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야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1)
사전(154)
- 반야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실본(失本)과 한역되지 않은 산스크리트본‧티베트역본이 상당수에 이른다. [내용] 그 대표적인 것에는 당나라 현장(玄奘)이 번역한 ≪대반야바라밀다경≫ 600권이 있다. 16회(會) 16분(分)으로 이루어진 이 경전은 ≪대반야경≫이라고도 하며, 그 성질상 초...
- 반야경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반야바라밀을 교설한 여러 경전을 통틀어 이르는 말정의반야바라밀을 교설한 여러 경전을 통틀어 이르는 말 | 문광부표기Bannyagyeong | MR표기Panyagy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反射鏡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S2_I_0009 反射鏡 서양문물 首都, 凹形, 光線, 燒點, 日光, 敵, 軍艦, 燒盡, 博物家, 凸形, 透鏡, 遠距離, 木片, 鉛, 鎔解 紀前 二百八十七年, 一七四七年 羅馬, 西西里, 金屬, 法國 亞其美底斯, 馬塞剌斯, 布夫安 I_01...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22장 3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상지은니대반야바라밀다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상지에 은니로 쓴 『대반야경』. [내용] 1권(권 305) 1첩. 보물 제1101호. 불교경전 가운데 가장 분량이 많은 『대반야경』 600권 가운데 제305권으로 불모품(佛母品) 앞부분의 내용이다. 은니 보상당초문으로 장엄되어 있는 표...
- 대반야경(大般若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2305 문헌 대반야경(大般若經) 대반야경 大般若經 반야(般若)를 설파한 여러 경전(經典)을 집대성한 책. 600권. 원명은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經)』이다. 반야란, 불교에서 말하는 최상의 지혜로, 이 지혜를 얻어야 부...유형분류문헌
고서·고문서(20)
- 금강반야경소론찬요간정기회편(金剛般若經疏論纂要刊定記會編)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金澤文庫所藏金剛般若經略疏題記_金澤文庫所藏金剛般若經略疏題記 跋尾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647 일본 기타 金澤文庫所藏金剛般若經略疏題記 560 충혜왕(忠惠王) 후2 1341 9 3 金澤文庫所藏金剛般若經略疏題記 跋尾 一交畢 以東大寺尊勝院御徑藏本 令書寫畢 于時正和二年壬丑九月三日 於戒壇院敬書之 高山寺經藏有高麗印本 有人以彼...국가일본 | 서명金澤文庫所藏金剛般若經略疏題記 | 왕대충혜왕(忠惠王) 후2
- 감귤(柑橘)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783 B002783 감귤 柑橘 경제산업 高麗史節要 卷之六 宣宗 二年 春二月 春二月 遼 報改元始令駕幸時 奉仁王 般若經 前導⁄對馬島 遣使 進柑橘⁄幸歸法寺 自是屢幸寺院출처전거高麗史節要 卷之六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대구어(大口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內, 四隻上京支待, 其餘三隻, 聽令留浦興販, 足下其知之。○其別幅:○《大般若經》一部、白細緜紬一十匹、白細苧布一十匹、黑細麻布一十匹、虎皮二領、豹皮二領、松子四石、蒜二石、燒酒三十甁、桂四角、茶食四角、淸蜜六斗、乾大口魚二百尾、乾鯉魚一百尾、乾鮒魚三百尾、白米一十石、白粘米二石、眞末二石。○子...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건리어(乾鯉魚)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知之。○其別幅:○《大般若經》一部、白細緜紬一十匹、白細苧布一十匹、黑細麻布一十匹、虎皮二領、豹皮二領、松子四石、蒜二石、燒酒三十甁、桂四角、茶食四角、淸蜜六斗、乾大口魚二百尾、乾鯉魚一百尾、乾鮒魚三百尾、白米一十石、白粘米二石、眞末二石。○子千代熊處: 諸緣具靴子一部、海獺皮鞍籠一箇、藤鞭一箇、豁...출처전거世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5)
- 基撰『金剛般若經賛述』の真僞問題について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320414 한국연구재단 東洋大學東洋學硏究所 2013 基撰『金剛般若經賛述』の真僞問題について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반야신앙의 전승과 유포에 대한 일고찰* -한역 반야경전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561332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반야신앙의 전승과 유포에 대한 일고찰* -한역 반야경전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산스끄리뜨 불전의 언어학적 가공과 문법정보 테이터베이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순환, 게재일 : 2011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9477&local_id=10057048 산스크리트 불전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언어학적 분석과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팔천송반야경과 이만오천송반야경을 중심으로 - https://ww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산스끄리뜨의 어근과 표제어 고정 형태의 필요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순환, 게재일 : 2012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9477&local_id=10057055 산스크리트 불전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언어학적 분석과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팔천송반야경과 이만오천송반야경을 중심으로 - https://www.krm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바라밀다(PARAMITA)의 형태론적 어원 분석들과 그 실제적 가능성에 대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전순환, 게재일 : 2011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19477&local_id=10033341 산스크리트 불전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언어학적 분석과 문법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팔천송반야경과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90)
