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발심수행장” 에 대한 검색결과 5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4)

사전(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용된 것은 조선 초기 이후임을 알 수 있다. 韓國佛敎所依經典硏究(李智冠, 寶蓮閣, 1973) 신라의 원효가 출가 수행자를 위하여 지은 발심에 관한 글. 불교전문강원의 사미과 교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의 원효가 출가 수행자를 위하여 지은 발심에 관한 글
    정의신라의 원효가 출가 수행자를 위하여 지은 발심에 관한 글 | 문광부표기Balsim suhaengjang | MR표기Palsim suhaengj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우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품고 순흥 희방사(希芳寺)로 가서 자신(自信)의 제자가 되었다. 스스로 보조(普照)의 『초심학인문(初心學人文)』, 원효(元曉)의 『()』, 야운(野雲)의 『자경문(自警文)』을 열람하였다. 그 뒤 팔공산 혼허(渾虛)에게서 사교(四敎)를 교수받은...
    이칭별칭 홍기(洪基)| 우담(優曇)
  • 계초심학인문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을 언해하여 16세기말에 간행한 책. [편찬/발간 경위] 역자는 미상이다. 원효(元曉)의 『()』과 각우(覺牛)의 『야운자경서(野雲自警序)』(또는 『야운자경문(野雲自警文)』‧『야운자경(野雲自...
  • 두타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욕심을 버리고 산 속에 숨어 고행하라는 것을 권고하였고, 문무왕에게서 전장(田莊)과 재물‧노비 등을 시주받은 의상(義湘)은 두타행에 입각한 다음과 같은 말을 하여 시주를 사양하였다. “우리 법은 평등하여 귀천이 균등합니다. ≪열반경≫...

기초학문(1)

  • 영남대본 『』 연구 - 자료의 實相과 復原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우영, 게재일 : 2011
    24591 정우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소 2011 영남대본 『』 연구 - 자료의 實相과 復原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44)

  • ()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1 형태서지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刊寫年未詳] 1冊 24.6x17.4 H1, p.841. 서...
    대표표제어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1 | 대표서명發心修行章 | 한글서명발심수행장 | 서지형태형태서지
  • ()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2 형태서지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刊寫年未詳] 不分卷 1冊 22.1x13.6 H1, p.841....
    대표표제어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 | 대표서명發心修行章 | 한글서명발심수행장 | 서지형태형태서지
  • ()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3 형태서지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天安 廣德寺 1558年(明宗 13)重刊 線裝 1冊 21....
    대표표제어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3 | 대표서명發心修行章 | 한글서명발심수행장 | 서지형태형태서지
  • ()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4 형태서지 元曉 著 新羅 韓國 木版本 [高山] 雙溪寺 1567年(明宗 22) 線裝 1冊 23....
    대표표제어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4 | 대표서명發心修行章 | 한글서명발심수행장 | 서지형태형태서지
  • ()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5 형태서지 元曉 著 新羅 韓國 木版本 晉州 神興寺 1536年(中宗 31)重刊 線裝 1冊 26....
    대표표제어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5 | 대표서명發心修行章 | 한글서명발심수행장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불교]

    원효가 쓴 저서. 처음 출가하여 수행의 길에 들어선 승려들을 위하여 마련한 안내서이다. 성불을 이루기 위하여 초발심을 일으킨 자가 명심하여야 할 바를 706자의 사언절구로 표현하였다. 세월이 빨리 지나감을 말하고 젊어서 부지런히 수행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 언해 / 諺解 [언어/언어/문자]

    원효(元曉)의 『()』을 언해한 책. 원전을 대문으로 나누어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것은 다른 불경의 언해와 같으나, 원전 대문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까지 표시한 것이 특이하다. 송광사판은 15세기말 성종 때의 불경언해와 비슷한 문체를 보여주지만,

  • 계초심학인문언해 / 誡初心學人文諺解 [언어/언어/문자]

    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을 언해하여 16세기말에 간행한 책. 역자는 미상이다. 원효(元曉)의 『()』과 각우(覺牛)의 『야운자경서(野雲自警序)』(또는 『야운자경문(野雲自警文)』·『야운자경(野雲自警)』)의 언해와 합본되어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 야운자경서언해 / 野雲自警序諺解 [언어/언어/문자]

    고려 충렬왕 때의 승려인 각우(覺牛)의 『야운자경서(野雲自警序)』를 언해한 책. 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과 원효(元曉)의 『()』의 언해와 합본되어 3권 1책으로 간행되었다. 원전 대문의 한자에 한글로 독음까지 표기한 것은 특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