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정공신” 에 대한 검색결과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

사전(77)

  • 최한홍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중종반정으로 축출된 연산군을 강화도 교동에 유폐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그 공로로 2등으로 녹훈되었다. 충청도절도사로서 관전(官田)을 차지하여 물의를 일으켰으나, 중종의 신임이 돈독하여 공조참판, 전라도절도사,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경상우도병마절도사(慶尙...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반정을 이루는 데 세운 공으로 녹훈된 공신. [내용] 중종반정으로 인한 정국공신(靖國功臣)과 인조반정으로 인한 정사공신(靖社功臣)이 있다. 정국공신은 1506년 중종반정이 성공한 뒤 9월에 박원종(朴元宗)‧성희안(成希顔)‧유순정(...
  • 유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ㆍ(). [내용] 1506년 중종반정에 가담한 공로로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 4등에 녹훈되었으나 1519년(중종 14) 조광조(趙光祖) 등에 의하여 남록자(濫錄者)로 지목되어
  • 홍우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31(중종 26).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남양(南陽). 아버지는 중종 경림(景霖)이며, 심정(沈貞)‧남곤(南袞) 등과 함께 기묘사화를 일으켰던 경주(景舟)의 조카이다. 일찍이 토산현감(兎山縣監)으로 있...
  • 이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14(광해군 6)∼1662(현종 3). 조선 후기의 종실. [내용] 할아버지는 선조이며, 아버지는 인성군 공(仁城君珙)이다. 일찍이 인성군이 이귀(李貴)의 핍박으로 역모혐의를 받고, 1628년에 대역처분을 받으면서 형 길(佶...
    이칭별칭 자강(子强)| 규창(葵窓)| 충효(忠孝)|해원군(海原君)

고서·고문서(3)

  • 소무영사녹훈도감의궤(昭武寧社錄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대한 불만에서 비롯된 반란으로, 당시 조정(朝廷)이 후금(後金)과 강화(講和)를 맺는 등 주화(主和)의 방향으로 돌아서자 ‘주화신(主和臣)의 처단’을 빌미로 계획된 거사였다. 한편 유효립 모반사건은 인조반정(仁祖反正) 이후 ()들의 정국운영에 대한 불만을...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녹훈도감의궤(錄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仁祖反正)을 주도한 () 심기원의 주도하에 회은군(懷恩君) 덕인(德仁)을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점에서 인조에게 상당한 정치적 타격을 준 사건이다. 게다가 연이어 발생한 유탁의 모반사건은 정치적 파장을 가중시켰다. 따라서 사건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운...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한수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후면에 새길 글을 부탁했다고 하였다. 原溪君元公-裕男-墓表 (32) 元裕男(1561∼1631)의 묘표. 壬辰倭亂때 전사한 豪의 아들이자 斗杓의 아버지로서, 기상이 빼어나고 도량이 컸으며 항상 청백과 검소로 자신을 단속했다고 하였다. 統虞侯李公-德一-墓表...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반정을 이루는 데 세운 공으로 녹훈된 공신. 중종반정으로 인한 정국공신과 인조반정으로 인한 정사공신이 있다. 정국공신은 1506년 중종반정이 성공한 뒤 9월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의 주도로 녹훈되었다.1등에 박원종·성희안·유순정이 병충분의결책익운정국공신으로,

  • 호위청 / 扈衛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궁중을 호위하기 위해 설치된 군영. 1623년 인조반정에 공이 있었던 김류·이귀 등의 훈신들이 숙위가 소홀하다고 하여, 반정 직후인 9월에 설치해 10월에 군영의 체제를 갖추었다. 설치이유는 왕권호위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들이 모집해 거사에 이용했

  • 이건 / 李健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62(현종 3). 조선 후기의 종실. 할아버지는 선조, 아버지는 공이다. 일찍이 인성군이 이귀의 핍박으로 역모혐의, 1628년에 대역처분을 받으면서 형 길·억 등과 더불어 역신의 자손으로 제주도에 유배되었다. 그 뒤 1633년(인조

  • 채수 / 蔡壽 [종교·철학/유학]

    1449(세종 31)∼1515(중종10). 조선 중기의 문신·중종. 영의 증손, 할아버지는 윤, 아버지는 신보이다. 어머니는 유승순의 딸이다. 1468년(세조 14) 생원시에 합격, 1469년(예종 1) 식년문과에 장원하여 사헌부감찰이 되었다. 1470년(성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