- 반야경소(般若經疏)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반야경소(般若經疏) 般若經疏 반야경소 유통서지 般若經疏 1 遁倫 注進法相宗章疏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일본문헌편(김영태 엮음,...대표표제어반야경소(般若經疏) | 대표서명般若經疏 | 한글서명반야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금강반야경기(金剛般若經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금강반야경기(金剛般若經記) 金剛般若經記 금강반야경기 형태서지 金剛般若經記 己和 記 朝鮮 韓國 筆寫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朝鮮後期]寫 ...대표표제어금강반야경기(金剛般若經記) | 대표서명金剛般若經記 | 한글서명금강반야경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인왕반야경비건(仁王般若經祕鍵)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인왕반야경비건(仁王般若經祕鍵) 仁王般若經祕鍵 인왕반야경비건 유통서지 仁王般若經祕鍵 1 叡山圓珍撰與料簡一卷同[1]異可詳[2]依法藏疏云...대표표제어인왕반야경비건(仁王般若經祕鍵) | 대표서명仁王般若經祕鍵 | 한글서명인왕반야경비건 | 서지형태유통서지
- 인왕반야경소(仁王般若經疏)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인왕반야경소(仁王般若經疏) 1 仁王般若經疏 인왕반야경소 유통서지 仁王般若經疏 1 圓測撰 東域傳燈目錄 T55, p. 1148c...대표표제어인왕반야경소(仁王般若經疏) 1 | 대표서명仁王般若經疏 | 한글서명인왕반야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인왕반야경소(仁王般若經疏)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인왕반야경소(仁王般若經疏) 2 仁王般若經疏 인왕반야경소 유통서지 仁王般若經疏 [1]二部二卷 常曉和尚請來目錄 T55, p. 106...대표표제어인왕반야경소(仁王般若經疏) 2 | 대표서명仁王般若經疏 | 한글서명인왕반야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기타자료(2)
- 괴이한 일의 발생을 번객(발해 사신)의 내항 때문이라고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14) 발해 발해→일본 【번역】 (3월) 23일 계사일에 이번 봄 이후로 안팎으로 자주 괴이한 일이 보였다. 이로 말미암아 사자를 여러 신사에 나누어 보내 폐백을 바치게 하였다. 또 신사에 가까운 도량에서는 매 사(社)마다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을 독송하게...대표표제어괴이한 일의 발생을 번객(발해 사신)의 내항 때문이라고 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玄錫 2/唐 懿宗 咸通 13/日本 清和天皇 貞觀 14)
- 괴이한 일의 발생을 번객(발해 사신)의 내항 때문이라고 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해 발해→일본 【번역】 (3월) 23일 계사일에 이번 봄 이후로 안팎으로 자주 괴이한 일이 보였다. 이로 말미암아 사자를 여러 신사에 나누어 보내 폐백을 바치게 하였다. 또 신사에 가까운 도량에서는 매 사(社)마다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을 독송하게 하였다. (…...대표표제어괴이한 일의 발생을 번객(발해 사신)의 내항 때문이라고 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72년(壬辰/신라 경문왕 12/발해 현석 3/唐 咸通 13/日本 貞觀 14)
주제어사전(13)
-
반야경 / 般若經 [종교·철학/불교]
반야를 주제로 한 경전의 총칭. 반야란 제법의 실상을 깨닫는 지혜를 말한다. 각각의 반야경전들의 주제는 이 반야의 지혜에 관한 것이다. 반야는 세계의 실상이 공임을 깨닫는 지혜이다. 반야경 종류로는 <소품반야> <대품반야><금강반야바라밀다경><반야심경> 등이 있다.
-
금강반야경약기 / 金剛般若經略記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도륜이 『금강경』을 풀이한 주석서.불교서. 일본 승려 에이쵸[永超]가 찬술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홍경록(弘經錄) 1에 1권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일실되어 전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금강반야경약기』 외에도 경흥의
-
금강반야경찬 / 金剛般若經贊 [종교·철학/불교]
야경찬(金剛般若經贊)』 외에도 『금강경』에 대한 주석서는 원효, 도기, 경흥, 태현, 도륜 등 많은 고승들이 남겼다.
-
대반야경강요 / 大般若經綱要 [종교·철학/불교]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의적이 『대반야바라밀다경』을 해석한 불교서. 불교주석서. 일본 승려 에이쵸[永超]가 찬술한 『동역전등목록(東域傳燈目錄)』 홍경록(弘經錄) 1과 『나라록(奈良錄)』에는 1권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일실되어 전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
대반야경적목 / 大般若經籍目 [종교·철학/불교]
목록』에서 『대반야경적목(大般若經籍目)』의 별행(別行)에 동명으로 2권과 1권이 각각 있다고 주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