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수” 에 대한 검색결과 2,0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68)

사전(383)

  •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례 때 수석의 자리에서 여러 관원의 명단을 받아 봉위(奉慰)를 거행하는 우두머리. 백관이 졸곡제(卒哭祭)나 성복(成服), 빈전(殯殿)에 전을 올리는 등의 의례를 행할 때 통례문이 여러 관원을 인도하여 동편 가까이로 반열을 옮기면 관원들은 ()에게 이름을 내놓...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병작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주가 소작인에게 소작료를 수확량의 절반으로 매기는 일
    정의지주가 소작인에게 소작료를 수확량의 절반으로 매기는 일 | 문광부표기byeongjak bansu | MR표기pyŏngjak pans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A4_D_0062 僅免 재이 水災, 獄官, 鴨脚 淸州 D_11_04_65 대동운부군옥 11권 4장 65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1권 4장 6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O2_D_0026 食 밥 饑饉, 草竊, 蜂起, 戍卒, 救恤 南方 弓裔, 王建 羅史 D_18_01_91 대동운부군옥 18권 1장 9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9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O2_S_0001 啜菽 밥 卒食, 菽, 米, 居貧, 菽歌, 傳示, 貧灶, 撙節, 火菽, , 碧菽, 黇菽, 粥, 啜菽, 飮水, 孝, 流啜, 稀粥, 士之常, 聖人, 禾麥, 農家, 人風 先聖, 子路 史記, 春秋 S_09_01_105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9권 1장 10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숙빈 최씨 자료집 3-의주, 식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정만조(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 교수),...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新祠宇奉安時儀》 《毓祥宮上冊印儀》 《毓祥宮昭寧園式例》 《毓祥宮昭寧園式例》 《육샹궁묘현의》 《毓祥宮中賭租折捧成冊》 숙빈최씨 자료의 내용

고서·고문서(1,150)

  •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70 詩經講義 卷三 ITKC_MP_0597A_0470_110_0040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
    권차명詩經講義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魯頌 ()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BO_4:2:3:1 楊愼云: “《通典》: ‘魯國有泗水縣, 出焉.’” 《左傳》“晉侯濟自泮”, 泮, 水名也. 泮宮, 旁之宮; 泮林, 旁之林. 今以采芹、藻、茆之語觀之, “半壁之水”似無此理. 楊說亦似有理. HCBO_4:2:3:2 釋菜先師, 貴賤通之. 《學記》...
    서명시경질서(詩經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人事門3_啜菽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啜菽 《史記》云“卒食”, 謂菽與米相半也. 余巧於居貧, 求菽之美品, 得赤赤: 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朱’로 되어 있다. 者體大而皮軟, 和在米中, 味甘反勝, 遂作《米菽歌》, 傳示示: 규장각본ㆍ동양문고본에는 ‘云’으로 되어 있다. 貧竈. 後得黑點者、碧者、白而微黃者...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을유년 태학동(太學東) 박(朴) 등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애국첩보급에 관한 건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靑木總聯盟第一三四號 昭和十六年九月十九日 國民總力木面聯盟理事長 各 部落聯盟理事長 殿 愛國帖普及에 關한 件 首題愛國帖은 聯盟運動指導上好箇의 參 考資料임에 各住는 管下聯盟員의게 此旨充分周知 하야 購入希望者를 取纏하야 來二十五日까지 現舍 添附上申込하시기
    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6)

  • 렀다. 선비가 뒤돌아서 미녀사를 보고 말았다. 선비가 스승에게 말하자 스승이 방비책을 알려주었다. 미녀사가 다시 찾아와 선비의 이름을 부르자 선비가 방비책으로 미녀사를 쫓아냈다. 미녀사, 금기, 반인, 선비, 과거급제, 지네, 민담, 반소홍, 중국, 한족, 강원도
    국가중국 | 제보자반소홍 [중국, 여, 1977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칠레를 생기게 한 동물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줘서 산에 살 수 있게 되었다. 이들이 움직이면서 긴 칠레가 생겼다. 칠레, 동물, 바다, 산, 활동, 유래담, 반인, 브루노, 칠레,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사실은 정말 우리나라가 정말 긴 나라인데, 거기에서는 바다, 바다하고 산 많이 있어요. 그래서 옛날
    국가칠레 | 제보자브루노 [칠레, 남, 1998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뱀이 많이 생겨난 이유(낑껑뱀)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기 뱀은 하체는 사람이고 상체는 뱀의 모습을 하고 있었는데, 오랫동안 사람들과 살았다. 낑껑뱀, 호미, 불륜, 이물교혼, 부인, 동침, 남편, 뱀국, 반인, 민담, 썸마카라, 캄보디아, 경상도, 진주시 옛날에는 그 가난한 가족 있어요. 남편은 일 년에 한 번 집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썸마카라 [캄보디아, 여, 1988년생, 결혼이주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프라스톤과 반인반조(半人半鳥) 마노라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앉은 인드라신의 도움으로 마노라를 찾았고, 왕에게 인정받아 낀나리에서 잘 살게 되었다. 반인, 낀나리, 왕, 사냥꾼, 용왕, 도사, 의식, 점술가, 인드라, 파리, 프라스톤, 마노라, 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서울시, 광진구, 민담 프라스톤과 마노라 이야기에서는
    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오니까 집에서. 불을 질렀다고 죽고. 근데 어-떤 거긴가는 그게 추측이지. 그 당사자가 없으니까. 그렇게해서 1차적으로 요 앞에 쫌 있잖아요. [조사자 : 예예.] 여기에다 마을 사람들이 전부 모 인걸 해갖고, 전부해갖고 거의 다. 한 정도는 죽었어요. 그러니까
    조사지역경북 문경 | 조사일2012년 3월 9일

