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촌” 에 대한 검색결과 5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01)

사전(6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통하였다. 은 각 고을의 도성 밖에 형성되었다. 대체로 미작을 주로 하는 경상도‧충청도‧전라도의 평야지대에 많았다. 이는 유지를 위해서 많은 토지와 인력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형성은 조선의 신분제 및 재산상속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이칭별칭반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은 여기에서 나온 말이며, 반궁은 중국 주대(周代)의 제후의 학궁(學宮)이었다. 1398년(태조 7) 성균관건물이 처음으로 완성되었을 때에는 사역인들이 집단 거주하는 은 형성되지 않았을 것이다. 태종 때에 전답 1,000여 묘(畝)와 노비 300명이 성균관...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성균관을 중심으로 그 근처에 있는 동네를 일컫는 말. 比來 不可久稽 .得一丘偸息之所於近江之地, 이경억(李慶億), 10-5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중(泮中) 관인(館人), 반인(泮人) 교육 출판교육기관/성균관 집단 기구 중국, 대한민국 주, 조선 박연호 [정의] 조선시대 성균관을 중심으로 동쪽과 서쪽에
    동의어반중(泮中) | 관련어관인(館人), 반인(泮人)
  • 유범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權訪)‧정종로(鄭宗魯) 등 경향의 명사들과 사회‧학문적으로 두루 교유하였다. 특히 이완‧권방과는 벼슬살이하던 1787년 서울에서 자주 만나 경의(經義)‧봉직(奉職)‧응무(應務)‧출처(出處)‧어묵(語默)의 절차에 대해 토론하였는데, 그 내용은『문답(問答)』에 자...
    이칭별칭 천서(天瑞)| 호곡(壺谷)

고서·고문서(424)

  • 1866년 회중(會中)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교남빈흥록병일기(嶠南賓興錄幷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일기는 1796년(정조 20) 7월 19일부터 동년 9월 22일까지, 퇴계(退溪)의 후손인 <인명>이지순</인명>(李志淳, 1762~1807)을 <관직명>영유현령(永柔縣令)</관직명>에 임명한 것과 <인명>이지순</인명>이 있는 <지명>영유(永柔)</지명>까지 <인...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65년 회중(會中)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祭菽甫文【主人 金錫泰,字菽甫】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170 文集 卷十七 ITKC_MP_0597A_0170_040_0080 祭菽甫文【主人 金錫泰,字菽甫】 정약용(丁若鏞) 哀祭類|祭文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
    권차명文集 卷十七 | 문체哀祭類|祭文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會中 李彙承 등이 永川, 新寧校院에 보낸 통문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884 1622_01 會中 李彙承 등이 永川, 新寧校院에 보낸 통문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세아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서간통고류, 통문 한자 고문서 HJ398.JPG 會中 李彙承 등이 永川, 新寧校院에 보낸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3)

  • 충청도 송립 부락이 양이 된 내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리를 다시 안판주씨 댁으로 옮겨서 이야기를 들었다. 상당히 긴 이야기를 조리 있게 잘 구술해 주었다. 청중은 집 주인인 안판주씨와 조사자 일행뿐이었다.*
    조사일시1984-08-23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두동면 | 제보자박만석
  • 충청남도 천안시_1.얼러가세 2.만물소리 3.에헤라 헤로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
    2-9-30 n.9 노복선 노복선(1932년 공주군 우성면 리 출생.남.우성면 탄화리-평택-청주 강서면을 거쳐 1962년경에 직산읍 정착) 이소라 이소라 1.얼러가세 류의 호미매기소리 2.만물소리 3.에염싸는 소리 멕받형(선후창) 1. 오-하, 올허허를, 가세
    녹음지역충청남도 천안시 직산읍 부송2리 | 녹음날짜2002.10.3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그렇게 해도 우리가 으트게 놔두고 가겄냐고. 그랑께 으트게 인간적으로 해방되가꼬 부자들이 그리 노예들한테 뚜드러 맞아가꼬 죽은 사람들이 많거든. 그라믄 육이오라고 한 것이 단순히 남북전쟁이 아니라 그때만 하드라도 , 여그는 양반들이 산 동네, 여그는 민촌 일반이
    조사지역전남 보성 | 조사일2014년 7월 12일(2차)

기초학문(7)

  • 鄕儒 黃胤錫의 寄食과 卜妾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9391 한국연구재단 동양한문학회 2008 鄕儒 黃胤錫의 寄食과 卜妾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언어의 세대차에 따른 언어 변화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혜숙, 게재일 : 2007
    02897 전혜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방언학회 2007 언어의 세대차에 따른 언어 변화 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영해지역 농촌 어촌의 통혼권 비교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창기, 게재일 : 2009
    27331 이창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영해지역 농촌 어촌의 통혼권 비교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18세기 공간과 「郎湖新詞」의 마을강호 -한국 고전공간의 탐구 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19821 한국연구재단 국제어문학회 2013 18세기 공간과 「郎湖新詞」의 마을강호 -한국 고전공간의 탐구 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문화적 구성물로서의 촌락 경관 비교 연구: 과 민촌적 배경의 촌락 간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종한, 게재일 : 2009
    27406 전종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9 문화적 구성물로서의 촌락 경관 비교 연구: 과 민촌적 배경의 촌락 간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

