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주” 에 대한 검색결과 2,1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53)

사전(7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발해시대의 지방행정구역. [내용] 『신당서』발해전(渤海傳)에 열거되어 있는 62주(州) 중의 하나이다. 이 주는 정리부(定理府)에 속하는데, 『요사』지리지에는 심주(瀋州)로 기록되어 있다. 위치는 미상이다. 심수(瀋水)‧안정(安定)...
    이칭별칭심주(瀋州)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사(高麗史)』 백관지(百官志) 서반조(西班條)의 응양군에 관한 기사에, 응양군의 상장군으로 군부전상서(軍簿典尙書)를 겸한 자를 라 일컬었다고 하였으며, 또한 에 대해서는 같은 백관지의 병조(兵曹)에 관한 기사에서 충선왕(忠宣王) 때 병조(兵曹)로 고치고 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밥을 먹을 때 함께 마시는 술. [내용] 주로 저녁상에 가 따르는데, 는 식사할 때 식사전에 술을 한두잔을 마셔서 피로를 풀고 식욕을 돋우게 하려는 데 그 뜻이 있다. 이러한 관습은 가정에서 술을 빚기 시작할 때부터 있었을 것으로...
  • TD_E2_D_0196 관직 麗制, 鷹揚軍, 上將軍, 軍簿典書 百官志 D_10_01_39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3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3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E2_D_0763 관직 傷脚, 親禦軍護軍, 監試主司, 家奴, 出柴, 折生松, 重房, 刮目放榜, 考閱 城外 尹侅, 閔思平 誌序 D_19_06_10 대동운부군옥 19권 6장 1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9권 6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993)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로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 목단강사범학교 109신적 6 5 , 엮은책, 기타, 독주, 위주...
    대표표제어반주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박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경안현(庆安县) 근로향 서광촌 3 3 , 춤, 노래, 하루, 피로, 풀며, 유쾌,
    대표표제어반주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교주곡 이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우의현(友谊县) 비닐제품공장 4 3 교주곡, 한국민요테입, 현재, 고국, 젊은...
    대표표제어교주반주곡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임선생님 김 흑룡강성(黑龙江省) 목단강지구(牡丹江地区) 림구현(林口县) 신흥대대 2소대 5 2 임선생님, 우움,
    대표표제어반주임선생님 | 성씨
  • 燕人公管叔章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330 孟子要義 卷一 ITKC_MP_0597A_0330_030_0120 燕人公管叔章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
    권차명孟子要義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74)

  • 끼마다 대접한 효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설화에 이어 구연했다. *
    조사일시1983-08-29 | 조사장소대구직할시 서구 중리동 | 제보자김분선
  • 이생강 호남 검무 음악 음반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생강 호남 검무 음악 음반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55 546 미상 음반녹음자료 1) 이생강의 호남 검무 대금 음악을 녹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기악기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생강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사자풀이-무가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노래되었다. 마지막 절차이므로 악사들의 없이 외징거리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굿에서는 끝까지 악사들이 를 붙여 주었다.
    분야무가 | 지역전라도
  • 이매방 춤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매방 춤 현장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I-161 2211 서울 현장녹음자료 1) 이매방이 음악에 맞추어 춘 살풀이와 승무를 녹음한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매방
  • 강윤나 태평무 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태평무 무용 터벌림 올림채 도살풀이 연희음악 2001-08-10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주엽동 12:59 00:00 A면 1) 태평무 음악 중 터벌림(00:00) 올림채 1(03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윤나

기초학문(5)

  • 스트룹을 이용한 공간기의와 대상기의의 상호작용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수미, 게재일 : 2008
    27942 박수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스트룹을 이용한 공간기의와 대상기의의 상호작용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국악가창 장단의 구조와 응용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3135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악학회 2004 국악가창 장단의 구조와 응용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일반5: 초등 음악 교과 민요 제재곡의 기술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병길, 게재일 : 2017
    61263 최병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음악학회 2017 일반5: 초등 음악 교과 민요 제재곡의 기술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17世紀 朝鮮朝 儒學의 經傳解釋에 관한 硏究 -『中庸』解釋을 둘러싼 朱子學派와 子的 解釋간의 葛藤 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병걸, 게재일 : 1991
    08438 안병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1991 17世紀 朝鮮朝 儒學의 經傳解釋에 관한 硏究 -『中庸』解釋을 둘러싼 朱子學派와 子的 解釋간의 葛藤 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
    유형논문 | 게재일1991
  • Effects of Sales Expenses and Management Expenses on Mutual Fund Performance and Flows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반주일, 게재일 : 2015
    60720 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WILEY-BLACKWELL 2015 Effects of Sales Expenses and Management Expenses on Mutual Fund Performance and F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35)