기초학문(8)

  • 웹기업의 동기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웹기업의 동기유발성 측정방법 탐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2836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공학회 2004 웹기업의 동기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웹기업의 동기유발성 측정방법 탐색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동․서양 신화의 '반인' 테마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인영, 게재일 : 2005
    21678 이인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카프카학회 2005 동․서양 신화의 '반인' 테마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EFL 대학생을 위한 영어어휘목록 개발과 웹기준 평가도구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인석, 게재일 : 2005
    32982 김인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05 EFL 대학생을 위한 영어어휘목록 개발과 웹기준 평가도구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중학교 영어 연구수업 사례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영주, 게재일 : 2014
    egory=ResearchPaper&m201_id=10040946&local_id=10056096 초, 중등 영어교사의 수업능력 발달에 미친 수업경험의 영향: 연구수업과 일업을 대상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QR 코드를 활용한 영어과 스마트 수업 모형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영주, 게재일 : 2013
    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40946&local_id=10056098 초, 중등 영어교사의 수업능력 발달에 미친 수업경험의 영향: 연구수업과 일업을 대상으로 https://www.krm.or.kr/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456)

  • 施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향일 젼고위원이 부에 회동엿슬에 젼고위원이 회 규졍을 작뎡엿데 참여관의 의견으로 단칠인즁에 반슈만 회동면 회기로 졔위원이 가결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15일 | 기사분류잡보
  • 其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젼 동문외 지동사 십오셰된아가 그근쳐 셕벽에셔 긔셔먹다가 러져쥭엇다말은 임의긔얏거니와 그근동에사한아이 그아에 쥭음을보고 아집에 통긔얏더니 그 집에셔 통긔야쥰쟈 무슈구타며 너의가 그러케 쥭엿다고 경무동셔로 잡아드려갓다니 과연 그러...
    게재일1906년 7월 12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에셔 명치 삼십년도에 신문 잡지와 셔등물을 츌판 슈효가 일만팔쳔칠 삼십팔부 인데 그즁에 일본인의 져작것이 일만 팔쳔 륙오부요 번역것이 일삼십삼부요 신문잡지가 일쳔일십죵이라더라
    게재일1902년 6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부상 도 길영수씨가 공포기를 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부상 도 길영수씨가 공포기를 독립협회 사들이 반복여 왕니 명일 부터 평량를 쓰고 참녜라 엿다더라
    게재일1898년 11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本人先瑩이在於釜港四街里인護禁養이百...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先瑩이在於釜港四街里인護禁養이百餘年矣러니不意昨年六月分에本邑底居尹乃彦爲名漢이暗生凶慾야稱以渠之山地고締結監理署主事鄭喆泳李圭東야遺賂葉錢三百兩고囚之杖之에期欲抑奪이라가無奈不服야訟案지奪取上京이러니不意今年二月分에 日本人高妻政次郞이該山地에圍揷標木이기問其理由즉彼曰京居金...
    게재일1907년 6월 16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64)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3390 남한 경남 동래일신여학교 2-23 日新제10호 1938―07 139면 김;金 밀양군 밀양읍 내일동 215 부산진7회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동래일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판수;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1578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84면 - 김판수;金 소화13년 3월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병수;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4079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회원씨명부 1942―12―10 8면 황병수;黃 제1회 1912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황병수;黃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5526 남한 전북 전주농업학교 2-42 20周年 紀念寫眞帖 1930―04 1면 황병수;黃 익산군 咸悅面 尙堂里 제1회 1912년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유번수;柳;유정웅;柳定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6146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104면 유번수;柳;유정웅;柳定雄 경기도 용인군 내서면 양지리 본과 제18회 1941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유충렬전, 전우치전, 방한림전

    한국 학술 번역사업 | KIM ALYSSA SOOMI | 한국외국어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5)

  • / [정치·법제]

    의례 때 수석의 자리에서 여러 관원의 명단을 받아 봉위를 거행하는 우두머리. 백관이 졸곡제나 성복, 빈전에 전을 올리는 등의 의례를 행할 때 통례문이 여러 관원을 인도하여 동편 가까이로 반열을 옮기면 관원들은 에게 이름을 내놓고 봉위하기를 끝낸다. 는 여러

  • 정번수포법 / 停布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양역변통을 규정한 제도. 조선시대 군역 보포화 과정은 후기에 들어오면서 양역인구의 면역·투속·가탁이 날로 증가하여 군포의 국고수입이 날로 감축되어가자, 국가에서는 양정의 파악을 철저히 하고 소정의 군액을 강력히 징수하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각종 전염병,

  • 반통 / 泮通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 대사성을 선발하기 위한 후보자 추천 제도. 반은 성균관 옆을 흐르는 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이에 연유하여 성균관을 반궁, 대사성을 반장이라고 칭하였다. 통은 통망, 즉 관직임용의 3배수 후보에 오르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반통은 반장, 즉 대사성

  • 보부상유품 / 褓負商遺品 [사회/촌락]

    한산·서천·임천·정산을 말하며, ‘상무좌사’란 등짐장수[負商]만으로 이루어진 조직을 가리킨다. 유품으로는 좌사조직의 최고 고문격인 영위(領位), 그 다음의 (), 그리고 접장(接長)이라고 하여 실무를 담당하던 장무원(掌務員) 등 각각이 사용하던 인장(印章) 3과

  • 중원하천리유적 / 中原荷川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층 속에 묻혔던 것이다. 규모는 가로가 10.5m, 세로가 8.3m인 방형이고 혈식(穴式)이다. 주거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평저(平底)에 짧게 외반(外反)된 구연부(口緣部)를 갖춘 길쭉한 무문토기 항아리가 6점, 타날문(打捺文)이 있는 원저(圓底)의 와질 항아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