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장” 에 대한 검색결과 1,7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85)

사전(386)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등급으로 의장과 시위를 배치할 때에는 노부 대장(鹵簿大仗), 법가의 등급으로 배치할 때에는 노부 (鹵簿)이라 칭한다. 昨日緱鶴遽昇仙三殿何辭慰百身有恨纏書屛餘玩在遺架尺衣懸移雲外崇岡, (예장1786/062ㄱ01~02)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강동 오나라의 장수로, 동남풍이 불자 주유로부터 한수를 건너 동습을 도우라는 명을 받는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객지에서 죽은 사람의 시신을 고향으로 옮겨 장사 지냄. 就告 尹大諫彙貞令公 喪其獨子於漁泉之客地 將以近間於治下 葬時所用芚竹等物 幸依此錄 .飾覓借 .完大事 千萬至望, 유척기(兪拓基), 21(禮)-48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工匠)이라 하였다. 이들은 주로 병기 제작과 왕족^귀족의 생활품 등의 제조에 종사하였으며, 또 지방관청에 소속되었던 외공장(外工匠)은 각 관청에 등록되어 있으면서 공역(公役)에 종사하였다. 그러나 소반만을 제조하는 이른바 ‘소’은 별도로 두지 않고 대개 소목...
    이칭별칭나주반장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 소반을 만드는 기술.
    정의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 소반을 만드는 기술.[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obanjang | MR표기sobanj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단행본(1)

  • 식민지 조선을 말한다 林 回顧錄 [근대 조선 다크투어리즘과 계몽의 파레시아 | 동의대학교]
    저자 : 이준영 ...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출판일 : 20240531
    일제강점기 7명의 재무국장 중에 하야시 시게조(林繁蔵)는 6대 재무국장으로 7년 11개월로 가장 오랜 기간 근무한 인물이다. 하야시는 1914년 5월 16일 조선총독부 시보로 탁지부에 발령을 받으면서 관세과장 겸 임시관세조사과장(1919.9~1921.6), 사계과장(1...

고서·고문서(619)

  • 鄕藥集成方 第六十二 産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354 産 婦人大全論曰趙都運恭人每臨産則子腸先出然後産子産子之後其腸不收甚以爲苦名曰産醫不能療偶在一法收之其法遇産後子腸不收之時以醋半盞新汲冷水七分碗調停噀産母面每噀一縮三噀收盡此良法也後學不可不知【...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鄕藥集成方 第二 風門(2) 風角弓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202 風角弓 【聖惠方】論曰夫風邪傷人令腰背反折不能俛仰似角弓者由風邪入於諸陽經故也【肘後方】治中風身體角弓四肢不隨煩亂欲死 鷄屎白二升擣篩淸酒五升合和揚之千遍乃飮之大人服一升日三小兒服...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애국 문표 송부의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木面 第〃號 昭和 十四年 七月 五日 木面聯盟理事長 各 部落聯盟理事長 殿 愛國 門標 送付의 件 首題門標를 左記와 如히 送付오니 至急揭示케하심을 爲要通 知함 追而 門標는 느저도 七月까지는 揭示를 完了케 할지며 揭示는 家의 見易한 場所(卽...
    분야문학 | 유형문헌
  • 鄕藥集成方 第六十三 産後中風口噤 角弓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354 産後中風口噤角弓 婦人大全論曰凡産後中風口噤是其血氣虛而風入於頷頰夾口之筋也手三陽之筋結入於頷産則勞損府藏傷於筋脈風若乘之其三陽之筋脈則偏搏之筋得風冷則急故令口噤角弓者是體虛受風...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경진년 동궁마마윗와산긔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가사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가사매매명문

구술자료(46)

  • 도 여 장터 에 가면 안종복이라는 사람이 있어. 그 사람 장인이 을 봤어. 조태백이라고 [청중 : 그 사람 도 죽었다네.] 죽었데요? 그 사람 장인이 젊었을 때거든요. 나보다 몇 살 더 먹었어. 그 사람이 이야. 만 둘이 왔어. “병순이!” “아 어쩐 일이
    조사지역전북 무주 | 조사일2013년 8월 20일
  • 그런데 한 고개 를 넘으면 거기가 경기도 지평 넘어 초천이라는데 먹뱅이를, 고개를 넘어가서 딴 동네 연락하러 이 가는 거야. 그래서 이 가서 전쟁 났다고. 그래가지구서, 그래구 났는데 점점점 커지는 거야. [조사자 : 응-.] 그러더니 이틀 밤을 자고 나니까,
    조사지역강원 홍천 | 조사일2013년 3월 4일
  • 네 살 난 자식을 눈 속에 묻어야만 했던 사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이 나갔는데 우리 시누가 애가 이 논으로 쑥 빠졌어. 그래서 애 끄내니까 우리 큰아들이 눈만 빼꼼한게 그래 우리 아버님이 저 애 죽인 다고 막 난리를 쳐서 일본 이 나를 나 오지 말라고 그러더라고. 그래 우리아들 그러고서부터 내가 애기보고 못나갔어. 반 장을 막
    조사지역강원 횡성 | 조사일2012년 7월 26일
  • 금강 다리를 사이에 두고 어머니와 이별하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셨어요?] 배급. 우리집에서 배 급받은 건 난 모르고 설탕배급 받은 건 봤어. 석유배급타고, 설탕배급 탔어. 네 집에가서. 지 금 맥주병 같은 거에다 담아서 타오고, 설탕 노란 설탕 받았어. [조사자 : 그러면 배급은 전쟁 전 에 받으신 거예요?] 전쟁이 나고 나서
    조사지역충남 공주 | 조사일2013년 5월 23일
  • 비를 넘기고 살아왔다. 인민군들이 동네를 불태워 제보자는 가족들과 피난을 잠시 갔다가 마을이 평온해지자 다시 마을 로 돌아왔다. 제보자는 동네 으로 일하면서 치안미, 경상비를 거둬 치안대원들을 먹여 살렸다. [1] 경찰한테 끌려가 총살당할 위기에 처하다 [조사자
    조사지역전북 무주 | 조사일2013년 8월 20일

