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우” 에 대한 검색결과 8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2)

사전(186)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아무개 왕후]이라고 쓴 후, 이 우주를 혼전에 모셔와 영좌에 안치하는데 이를 라고 한다. 때 지내는 제사를 우제(虞祭)라고 한다. 우(虞)는 돌아가신 혼령을 편안히 한다는 의미이다. 국왕과 왕비의 경우 우제를 일곱 차례 지내는데 초우제(初虞祭)는 현궁에 내린...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미루어 앎. 『논어(論語)』.술이(述而).에 “한 귀퉁이를 들어주었는데 남은 세귀퉁이를 미루어 알지 못하면 다시 일러주지 않는다.(擧一隅 不以三隅反 則不復也)”라고 하였다. 仍悚 弊燭臺一雙送似 卽此 可知弊府凡具之爲無形耳, 민희(閔熙), 5-6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장례 지낸 뒤에 신주(神主)를 집에 모셔오는 일. 반혼(返魂), 반전(返奠). 因山時則當自此直詣陵所參班 待進發後 又將直還郊舍耳, 권돈인(權敦仁), 20-6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혼(返魂) 의(儀), 우주(虞主) 왕실왕실의례/흉례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임민혁 [정의] 혼령이 깃든 우주(虞主)를 모시고 본가로 돌아오는 의식. [내용]
    동의어반혼(返魂) | 관련어반우의(返虞儀), 우주(虞主)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거제(巨濟). 아버지는 조(慥)이다. 1474년(성종 5)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486년에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1490년 이래 성균관 관원이 되어 가르치는 데 명성이 있었다. 1...
    이칭별칭이성군(利城君)|기성군(岐城君)

고서·고문서(540)

  • 행열도(行列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반차도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반차도
  • 羹從俗無妨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ws_00135 문화‧생활 작품 조선 예설유편(禮說類編) 卷之五 祭禮_時祭 左羹從俗無妨 左羹從俗無妨 이익(李瀷, 1681~1763) 答秉休問目 DRAC_5:2:1:57Q 《家禮》“設饌”, 右飯左羹, 與生人之禮不同, 尋常疑之. 及按,《特牲禮》: “佐食邇黍稷...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是日刻木印幾顆,諸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210 牧民心書 卷一 ITKC_MP_0597A_1210_070_0090 是日刻木印幾顆,諸鄕。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牧民心書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計版旣成,條列成冊,諸鄕,俾資後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250 牧民心書 卷五 ITKC_MP_0597A_1250_010_0020 計版旣成,條列成冊,諸鄕,俾資後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牧民心書 卷五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小寒前十日,書賑濟條例及賑曆一部,諸鄕。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330 牧民心書 卷十三 ITKC_MP_0597A_1330_030_0040 小寒前十日,書賑濟條例及賑曆一部,諸鄕。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牧民心書 卷十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신문·잡지(61)

  • 害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샤직뒤에 법인이 집을짓고로 외부고문관 미륜씨가 판단말은 이왕긔 엿거니와 슈일 젼 그건을 판결엿데 졍부에셔 무러쥴돈이 칠쳔 오여원이나 된다더라
    게재일1902년 3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북쟝동 감 물골거 김슌일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북쟝동 감 물골거 김슌일의 팔셰된 놈이가 갑당긔에 분홍 져고리에 왜목구녁바지 입고 메툐리신고 나갓시니 누구던지 보시거든 본집으로 보쥬시면 후사소 김슌일 고
    게재일1901년 4월 15일 | 기사분류광고
  • 북쟝동 감 물골거 김슌일의...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북쟝동 감 물골거 김슌일의 팔셰된 놈이가 갑당긔에 분홍 져고리에 왜목구녁바지 입고 메토리신고 나갓시니 누구던지 보시거든 본집으로 보쥬시면 후사소 김슌일 고
    게재일1901년 4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 日塾試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립일신의슉에셔일젼에 방학시험을얏 일등에 안쥬영 이등에 긔츙셥 박봉진 삼등에 최흥녑 등에 장리용 리진 제인이더라
    게재일1907년 7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月終試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립흥화학교에셔 오월죵시험을 츠럿 영어과 일둥에 김졍한 박만용 동 이등에 리윤쟝 김즁덕 동 삼동에 졍항식 오영션 한덕연졔씨오 일어과 우등에난 권오봉 김즁환 리직호 삼씨더라
    게재일1905년 6월 2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5)

