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방어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91)
사전(594)
- 겸방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 이후 전국의 군사요지에 파견했던 종2품 관직. [내용] 정식 명칭은 병마방어사 또는 수군방어사였으나, 전원을 지방수령으로서 겸임하도록 하였으므로 겸방어사라고 부르게 되었다. 고종 초까지는 병마방어사 6인, 수군방어사 2인이었으...이칭별칭병마방어사|수군방어사
- 방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시대 10도‧12주 절도사 체제하의 지방관직. [개설] 원래 방어사는 당(唐)나라에서 안사(安史)의 난(亂) 이후 군사적인 절도사 체제의 지방제도를 실시했을 때 두어진 것이다. 고려는 995년(성종 14) 지방세력의 통제강화와 국방력...
- 방어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식 명칭은 병마방어사 혹은 수군방어사이었으나 전원을 지방수령으로 겸임하게 하였으므로 겸방어사(兼防禦使) 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병마방어사는 1566년(명종 21) 광주부사가 겸하는 경기병마방어사를 설치한 것이 처음이었으며, 수군방어사는 1642년(인조 20) 선천부사...
- 방어사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방어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시대 군사요지인 지방에 파견하였던 관직.정의조선시대 군사요지인 지방에 파견하였던 관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bangeosa | MR표기pangŏ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688)
- 1741년 광주방어사(廣州防禦使) 전령(傳令)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전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767년 기보좌방어사(畿輔左防禦使) 전령(傳令)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전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전령 | 현소장처성주 명곡 벽진이씨 완석정 종택
- 跋防禦使朴公【震英】家所藏鎭江遊擊府牌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40 文集 卷十四 ITKC_MP_0597A_0140_020_0400 跋防禦使朴公【震英】家所藏鎭江遊擊府牌 정약용(丁若鏞) 序跋類|題跋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권차명文集 卷十四 | 문체序跋類|題跋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右承旨가 黃海道兼防禦使 朴震英에게 보낸 有旨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180 1180_01 右承旨가 黃海道兼防禦使 朴震英에게 보낸 有旨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유지 한자 고문서 MP031.JPG 右承旨가 黃海道兼防禦使 朴震英에게 보낸 有旨 右承...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右承旨가 黃海道兼防禦使 朴震英에게 보낸 有旨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2181 1180_02 右承旨가 黃海道兼防禦使 朴震英에게 보낸 有旨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박진영 종가, 사회관계, 정치행정생활, 교령류, 유지 한자 고문서 MP031-1.JPG 박진영 종가 국립 진주박물관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국립 진주박물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신문·잡지(5)
- 션원뎐을 시급히 영건대 그회록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션원뎐을 시급히 영건대 그회록당 긔지에 단을 싸코 로 터를뎡야 영건 터인대 문안 슈어쳥골 젼방어 신셕효씨집으로 뎡듯 다 부협판 민경식씨집도 진뎐긔지로들어갈듯 다더라게재일1900년 10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永宗島民恐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종도 인쳔항구건너 오십리밧 큰 셤이오 이젼 방어잇던 관방즁디라 쥬회 슈리에 물산이 풍부고 인민이 됴잡야 비록 한조각토디라도 공한 곳이업고 셔울 셰력가 뎐답도 만은 곳이더라 작년오월분에 인쳔항사 황셕원 리치명 량인이 그곳에 궁부 소관 황무지디가잇스니게재일1906년 6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신문_1949_013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 레닌은 프로레타리아트가 혁명을 성공한다면 자체 방어사업을 반드시 조직 진행하여야 한다고 훈시하였다. 때문에 당시 당은 붉은 군대를 조직 훈련시키는 데 총력의 10분지9를 경주하였다. 그때 레닌은 로농 국방 쏘베트 위원장으로 계섰고 쓰딸린은 부위원장으로 계섰다. 그...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9_0130_02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황해로동신문_1947_0509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일 밤 백림방어사령관 백림수비대장 웨이들링은 전선을 건너 쏘련군 령부로 왓다. 『오, 악동!』하고 웨이들링은 신음하였다. 『이것은 광란입니다. … 나는 무의미한 반항을 중지하려고 왓음니다. 국회실 압 광장에는 군인들이 휴식하고 있었니 쏘련군은 승리를 기념하였다. 독...대표표제어황해로동신문_1947_0509_02 | 책임주필이영조
