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밤나무” 에 대한 검색결과 5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5)

사전(2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남부로부터 화북 및 화중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우리 나라의 재배는 종래의 재배지역으로 보아 함경북도와 평안남도는 중국계의 함종밤[咸從栗]이 많이 재배되었고, 그 이남지역에서는 대부분 고유의 재래종이 재배되어왔다. 그러나 1958년경부터 혹벌의...
  • 너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향문사, 1982) 너도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나무 높이가 20m에 달하며, 줄기는 곧게 자라서 원추형의 나무 모양을 이루고, 나무 껍질은 회백색으로 평평하고 매끄러우며, 꽃은 5월에 핀다. 울...
  • 성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남도 성천군 장상리에 있는 .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441호. 는 절골의 밭에 있다. 주변에는 참나무‧소나무‧기타 관목들이 섞여 자라고 있다. 나무는 1947년경에 심은 것이라고 한다....
  • 삼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포시 호만포리에 있는 .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423호. 삼일는 호만포리 동쪽 감후봉의 남쪽 기슭에 퍼져있다. 는 3‧1운동 때 이곳 주민들이 독립만세를 부르고 그것을 기념하여 심었다고
  • 회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회령시 성북리에 있는 .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32호. 는 수구포 마을 가운데 퍼져있다. 두 그루가 나란히 서있는데 왼쪽에 있는 것이 약다. 이곳은 북위 42°31′이고 해발높이

고서·고문서(127)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골 김 남자 강원도 양구군 길림성(吉林省) 혼춘시(琿春市) 마천자향 전선촌1조 4 2 골, 김씨마을,
    대표표제어밤나무골 | 성씨
  • 1923년 최정석(崔丁碩) 매도증서(賣渡証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
    1923년 5월 15일에 최정석이 이도화에게 작성해 준 매도증서이다. 이때 최정석은 계서리 1130번지 본인의 집터에 있는 1주를 이화일에게 5엔을 받고 넘겼다. 이화일은 재목용으로 이 를 구입하였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소작인 정식규가 산판내에 전답을 개간한고, 와 뽕나무를 守養하고 賭租 4두락씩 납부하고, 밤나 무에 대한 도조는 지주 송재성의 처분에 따른다는 내용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927년 김형진(金炯珍) 매도계약증서(賣渡契約證書)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927년 음력 10월 20일에 봉화군(奉化郡)명호면(明湖面)도천리(刀川里) 650번지에 사는 김형진(金炯珍)이 자신의 집 뒤에 있는 [栗木]를 9냥 6전을 받고 같은 동네에 사는 김화진(金和鎭)에게 매도하면서 발급한 문서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자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명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901년 유학(幼學) 조영기(趙永基)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901년(광무 5) 12월 17일, 유학 이재화가 유학 조영기에게 토지를 팔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명문이다. 거래대상 토지는 사천후곡에 있는 밭 1마지기와 8그루이다. 매매가격은 동전 19냥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구술자료(16)

  • 나도 라고 외쳐서 된 나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무 이름에 얽힌 이야기를 아느냐는 조사자의 질문에 윤희남은 학자들이 잘못 알고 있는 나무들이 많다고 하며 그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 놓았으나 조사자의 질문 의도와는 상관 없는 이야기들이었다. 이에 조사자가 다시 한번 나무 이름에 얽힌 이야기를 아느냐고 재 차 묻...
    조사일시2011. 2. 20(일 | 조사장소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잠곡3리 도덕동길 13 잠곡3리 마을회관 | 제보자윤희남(#)
  • 가자가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리세기 노래가 끝난 후, 조사자가 어린 시절에 부른 다른 노래는 없냐고 하자 내내 청중으로만 있던 서훈자 할머니가 감나무에 얽힌 노래를 불러주었다.
    조사일시2011. 1. 24(월) | 조사장소여수시 소라면 관기리 상관마을 관기 1구 경로당 | 제보자서훈자
  • 율곡선생과 ‘나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호식(虎食)가는 이야기를 해달라고 요청하자, 제보자는 ‘그건 율곡이 그랬다’면서 이 이야기를 구연했다.*
    조사일시1983-08-08 | 조사장소대구직할시 동구 지묘동 | 제보자최부교
  • 를 심어 호식을 면한 율곡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를 다시 찾은 것은 이번이 세 번째이다. 전화를 드렸더니 집 근처에 있는 절에 가 계셨다. 그래서 절에 가서 모시고 제보자의 집으로 왔 다. 효자 이야기를 부탁하자 율곡 선생 이야기 하나 해 주겠다고 하면서 구연하기 시작하였다.
    조사일시2010. 2. 5(금) | 조사장소전라북도 진안군 부귀면 수항리 대곡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조낙주
  • 덕에 호식을 면한 이율곡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 후 바로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09. 4. 12(일) | 조사장소전라북도 장수군 번암면 논곡리 65번지 성암 마을 정순생 자택 | 제보자정순생

기초학문(3)

  • Deletion of a hypoviral-regulated cppk1 gene in a chestnut blight fungus, Cryphonectria parasitica, results in microcolonies.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ocolonies.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02798&local_id=10003564 줄기마름병균
    유형논문
  • A gene encoding phosphatidyl inositol-specific phopholipaseC from Cryphonectria parasitica modulates the lac1 expression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혜종, 게재일 : 2006
    d=10028411&local_id=10008303 줄기마름병 원인균인 Cryphonectria parasitica의 fungal virus 관련한 세포신호전달 체계의 규명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LDI-TOF)-based cloning of enolase, ENO1, from Cryphonectria parasitica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r&m201_id=10002798&local_id=10003563 줄기마름병균 Cryphonectria parasitica 의 hypovirus에 의한 protein kinase 조절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신문·잡지(53)