기초학문(2)

  • 중학교 학급의 역할수행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순, 게재일 : 2008
    10790 이정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중학교 학급의 역할수행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중학생 의 역할개념과 역할수행방식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순, 게재일 : 2007
    11251 이정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중학생 의 역할개념과 역할수행방식에 대한 질적 분석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622)

  • 廨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에 셩균관유 리쟝희 한셩열씨등 삼십인이 갈닌 셩균관쟝 셔상훈씨로 환임케여달나고 학부에 쳥원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吉田(吉田) 서울 吉田 吉田 黃金町 3-297 기타 - 부동산 알선(周旋) - 30.7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
    대표표제어吉田繁藏(吉田繁藏) | 지역서울 | 품목기타 | 영업종목부동산 알선(周旋)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川崎(川崎) 서울 川崎 川崎 永登浦町 425 청부업 - 토목 건축 청부 112 트럭 운송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川崎半藏(川崎半藏)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토목 건축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叙任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셩균관쟝 셔상훈씨 톄임된에젼비셔승임션쥰씨가셔임된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尉官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셔강거 김형진이가 일젼에 졈을 아현근디에 이른즉 복쟝 위관일인이 견쟝에 진위련라쓴 병뎡일인을 령솔고 오더니 별안간에 그위관이 김형진을 발로차셔 에 걱구러진후에 가졋든 시표와 의관을 탈야 가지고 아현 뒤산으로 도망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5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9)

  • 김중환;金重煥;金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1167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52면 김중환;金重煥;金田 대구부 한성은행 西支店 제18회 193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특집 체육진흥) 학교교육에 있어서 체육교육의 중요성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보건 교육총류 교육론 잡지 임번장 林 1982 9 강원...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임번장 | 사료철명강원교육
  • Letter from Cho Chang Joe to Team Director, Kyongsang Namdo Provincial Team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학교 함안 군수 조창제로부터 경상남도 에게 보내는 감사편지로서, 피난민들이 간절히 바라는 소금을 영국과 유엔군민사지원사령부(UNCACK)로부터 받을 수 있게 되어 진심으로 감사하고, 이 소금은 그들의 생활문제를 크게 해결할 것이라는 내용.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ho Chang Joe Gun Master Haman Gun | 수신자Team Director, Kyongsang Namdo Provincial Team
  • 백제의 승려 관륵이 왜에 표문을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朕聞 有僧以毆祖父 故悉聚諸寺僧尼 以推問之 若事實者 重罪之 於是 集諸僧尼而推之 則惡逆僧及諸僧尼 罪 於是 百濟觀勒僧 表上以言 夫佛法 自西國至于漢 經三百歲 內傳之至於百濟國 而僅一百年矣 然我王聞日本天皇之賢哲 而貢上佛像及內典 未滿百歲 故當今時 以僧尼未習法律 輒犯惡逆 是以 諸...
    대표표제어백제의 승려 관륵이 왜에 표문을 올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24년(甲申/신라 진평왕 46 建福 41/고구려 영류왕 7/백제 무왕 25/唐 武德 7/倭 推古 32)
  • 백제의 승려 관륵이 왜에 표문을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今朕聞 有僧以毆祖父 故悉聚諸寺僧尼 以推問之 若事實者 重罪之 於是 集諸僧尼而推之 則惡逆僧及諸僧尼 罪 於是 百濟觀勒僧 表上以言 夫佛法 自西國至于漢 經三百歲 內傳之至於百濟國 而僅一百年矣 然我王聞日本天皇之賢哲 而貢上佛像及內典 未滿百歲 故當今時 以僧尼未習法律 輒犯惡逆 是以...
    대표표제어백제의 승려 관륵이 왜에 표문을 올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24년(甲申/신라 진평왕 46 建福 41/고구려 영류왕 7/백제 무왕 25/唐 高祖 武德 7/倭 推古天皇 32)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6)

  • / [정치·법제]

    할 때에는 노부 대장, 법가의 등급으로 배치할 때에는 노부 이라 칭한다.

  • 반통 / 泮通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 대사성을 선발하기 위한 후보자 추천 제도. 반은 성균관 옆을 흐르는 반수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에 연유하여 성균관을 반궁, 대사성을 이라고 칭하였다. 통은 통망, 즉 관직임용의 3배수 후보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반통은 , 즉 대사성

  • 목화 / 木靴 [생활/의생활]

    조선 중·후기 관복에 신던 신. 바닥은 나무이고 신목은 천으로서 전(氈)이나 가죽·융(絨) 또는 금단(錦緞)으로 겉을 씌우고 솔기에는 홍색 선(縇)을 둘렀다. 모양은 화와 비슷하여 목이 길고 넓적하다.

  • 채세윤 / 蔡世允 [역사/근대사]

    생하자, 북만주의 영안(寧安)으로 돌아가 신민부(新民府)에 참여하여 별동(別動)으로 항일전투에 참전하였다. 1926년 신민부 빈강지구(濱江地區) 유격(遊擊)으로 하얼빈에서 민족반역자 숙청공작을 하던 중 일본경찰에 붙잡혀, 1928년 징역 10년을 선고받았

  • 길의장 / 吉儀仗 [정치·법제/법제·행정]

    부라고 하지만 혼칭하기도 한다. 의장은 그 규모에 따라 대장(大仗)·소장(小仗)·() 등으로 구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