  • (교육현장은 말한다) 바른 교육 위해 교사 우대해야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신 1993 12 교육월보 144호 교육부 6 1...
    범주1교원 | 형식잡지 | 한글저자신반우 | 사료철명교육월보
  • 제명천황을 조문하러 왔던 고구려 사신들 중 돌아가지 않았던 사람들이 귀국하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다. 이들은 後岡本天皇(齊明天皇)의 상을 당하자 조문하러 온 사신들인데, 머물러 있다가 돌아가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日本書紀』 29 天武紀 下) 【원문】 (十一月壬申朔)乙亥 高麗人十九人 本土 是當後岡本天皇之喪 而弔使留之 未還者也 (『日本書紀』 29 天武紀 下)...
    대표표제어제명천황을 조문하러 왔던 고구려 사신들 중 돌아가지 않았던 사람들이 귀국하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80년(庚辰/신라 문무왕 20/唐 調露 2, 永隆 1/倭 天武 9)
  • 신라가 일본에 보낸 송사 보 등에게 물건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差 卽從筑紫國 (󰡔日本書紀󰡕 29 天武紀 下)
    대표표제어신라가 일본에 보낸 송사 보 등에게 물건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3년(癸酉/신라 문무왕 13/唐 咸亨 4/倭 天武 2)
  • 신라가 보낸 김청평이 일본에서 귀국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초하루 정사일(27)에 김청평(金淸平)이 귀국하였다. 표류해 온 박자파(朴刺破) 등도 청평(淸平) 등에게 딸려 본토로 돌려보냈다. (『日本書紀』 29 天武紀 下) 【원문】 (八月辛卯朔)丁巳 金淸平歸國 卽漂着朴刺破等 付淸平等 本土 (『日本書紀』 29 天武紀 下)...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김청평이 일본에서 귀국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77년(丁丑/신라 문무왕 17/唐 儀鳳 2/日本 天武 6)
  • 신라가 보낸 사정(仕丁)에게 일본이 귀국하도록 하고 녹을 내렸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신라→일본 【번역】 2월 병오 초하루 임신일(27)에 신라의 시종 8인이 본토로 돌아갔다. 그러므로 은혜를 베풀어 녹(祿)을 차등있게 주었다. (『日本書紀』 29 天武紀 下) 【원문】 (二月丙午朔)壬申 新羅仕丁八人 本土 仍垂恩以賜祿有差 (『日本書紀』 29 天...
    대표표제어신라가 보낸 사정(仕丁)에게 일본이 귀국하도록 하고 녹을 내렸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80년(庚辰/신라 문무왕 20/唐 調露 2, 永隆 1/倭 天武 9)

주제어사전(8)

  • / [정치·법제]

    쓴후, 이 우주를 혼전에 모셔와 영좌에 안치하는데 이를 라고 한다. 때 지내는 제사를 우제라고 한다. 우는 돌아가신 혼령을 편안히 한다는 의미이다.

  • 조석곡 / 朝夕哭 [생활/주생활]

    국상에서 연제때까지 아침저녁으로 빈소에 나아가 곡을 하며 애도하는 의식. 발인 전에는 빈소에서 조석전과 같이 조석곡을 행하지만 한 이후에는 전의 없이 조석곡을 행하다 연제 때에 그만둔다.

  • 고유전 / 告由奠 [역사/조선시대사]

    국장에서 중요한 사건이 있을때 음식을 준비하여 올리면서 그 사실을 아뢰는 의식. 고유는 중요한 일이나 사건을 윗사람 또는 신에게 아뢰는 것을 말한다. 반면 전(奠)이란 음식을 올리는 것을 가리키는데 대개 상례에서 초종(初終)부터 (虞祭) 이전까지 망자에게 음식을

  • 국장도감 / 國葬都監 [종교·철학/유학]

    고려·조선 시대에 국왕이나 왕후의 상사가 있을 때 그 장례 행사를 주관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임시 기구. 보통 국상 당일에 조직되어 장례 뒤 혼전에 해 우제가 끝날 때까지 약 5개월간 존속하였다. 이 기간 동안의 상·장례에 따르는 모든 의전·재정·시설·문한 등의

  • 길복 / 吉服 [정치·법제]

    상을 마친 후 입는 평상시의 복식. 국상의 경우 발인 때에는 포단령, 포직령, 최질복, 삼베융복, 백두건에 백호의 등 각자의 신분과 역할에 맞는 상복을 착용하였다가, 때에는 상례에 의해 길복으로 갈아입게 된다. 즉 흑단령ㆍ오사모ㆍ흑각대 차림이나 흑두건에 흑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