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발영시” 에 대한 검색결과 6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

사전(5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지급받았다. 나머지 합격자들도 과거급제자처럼 방(榜)을 내걸고 유가(遊街)하게 하였다. 이 때 강희맹(姜希孟)이 상중(喪中)이므로 에 참가하지 못했음을 매우 안타까워하였다. 이에 세조는 14일 다시 문신 100여인을 사정전(思政殿)에 불러 글을 짓게 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조 때 단오절에 현직 중신과 문무 관료에게 실시한 임시 과거
    정의세조 때 단오절에 현직 중신과 문무 관료에게 실시한 임시 과거 | 문광부표기baryeongsi | MR표기paryŏng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L0_D_0269 인간 기타 拔英, 名儒 思政殿 我光廟, 金守溫, 姜希孟 叢話 D_07_01_18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1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거(科擧) 김수온(金守溫), 중시(重試), 종친시(宗親試)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조선 조선 최진옥 [정의] 1466년에 종친과 문무 관료를 대상으로 시행한 과거. ...
    상위어과거(科擧) | 관련어김수온(金守溫), 중시(重試), 종친시(宗親試)
  • TD_E4_D_0432 登俊 정책-제도 我光廟 寶鑑 D_15_02_53 대동운부군옥 15권 2장 53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5권 2장 53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9)

  • 풍천(風泉) 차예량(車禮亮) 등 시(詩)-최충장운(崔忠壯韻)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부여‧강화‧영주 창원황씨
  • 40806 B040806 대구어 大口魚 경제산업 承政院日記 英祖 29年 10月 4日_022 。 惟大科者呼之。 上曰, 及第者, 雖未生進, 能呼之乎? 諸臣曰, 然矣。 上曰, 重試則雖大科先生, 不能呼之乎? 申晩曰, 重試者, 惟重試先生呼之。 上曰, 古有重重試·矣。 趙明...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8711 B048711 대청도 大靑島 도서 인천광역시 承政院日記 肅宗 30年 5月 30日_029 ... 翎, 以海路要衝之地, 距陸地四十里, 脫有緩急, 難待應援, 若廣募民戶以入, 則庶可防守, 而島中有司僕牧場, 田土不廣, 自里許, 有大靑島, 民不入去, 若移其馬於大...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有緩急, 難待應援, 若廣募民戶以入, 則庶可防守, 而島中有司僕牧場, 田土不廣, 自里許, 有 大靑島, 民不入去, 若移其馬於大靑, 而墾其牧場, 爲司僕屯田, 則可以募民入居云。 若然則形勢似爲兩便, 而又聞前防禦使李暉之言, 則大靑島, 雖無船材, 松木雜木茂盛, 戰船器械, 每賴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인천광역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敎, 歷通禮門奉禮郞、司憲監察、吏曹佐郞。 天順癸未授世子文學, 遷吏曹禮曹正郞。 成化乙酉陞宗簿寺少尹, 丙戌中重試。 世祖嘗問《周易》、《圓覺經》優劣, 蘭宗對曰: “《易》者, 三聖人之經, 豈與此比乎?” 尋擢爲承政院同副承旨。 中, 轉左副承旨, 陞嘉善禮曹參判。 又中登俊試, 移刑...
    출처전거成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1466년(세조 12) 현직 중신과 문무관료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임시 과거. 이러한 는 같은 해 실시된 등준시(登俊試)와 함께 뒷날 제왕에 의해 실시된 현직 관료를 대상으로 한 임시 과거의 한 전형이 되었다.

  • 등준시 / 登俊試 [역사/조선시대사]

    보여 조덕성(趙德城) 등 15인을 선발한 바 있다. 등준시는 와 함께 현직 관리들이 학문에 힘쓰지 않아 문풍이 부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시험이었다.

  • 성현 / 成俔 [종교·철학/유학]

    1439(세종 21)∼1504(연산군 10). 조선 초기의 학자. 아버지는 염조이다. 성현은 1462년(세조 8) 23세로 식년문과에 급제하였다.1466년 27세로 에 각각 3등으로 급제하여 박사로 등용되었다. 1493년에 경상도 관찰사로 나갔다. 한성부판윤,

  • 유순 / 柳洵 [종교·철학/유학]

    중시와 에 각각 3등으로 급제, 이조정랑, 동지중추부사·형조참판·공조참판·병조참판, 대사헌을 역임하였다. 1514년(중종 9) 다시 영의정을 제수받아 국정을 총괄하다가 3년 뒤에 77세로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