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방곡령사건”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달하는 은 대부분이 정부의 지시로 해결되었다. 그러나 1889년과 1890년 황해도와 함경도에서 실시된 방곡령은 지방관들이 일본의 압력을 받은 정부의 지시를 무시하고 그대로 강행하여 외교적인 마찰로까지 확대되었다. 이 같은 외교적 마찰은 1889년...
  • 조병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실록(高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일안(日案)』 「」(唐水택たけ子, 『朝鮮史硏究論文集』6, 1969)
    이칭별칭 치전(稚田)
  • 남정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한성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1892년 6월에는 오스트리아의 전권위원인 벡커(Becker)와 조오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였다. 1893년 4월 독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事務)가 되어 일본 변리공사(辨理公使) 오이시(大石正己)와 함경도‧황해도의 ...
    이칭별칭 치상(穉祥)| 하산(霞山)
  • 민종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및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 1889년 독판교섭통상사무(督辦交涉通商事務)가 되었다. 그 뒤 3년간 , 조일통어장정(朝日通漁章程) 체결, 제주어채(濟州漁採) 문제 등 주로 외교 및 통상 문제를 해결하였다. 1892년 함경북도안무사(咸鏡北道按撫...
    이칭별칭 현경(玄卿)| 한산(翰山)
  • 방곡지금(防穀之禁)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태진, 『고종시대의 재조명』, 태학사, 2000. 임경석·김영수·이항준, 『한국근대외교사전』, 성균관대학교, 2012. 김경태, 「甲午以前 과 日本의 不當賠償 要求」, 『국사관논총』 53, 국사편찬위원회, 1994. 정덕...
    동의어방곡령(防穀令) | 관련어곡물수출(穀物輸出), 무곡(貿穀), 수출금지령(輸出禁止令), 조세곡(租稅穀), 조일통상장정(朝日通商章程)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84년 이후 곡물반출 금지령으로 말미암아 야기된 조선과 일본 간의 외교적 분쟁사건. 1876년 개항 이후 일본으로의 미곡 수출이 증대되면서 곡물가격이 뛰고 품귀현상 마저 나타났다. 거기에 흉작까지 겹치게 되자, 지방관들은 자기 지방에서 생산된 미곡이 타지방 또는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