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발인” 에 대한 검색결과 1,6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15)

사전(52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음에 그 옆에 영좌를 설치하고 제(祭)를 지낸다. 제는 맏상주가 분향, 헌작하고 축관이 고축을 하면 모두 곡을 한 다음 재배하여 끝낸다. 이때의 음식은 상여꾼들이 갈라 먹는다. 여기서 예서의 견전이 제로 변모했음을 알 수 있다. 제가 끝나면...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장례에서 빈소에 모셔진 시신을 무덤으로 옮기는 의식 또는 그 행차. 국장이 나면 소렴과 대렴 후 빈전 또는 빈궁에 재궁(梓宮)을 안치하였다가 정한 기간이 지나면 능원(陵園)으로 옮겼다. 당일 견전(遣奠)이 끝나면 순(輴)에다 재궁을 실고 문 밖으로 나와 대여(大...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TD_L6_O_0001 인종 崑崙國人, 崑崙奴, 炭島人, 黑人, 英吉利國人, 傅粉, 鬚眉, 鬢髮, 人傀, 鬚髮, 肥肉, 純白, 社公, 社婆, 榮血, 月水, 目睛, 闤闠, 優人, 玉, 補元神劑 純廟庚申 崑崙, 烏鬼, 墨坊, 阿蘭陀, 耽羅, 呂宋國...
    출전오주연문장전산고 | 수록위치2권 14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발군(撥軍). 역에 소속되어, 관청 문서를 전달하는 사람. 連到 連見初三四兩書 欣慰, 김정희(金正喜), 20-5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제(路祭), 의(儀), 주정소(晝停所) 왕실왕실의례/흉례|생활·풍속/가례/상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임민혁 [정의] 영가(靈駕)가 빈전에서 출발하여 능소(陵所)...
    관련어노제(路祭), 발인의(發引儀), 주정소(晝停所)

고서·고문서(859)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70 喪儀節要 卷一 ITKC_MP_0597A_0970_010_010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喪儀節要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柩行 HCFR_4:13:1 今俗引行時, 必有男女僕各二人哭從, 女僕必蒙頭, 謂之哭婢. 蓋“大斂”條有兩“婦人守殯”之說, 《居家雜儀》亦有“女僕出中門, 擁蔽其面”之說, 此蒙頭女僕之所由起也. 男僕亦《居家雜儀》所謂“鈴下蒼頭, 通內外之言, 傳內外之物”者也. 俗謂之行者, 其名蓋出...
    서명가례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祖奠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70 喪儀節要 卷一 ITKC_MP_0597A_0970_020_0090 祖奠ㆍ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
    권차명喪儀節要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557_325_232 1557년9월 ○먼동이 틀 무렵 ()을 했다 1557년 9월 26일 병자, 아침에 붉고 흐리다가 바람이 불고 초저녁에 비. ○먼동이 틀 무렵 ()을 했다. ○새벽에 일어나 머리를 빗고 세수를 하고 빈소(殯所)로 내려...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정묘년 시집사(時執事)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서원/향교-분정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분정기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구술자료(26)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4-08-22 | 조사장소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 제보자허만홍
  • 후 상여매면서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남도 밀양 | 제보자민학덕
  • 이목마을 김덕만 상여소리-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월 10일 이목마을을 처음 방문하였는데, 노인회장 이정인이 제보자를 소개하였다. 상여소리 뒷소리를 받아줄 분들이 없어서, 첫 방문 때에 는 상여소리에 대한 대략적인 이야기만 들었다. 2월 17일 다시 방문하였을 때 제보자가 앞소리를 메기고 마을 주민 5명이 뒷소리...
    조사일시2011년 2월 17일(목) | 조사장소임실군 강진면 부흥리 519번지 이목 마을회관 | 제보자김덕만
  • 양만석 상여소리-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남면 문예복지관에 1차 방문했을 때에 제보자를 만났으나 녹음 상황이 좋지 않아 재방문하였다. 서중식, 최장수와의 면담을 마친 후 제보 자를 면담하였다. 제보자가 상여소리를 할 때 보고 한다는 문서를 보여주었는데 회심곡과 답산가 가사가 적혀 있었다. 상여소리를 불러...
    조사일시2010. 1. 28(목) | 조사장소전북 장수군 계남면 화음리 969번지 계남면 문예복지관 경로당 | 제보자양만석
  • 지북마을 최재근 상여소리-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2월 8일 처음 방문했을 때에 제보자 최재근을 만나서 상여소리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들었다. 지북마을 어른들이 상여소리를 잘 녹음해두고 싶다고 하여 녹음날짜를 정하였다. 2월 10일 제보자와 뒷소리꾼들이 간단하게 연습을 한 뒤에 상여소리를 구연하였다. 뒷소리는 지...
    조사일시2011년 2월 10일(목) | 조사장소순창군 적성면 지북리 383-6번지 지북 마을회관 | 제보자최재근

기초학문(4)

