (1938. 3. 7~1951. 7. 14) 복영;福永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김해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방현;劉邦鉉;영전;永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8453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회원명부(소화16년 12월) 1941―12 102면 유방현;劉邦鉉;영전;永田 경성부 명륜정2정목 59-5 제38회 194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5)

주제어사전(84)

  • / [언어/언어/문자]

    독립된 체계를 가진 한 언어의 분화체 또는 그 변종. 통상적으로는 한 언어의 변종 정도의 의미로 사용된다. 한때는 이 표준어에 비해 열등하다는 편견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표준이 아닌 말이나 교양 없는 말로 정의되기도 하였으나, 언어 구조상으로 과 표준어 또는

  • 동남 / 東南 [언어/언어/문자]

    대체로 경상남북도 전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과 황금면 및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과 남원시 동면·산내면 등도 동남에 속할 가능성이 짙다. 강원도와는 대체로 현재의 도 경계에서 나뉘며, 전라남도와도 대체로 행정구획상의 도 경계에서 나뉘나 섬진

  • 동북 / 東北 [언어/언어/문자]

    우리 나라 동북부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동북은 대체로 함경남·북도를 그 구획에 넣고 있지만, 그 남쪽 경계는 도계가 아니고 함경남도 영흥과 정평 사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북 내에서도 두만강 하류에 위치한 육진 지역의 을 육진이라 하는데, 이

  • 집석 / 集釋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에 홍명복(洪命福) 등이 편집한 대역어휘집(對譯語彙集). 조선 후기에 홍명복(洪命福) 등이 한(漢)·한(韓)·청(淸)·몽(蒙)·왜어(倭語)의 5개 언어로 편찬한 대역어휘집(對譯語彙集)이다. 『집석』 속에는 ‘유석(類釋)’·‘집석(輯釋)’이라

  • 학 / [언어/언어/문자]

    을 대상으로 하여 체계와 현상을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분야. 개개의 또는 그 하위 을 하나의 독립된 언어체계로 보고 기술적인 연구 또는 세대차 등을 고려한 역사적인 연구를 행하기도 하고, 둘 이상의 들을 대조·비교하여 공시론적으로 또는 통시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