- 조선신문_1947_0424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리었다. 국회실은 함락되었다… 5월 1일 밤 백림방어사령관, 백림수비대장 웨이들랭은 전선을 건너 쏘련군 사령부로 있다. 『으, @@-』하고 웨이들링은 신음하였다. 『이것은 광□입니다…나는 무의미□ 반항을 중지하려고 왔습니다』 …국회실 앞 광장에는 군인들이 휴식하고...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424_02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기타자료(4)
- Enemy antiaircraft situation, Korea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적 활동관련사항 중 적 대공방어사항 보고임. 사진분석으로 식별된 대공화기는 대공포 342문, 자동화기 1,587문 임. 주요공항과 보급소 및 주보급로 상에는 대공방어가 지속 제공 되고 있음.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적의 대공화기, 대공 레이다 RF-80 등에 관련사항을...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HARLES Y BANFILL BG, USAF Deputy for Intelligence | 수신자CINC FEAF
- Enemy antiaircraft situation, Korea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적 활동관련사항 중 적 대공방어사항 보고임. 사진분석으로 식별된 대공화기는 대공포 359문, 자동화기 1,550문 임. 주요공항과 보급소 및 주보급로 상에는 대공방어가 지속 제공되고 있음.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적의 대공화기의 위치와 수량 등 관련사항을 도표로 보고....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HARLES Y BANFILL BG, USAF Deputy for Intelligence | 수신자CINC FEAF
- Enemy antiaircraft situation, Korea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적 활동관련사항 중 적 대공방어사항 보고임. 사진분석으로 식별된 대공화기는 대공포 359문, 자동화기 1,553문 임. 주요공항과 보급소 및 주보급로 등의 대공방어 상황과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적의 대공화기의 위치와 수량 등 관련사항을 도표로 보고. E...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HARLES Y BANFILL BG, USAF Deputy for Intelligence | 수신자CINC FEAF
- Enemy antiaircraft situation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for Intelligence CINC FEAF 숙명여자대학교 극동공군사 정보참모부에서 작성하여 배포한 '51.12.22 - '51.12.28 간의 주간정보보고 69호에 포함된 한국지역의 적 활동관련사항 중 적 대공방어사항 보...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HARLES Y BANFILL BG, USAF Deputy for Intelligence | 수신자CINC FEAF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53)
-
방어사 / 防禦使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군사요지인 지방에 파견하였던 관직. 조선 중기 이후에는 무관직으로 전국의 군사요지에 파견되었다. 정식 명칭은 병마방어사 혹은 수군방어사이었으나 전원을 지방수령으로 겸임하게 하였으므로 겸방어사(兼防禦使) 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방어사제도는 별도의 군비를 갖춘
-
유서 / 諭書 [정치·법제/법제·행정]
왕이 지방으로 부임하는 관찰사 등 관원에게 내리는 비밀 문서. 밀부제(密符制)를 실시한 까닭은 관찰사(觀察使)·절도사(節度使)·방어사(防禦使)·유수(留守) 등의 군사권을 가진 관원들이 왕명없이 마음대로 동병할 수 없게 하기 위해서였다.
-
김회련 고신왕지 / 金懷鍊告身王旨 [언론·출판/출판]
1395년(태조 4) 문신 김회련(金懷鍊)에게 통정대부 공주목사 겸 관내권농방어사 등의 관직을 제수한 왕지. 태조가 개국에 공을 세운 김회련을 통정대부 공주목사(公州牧使) 겸(兼) 관내권농방어사(管內勸農防禦使)로 임명한 사령왕지(辭令王旨) 1매와 가선대부 해주목사(
-
봉주 / 鳳州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봉산 지역의 옛 지명. 고구려의 조파의현(租波衣縣)이었는데 뒤에 휴암(鵂巖)으로 고쳤다. 757년(경덕왕 16) 서암군(栖巖郡)으로 바꾸어 한주(漢州)에 예속시켰다. 940년(태조 23) 봉주로 고쳤고, 995년(성종 14) 방어사(防禦使)를 두었으며, 101
-
곡주 / 谷州 [지리/인문지리]
종 14) 방어사(防禦使), 1018년(현종 9) 지군사(知郡事)를 각각 두었다. 1393년(태조 2)신덕왕후(神德王后) 강씨(康氏)의 고향이라 하여 곡산부(谷山府)로 승격시켰고, 1413년(태종 13) 곡산군이 된 뒤 큰 변동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