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차도” 에 대한 검색결과 2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4)

사전(1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축하하는 왕세자두창평복진하도(王世子痘瘡平復進賀圖)도 있다. 장례 발인(葬禮發靷)의 발인(發靷)와 회갑(回甲)‧생신(生辰) 등이 있다. 대체로 연회‧행렬 등 의례 장면은 모두 평면도 형식으로 인물과 경물(景物)이 나타난다. 그와 동시에 건...
    이칭별칭반열도(班列圖)|노부도(鹵簿圖)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식을 행할 때 여러 문무관과 의장 등이 늘어서는 차례를 적어 놓은 그림. 取考謄錄則御覽所用潔白搗鍊紙十張草圖次楮注紙十張太染太五升畵筆六柄各種彩色, (국장1903/133ㄴ05~06)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노부도(鹵簿圖), 자도(字圖) 가례(嘉禮), 발인(發引), 의례(儀禮), 흉례(凶禮) 문(文), 배반도(排班圖), 회화식(繪畫式) 가례(嘉禮), 국가의...
    상위어노부도(鹵簿圖), 자도(字圖) | 하위어가례반차도(嘉禮班次圖), 발인반차도(發引班次圖), 의례반차도(儀禮班次圖), 흉례반차도(凶禮班次圖) | 동의어문반차도(文班次圖), 배반도(排班圖), 회화식반차도(繪畫式班次圖) | 관련어가례(嘉禮), 국가의례(國家儀禮), 국장(國葬), 능원천봉(陵園遷奉), 부묘(祔廟), 습의(習儀), 예장(禮葬), 의궤(儀軌), 책례(冊禮)
  • 의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록된 내용으로 보아 영조 말년과 정조 연간 사이일 것으로 추정된다. 의장이란 의식에 쓰이는 무기 또는 물건을 일컫는데, 검극(劍戟)ㆍ일산(日傘)ㆍ월부(戉斧)ㆍ고자기(鼓字旗) 따위가 이에 속한다. 반차는 어떤 의식에서 문무 백관이 늘어서는 차례를 말하며, ...
  • 회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회작연(會酌宴) 때 참예(參詣)하는 사람들의 차례를 그린 의궤도(儀軌圖).
    정의회작연(會酌宴) 때 참예(參詣)하는 사람들의 차례를 그린 의궤도(儀軌圖).[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oejak banchado | MR표기hoejak panch’ad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조선왕조의 의궤와 왕실 행사 [조선시대 왕실문화의 상징코드 | 경상대학교]
    저자 : 김해영 ... | 출판사 : 현암사 | 출판일 : 20181228
    본서는 조선 시대의 왕실 문화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의궤라는 국가 기록물에 관한 연구서이다. 본서에서는 의궤가 왕실 의례와 관련이 깊은 책자로 이해되고 있는 점을 비판하고, 의궤가 고려와 조선 왕조에 특유한 도감 제도와 관련된 기록물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

고서·고문서(80)

  • 인산행열(因山行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반차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반차도
  • 고종태황제부묘(高宗太皇帝祔廟)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반차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반차도
  • 명성태황후부묘(明成太皇后祔廟)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반차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반차도
  • 숙종영정모사도감의궤(肅宗影幀摸寫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시 그러한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왕의 영정을 봉안할 때 관원들과 수행원들의 의례에 따라 어떤 위치에 서 있어야 하는지, 어떠한 의장(儀仗)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지를 그린 ()를 싣고 있는 첫 의궤이다. 이러한 는 후대의 의궤에서는 필수적으로 등장...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李太王實錄資料 1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1002332014100233_001 李太王實錄資料 1 자료 제64호 日省錄 궁내청 공문서관 85323 0016 94 문서 궁내성 1866년 3월 16일(음력)에 가례도감에서 가례...
    소장처궁내청 공문서관 | 조사일2015. 0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1)

  • 朝鮮後期 국왕 行次에 대한 연구 - 儀軌와 擧動記錄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50551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朝鮮後期 국왕 行次에 대한 연구 - 儀軌와 擧動記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
    유형논문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5)

  • / [예술·체육/회화]

    궁중의 각종 행사 장면을 그린 의궤도. 행사의 내용에 따라 구체적인 명칭이 붙여진다. 궁중 행사의 의식과 늘어선 관원들의 배치 상황이 정확히 묘사되어 있어 넓은 의미의 풍속적인 성격을 띤 기록화라고 할 수 있다. 그림의 앞과 끝에 행사 내역 및 참가 인원과 관직을 적은

  • 번차도목 / [정치·법제/법제·행정]

    뜻하는 번차와 근무의 결과를 종합 심사하여 올리고 내리는 것을 결정하는 도목을 따서 번차도목(目)이라 하였다.

  • 가례도감의궤청 / 嘉禮都監儀軌廳 [정치·법제/법제·행정]

    가례도감에서 주관한 행사 전반을 정리하여 의궤를 작성하는 기구. 조선시대에 국왕이나 왕세자 등의 국혼 때 가례와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임시 기구인 도감이 설치되는데, 행사가 완료되면 도감을 해체하고 의궤청을 설치한다. 의궤청은 도감에서 작성한 등록과

  • 강관론 / 講官論 [역사/조선시대사]

    1836년(헌종 2) 최한기(崔漢綺)가 사전(史傳)의 경연제설(經筵諸說) 중에서 군주와 신하가 할 일을 뽑아서 만든 책. 4권 1책. 목활자본. 내용의 순서는 서(序)·제왕학(帝王學)·강관·강의·강규(講規)·대명경연의(大明經筵儀)·경연(經筵) 및 발문으로

  • 저주지 / 楮注紙 [생활]

    포장 용지, 의례용 치마감, 초안으로 쓴 내용이나 사고에 분상하는 등록, 등의 정서 용지, 물품의 본을 뜨는 바탕감, 상탁의 다리를 감아 싸는 배접지, 혼례용단자 용지, 대렴 시 꼬아만든 당김줄용, 전각의 창호나 온돌 도배 용지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