  • 일쳔항 모모 상고들이 인쳔텰도 노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쳔항 모모 상고들이 인쳔텰도 노흘에 만 쓰리치를 몰으고 그 텰도소용이라고 나무와 돌을 만히 무치엿더니 경인텰도 회샤에셔 만 쓰고 다른것은 쓰지안은고로 그 사들이 대단 손를 보앗다더라
    게재일1900년 5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경샹도 하동군 셩이 쌍계사 즁과 승...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샹도 하동군 셩이 쌍계사 즁과 승강 되 슌 진샹 소비를 봉산 화셰를 바다 쓰라 일은 궁부 훈령이 잇다더라
    게재일1899년 4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植木二十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시험기로 일인 소익원슈랑씨등을 고빙말은 이왕긔엿거니와 소익원씨가 마쟝 농시험쟝에 각슈묙을 식목고 농상공부로보고엿데 흑송이삼만쥬오 말송이삼만쥬오 젼나무가삼만쥬오 목이 삼만쥬오 락엽송이이만칠쳔륙쥬오가 일만쥬오 참나무가 일만륙쳔일오십쥬라...
    게재일1906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31 정형 4광에서는 군중의 생활을 어떻게 관심하는가 류가택 37 를 많이 심자 완전, 리만영 42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61
  • 쁘·아·부듸낀 평양 조선신문사 평양예술극단 평양예술극단공연 씨모노브 원작 안기석 연출 『푸라그의 밑에서』 18일부터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320_04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멀티미디어(1)

  • 영농수첩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감자, 오이, 뽕나무, 등의 묘상과 접묘를 온상에서 키우는 방법 및 돼지 사육방법을 설명.
    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73년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34)

  • 특집 2 재배 성공 사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집 2 재배 성공 사례 특집 2 재배 성공 사례 교육 문헌 평생교육 지역사회학교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자 | 사료철명문교월보
  • (현장 자료) 재배 요령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현장 자료) 재배 요령 (현장 자료) 재배 요령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동숙 | 사료철명교육경남
  • 특집 2 심어 일거 삼득-박 대통령 각하 지시사항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집 2 심어 일거 삼득-박 대통령 각하 지시사항 특집 2 심어 일거 삼득-박 대통령 각하 지시사항 교육 문헌 평생교육 지역사회학교 교...
    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편집자 | 사료철명문교월보
  • (특집 받는 학교에서 주는 학교로) 단지 조성으로 자활인 육성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특집 받는 학교에서 주는 학교로) 단지 조성으로 자활인 육성 (특집 받는 학교에서 주는 학교로) 단지 조성으로 자활인 육성 교육 문헌 현대 교육행정
    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해 대감국 | 사료철명교육경남
  • 진천 Art Valley 골프장조성부지내 진천 지암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장주체부로써 (?)를 깍아 부장한 독특한 매장의례를 보여주고 있다. 금번 (주)남양레져에서 시행중인 진천 Art Valley 골프장 조성부지 내 발굴조사는 지표조사 및 시굴조사 결과에 따라 모두 4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이 중 Ⅰ구역에서는 중세 이...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재)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36)

  • / Castanea crenata S.et Z.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과수. 우리 나라에서 예로부터 재배하여온 평양밤은 중국이 원산지로, 만주의 남부로부터 화북 및 화중지방에 분포되어 있다. 우리 나라의 재배는 종래의 재배지역으로 보아 함경북도와 평안남도는 중국계의 함종밤[咸從栗]이 많이 재배되었고,

  • / 藥─ [과학/식물]

    참나무과 속에 속하는 낙엽 교목. 높이는 15∼20m, 지름은 70㎝이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고 곁가지에서 2줄로 배열된다. 잎의 모양은 넓은 피침형, 달걀 모양의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다. 잎의 길이는 10∼20㎝로 이빨 같은 톱니 끝이 침처럼 뾰족하며 표면에

  • 너도 /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NAK.) T. LEE. [과학/식물]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울릉도 특산으로 높이 300∼900m에 분포하며, 나무높이가 20m에 달한다. 줄기는 곧게 자라서 원추형의 나무모양을 이루고, 나무껍질은 회백색으로 평평하고 매끄럽다. 잎은 어긋나며 난형·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원저(圓底) 또는 넓은

  • 삼일 / 三一─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신포시 호만포리에 있는 . 북한 천연기념물 제423호. 삼일는 호만포리 동쪽 감후봉의 남쪽 기슭에 퍼져있다. 는 3·1운동 때 이곳 주민들이 독립만세를 부르고 그것을 기념하여 심었다고 한다. 밭은 3·1이라는 글자처럼

  • 성천 / 成川─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남도 성천군 장상리에 있는 . 북한 천연기념물 제441호. 는 절골의 밭에 있다. 주변에는 참나무·소나무·기타 관목들이 섞여 자라고 있다. 나무는 1947년경에 심은 것이라고 한다. 나무 높이는 12m이고 뿌리목 둘레는 1.5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