  • 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궐석판결서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 회장· 권농회(勸農會) 회장인 이석우(李錫雨)와 오참(五站)에서, 왜노(倭奴)의 정탐기관인 일본인 (坂村) 앞에 주구(走狗)인 김군지(金君之)와 영안현(寧安縣)에서, 같은 장소에서 왜노구(倭老狗)인 박운집(朴雲集)과 왜(倭) 총독부 촉탁송(囑託送) 김연원(金演元...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3호 궐석판결서 | 출판물명궐석판결서(闕席判決書)

기타자료(5)

  • 성자산산성(城子山山城)-용정시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성자산산성(城子山山城)-용정시 중국 성자산성(城子山城) / 성자산산성(城子山山城) / 마산성(磨山城) 관방유적 / 산성 고구려 / 발해 / 요·금대 길림성 도문시(圖們市) 장안진(長安鎭) 마(磨) 성자산(城子...
    대표표제어성자산산성(城子山山城)-용정시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성자산성(城子山城) / 성자산산성(城子山山城) / 마반촌산성(磨盤村山城)
  • 구원길신;具原吉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9862 남한 충남 홍성농업전수학교 동창회명부 1944―07―27 22면 구원길신;具原吉信 당진군 송악면 리 제6회 1942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홍성농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안병철;安秉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5067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53면 안병철;安秉哲 충남 당진군 송악면 리 본과제4회 192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제의 일라가 다시 왜로 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등은 석천(石川, 이시카와)에 살게 했다. 이에 대반강수자련(大伴糠手子連, 오토모노누카테코노무라지)이 논의하여 “한 곳에 모여서 살면 변고가 생길까 두렵다”라 하였으므로 처자식들은 이시카와의 백제촌(百濟村, 구다라노무라)에 살게 하고 수수 등은 석천의 대(大,...
    대표표제어백제의 일라가 다시 왜로 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583년(癸卯/신라 진평왕 5/고구려 평원왕 25/백제 위덕왕 30/陳 後主 至德 1/倭 敏達天皇 12)
  • 백제의 일라가 다시 왜로 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石川)에 살게 했다. 이에 오토모노누카테코노무라지가 논의하여 “한 곳에 모여서 살면 변고가 생길까 두렵다”라 하였으므로 처자식들은 이시카와의 구다라노무라(百濟村)에 살게 하고 수수 등은 이시카와의 오토모노무라(大)에 살게 했다. 덕이 등을 붙잡아 시모츠쿠다라(下百濟...
    대표표제어백제의 일라가 다시 왜로 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583년(癸卯/신라 진평왕 5/고구려 평원왕 25/백제 위덕왕 30/陳 至德 1/倭 敏達 12)

주제어사전(8)

  • / [사회/촌락]

    조선시대 성균관(成均館)의 사역인들이 거주하던 성균관 동·서편에 있던 동네. ‘반중(泮中)’·‘관동(館洞)’이라고도 한다. 현재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 성균관대학교 앞의 일대이다. 성균관을 ‘반궁(泮宮)’이라고도 하는데, 은 여기에서 나온 말이며, 반궁은 중국

  • / [사회/사회구조]

    조선시대 양반이 주민의 다수를 차지한 마을. 민촌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양반은 사조 내에 9품 이상의 관직에 오르지 못하면 양반층에서 탈락되었다. 그러나 지방에서는 그렇지 못한 자들도 향반이라 하여 양반으로 통하였다. 은 각 고을의 도성 밖에 형성되었다. 대체로

  • 나주판촌리지석묘군 / 羅州里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나주시 다도면 판촌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군. 논 가운데에 14기(基)가 타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은 모두 뚜껑돌식[蓋石式]으로 돌방[石室]의 구조에 따라 세가지 형식으로 나누어진다. 부정형할석(不整形割石)으로 만들어진 장방형돌방무덤[長方形石室墓]

  • 유범휴 / 柳範休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4∼1823). 1780년(정조 4) 생원이 되었고, 1785년(정조 9) 천거로 태릉참봉에 임명되었다. 이후 의금부도사·안변부사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문답》·《호곡집》 등이 있다.

  • 각성촌락 / 各姓村落 [사회/촌락]

    한 촌락 안에 여러 성씨들이 모여 지연적 유대에 의해 결속되어 있는 마을. 동성촌락이 ()의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은 반면, 각성촌락은 대체로 민촌인 경우가 더 많다. 그리고 동성촌락은 대체적으로 유교적 향약의 촌규(村規)와 씨족의 결합력이 강한 데 비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