  • 삼매경기(三昧經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삼매경기(三昧經記) 三昧經記 삼매경기 유통서지 三昧經記 1卷 元曉 花嚴宗經論章疏目錄 大日本佛敎全書 p.25...
    대표표제어반주삼매경기(般舟三昧經記) | 대표서명般舟三昧經記 | 한글서명반주삼매경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 삼매경략(三昧經略)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삼매경략(三昧經略) 三昧經略 삼매경략 유통서지 三昧經略 1 元曉 東域傳燈目錄 T55, p. 1150b28
    대표표제어반주삼매경략(般舟三昧經略) | 대표서명般舟三昧經略 | 한글서명반주삼매경략 | 서지형태유통서지
  • 삼매경소(三昧經疏)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삼매경소(三昧經疏) 1 三昧經疏 삼매경소 유통서지 三昧經疏 1卷 元曉 佛典疏鈔目錄 卷上 大日本佛敎全書 p....
    대표표제어반주삼매경소(般舟三昧經疏) 1 | 대표서명般舟三昧經疏 | 한글서명반주삼매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삼매경소(三昧經疏)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삼매경소(三昧經疏) 2 三昧經疏 삼매경소 유통서지 三昧經疏 1 元曉述 新編諸宗教藏總錄 T55, p. 117...
    대표표제어반주삼매경소(般舟三昧經疏) 2 | 대표서명般舟三昧經疏 | 한글서명반주삼매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삼매약기(三昧略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삼매약기(三昧略記) 三昧略記 삼매약기 유통서지 三昧略記 1 元曉 增補諸宗章疏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
    대표표제어반주삼매약기(般舟三昧略記) | 대표서명般舟三昧略記 | 한글서명반주삼매약기 | 서지형태유통서지

기타자료(14)

  • 간이 법 해설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간이 법 해설 간이 법 해설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잡지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강일봉 | 사료철명부산교육
  • (연구보고) 가창지도에 있어서의 의 효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구보고) 가창지도에 있어서의 의 효과 (연구보고) 가창지도에 있어서의 의 효과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교육과정 교과교육 ...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동규 | 사료철명강원교육
  • 백제의 흑치상지가 당에서 벼슬을 받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에 따라 충무장군(忠武將軍) 행대방주장사(行帶方州長史)를 더하였다. 얼마 안 있어 사지절(使持節) 사제군사(沙諸軍事) 사자사(沙刺史)로 관직은 옮기고 상주국(上柱國)을 제수받았다. (「黑齒常之墓誌銘」) 【원문】 咸亨三年 以功加忠武將軍行帶方州長史 / 尋遷使...
    대표표제어백제의 흑치상지가 당에서 벼슬을 받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2년(壬申/신라 문무왕 12/唐 咸亨 3/倭 天武 1)
  • 백제의 흑치상지가 당에서 벼슬을 받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3년 공적에 따라 충무장군(忠武將軍) 행대방주장사(行帶方州長史)를 더하였다. 얼마 안 있어 사지절(使持節) 사제군사(沙諸軍事) 사자사(沙刺史)로 관직을 옮기고 상주국(上柱國)을 제수받았다. (「黑齒常之墓誌銘」) 【원문】 咸亨三年 以功加忠武將軍行帶方州長史...
    대표표제어백제의 흑치상지가 당에서 벼슬을 받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72년(壬申/신라 문무왕 12/唐 高宗 咸亨 3/倭 天武天皇 1)
  • 천안시 용곡동 동일아파트 건립예정부지내 유적 시굴조사(2차)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제2종 일거지역에 대한 시굴조사는 조사기간을 연장하여 2004년 1월7일~1월21일까지의 일정으로 약 5,000㎡의 면적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금번 조사가 이루어진 용곡동은 동쪽으로는 청수동, 서쪽은 쌍룡동, 남쪽은 신룡동, 북쪽은 다가동과...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중원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충청남도

주제어사전(47)

  • / [정치·법제/국방]

    라 일컬었다고 하였으며, 또한 에 대해서는 같은 백관지의 병조에 관한 기사에서 충선왕 때 병조로 고치고 또 판서를 고쳐 상서라 하고, 2인으로 늘려 그 하나는 가 이를 겸하게 하였다 한다.

  • 번작 /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환곡의 폐해. 추수 뒤에 영세농민이 환곡을 상환할 수 없게 되면 지방관리가 공모하여 창고의 문서를 허위로 작성하여 상부에 보고하고 그 이득을 나누어 착복하였다. 담당 향리는 농민과 상의하여 환곡미납분을 와환으로 처리하여 문서에는 회수

  • 박경규 / 朴景奎 [예술·체육/무용]

    해방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21호 「승전무」 피리의 전승자로 지정된 예능보유자. 1903∼1970. 경상남도 거제 출신. 34세 때부터 노덕규(盧德奎)로부터 피리를 배웠고 1968년 중요무형문화재 승전무 피리의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박복률(朴福律)을 후

  • 장님놀이 / [문학/구비문학]

    무당굿놀이의 하나. 경기도 양주·안성과 인천 및 동해안 각지에서 채록되었다. 재수굿 마지막 거리인 뒷전이나 별신굿에서 주무와 무가 대화로 진행하는 골계 놀이이다. 장구를 치는 무는 앉아 있고, 장님 노릇을 하는 주무가 지팡이를 짚고 등장하면서 주무의 구연으로

  • 가곡 / 歌曲 [예술·체육/국악]

    인천광역시에서 지정·보호한 단형시를 관현에 맞춰 좌창하는 전통 성악곡.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7호. 좌창(앉아서 노래함)하는 전통 성악곡에는 가곡 이외에도 시조·가사·서도좌창 등이 있지만, 가곡은 거문고·가야금·해금·세피리·대금·단소·장구의 각각 단잽이들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