  • 중화설의 전개와 율곡학파의 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선열, 게재일 : 2017
    20621 이선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율곡학회 2017 중화설의 전개와 율곡학파의 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한일 형연행의 양상 비교와 그 형성과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0529 한국연구재단 비교민속학회 2008 한일 형연행의 양상 비교와 그 형성과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태권도 운동이 허약 고령자의 건강체력과 인지능력 및 치매유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대성, 게재일 : 2010
    36388 문대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체육과학회 2010 태권도 운동이 허약 고령자의 건강체력과 인지능력 및 치매유자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한국자본주의 발전에서 政商의 길-白南信 基의 자본축적과 정치사회활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오미일, 게재일 : 2005
    38033 오미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부산경남사학회 2005 한국자본주의 발전에서 政商의 길-白南信 基의 자본축적과 정치사회활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155)

  • 嬪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오후 시량에 슌화궁 이되야 동 슈구문으로 나가셔 금일 하관얏더라
    게재일1907년 7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槪况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쟉일 하오일시에 슌졀 민츙졍공 이 되 외국 진신녀의 모인자가 산과바다갓허셔 사이 발을부쳐 셜곳이 업스며 통곡사이며 눈물흘니자이 은거슨 이무가론이어니와 외국진신신상들이 례복을가츄고 와죠상난자무슈더라 그의 졀 대강말건 방상슈가 두쌍...
    게재일1905년 12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쟉일 상오시량에 죠츙졍공이 되얏 대신유언이 계신고로 례쟝도 밧지안코  상예등졀도 초솔야 단상예로 나가시나 도셩 각동인민과 여러학교 학 원들이 등롱을들고 남문밧 돌모루지 호상난 통곡난자 만엇고 산디난 안산군으로 뎡얏스나 대신유언에 국권회복난날이야...
    게재일1905년 12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餘聞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젼 민츙졍공 시에 그집사들이 빈소에셔 관을 운젼야 즁문지나온즉 셔양사들이  관을모시고 대문지 나왓고 나가길에 시민들과 진신들이 다토아가며 샹예모시고  하방유들이  담예기도얏스며 병뎡 오여명이 룡인 묘쇼지 호상고왓다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趙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츙졍공 은 금일이오 반우일 음본월이십칠일이라더라
    게재일1905년 12월 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47)

  • 백인선;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백인선;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조선감리교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인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3884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44면 (2) 졸업생일람 백인경;卿 개성부 서본정 8 고보4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인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9178 일본 宇部 宇部高等工業學校 宇部高等工業學校一覽 昭和15年~昭和16年 1940―12―15 37면 백인석;錫 조선
    학교소재지역宇部 | 학교명宇部高等工業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인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321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70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23)송도고보 제16회(소화10년) 77명 백인수;洙...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인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5940 남한 경성 보성전문학교 1-30 보성전문학교일람 1937 71면 1. 제7. 생도 (1936년 10월 1일 현재);3)법과 제1학년 백인혁;爀 (원적)전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0)

  • / [사회/가족]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상여가 집을 떠나는 상례의 절차. 영구를 상여에 옮기는 것부터 상여가 장지에 도착할 때까지의 과정이라 할 수도 있다. 제가 끝나면 상여가 떠나는데, 명정·공포·만사·혼백·상여 등의 순서로 나간다. 혼백은 영거에 모시나, 영거가 없는 경우에는

  • 백인걸 / [종교·철학/유학]

    1497(연산군 3)∼1579(선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 효삼의 증손, 할아버지는 사수, 아버지는 익견. 어머니는 우종은의 딸이다. 조광조 문인으로 김안국에게서도 학문을 배웠다. 송인수·유희춘·이이·성혼 당대 사림계 인물들과 널리 교유하였다. 예문관검열

  • 백초월 / 白初月 [종교·철학/불교]

    1878년(고종 15)∼1944년. 승려 독립운동가. 본명은 인영(寅榮), 아명은 학명(學明), 족보상에는 도수(道洙), 법명은 동조(東照), 이명은 최승(最勝)‧의수(義洙), 호는 초월, 경상남도 진주 출신이다. 상해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천은사(泉隱寺)‧화엄사(華

  • 전주백인기농장소작쟁의 / 全州基農場小作爭議 [역사/근대사]

    1920년대 후반기에 전주에서 일어난 소작쟁의. 1927년 4월 말경 전라북도 전주의 부농 백인기는 15만 평의 농장을 경영하고 있었다. 이 농장을 소작하는 농부가 70여명에 달하였는데 백인기의 착취와 탄압이 일제와 연결되어 더욱 가중되자, 이에 소작인 대표 오영만은

  • 교량제 / 橋梁祭 [역사/조선시대사]

    국장의 때 대여가 지나갈 교량에 지내는 제사. 국장에서는 할 때면 의 긴 행렬이 능원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도록 상여가 지나가는 곳의 여러 신들에게 미리 제사를 지냈다. 여기에는 교량제를 비롯한 문오십신위제, 명산대천제 등이 있었다. 동구릉 원릉으로 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