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송” 에 대한 검색결과 1,12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13)

사전(167)

  • 운문사의처진소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자라고 있으며 ()이라고 불려왔다. 그러나 은 원대가 여러 개로 갈라져서 자라지만, 이 나무는 2m 정도 자란 다음 가지가 사방으로 퍼지면서 밑으로 처지기 때문에 처진소나무가 맞다. 수세(樹勢)가 좋고 반원형에 가까운 수형을 이루고 있어 매우 아름답다...
    연계항목운문사의처진소나무(雲門寺의처진소나무)
  • TD_C0_D_0025 지리(기타) 漢陽沙峴, 南京, 關西車輦館 麗王 幷勝覽 D_01_02_18 대동운부군옥 1권 2장 1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2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편지와 함께 보냄. 黃筆十柄 唐毫二枝 南草壹斤 耳, 조윤형(曺允亨), 22-28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직접 만나서 전송함. 英蕩 .已歲改 政有.仰 卽拜台翰, 강시영(姜時永), 26-17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율화소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남도 평성시 율화리에 있는 소나무.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32호. 소나무는 부락의 산기슭에서 자라고 있으며 토양은 화강편마암지대에 생긴 산림밤색 토양이고 기계적 조성은 메흙이며 습기는 메마른 편이다. 이 지...

고서·고문서(833)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02_085_062.jpg 童童一靑蓋, 當路博淸歡。 柯屈驚虯壯, 根穿厚地蟠。 苔紋和葉綠, 月色助陰寒。 故老寧知歲? 流傳自馬韓。 ▶1582년(壬午, 선조 15, 47세) 10월 22일~11월 6일, 거련관. * 資料考: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龙县) 룡수우전국 3 3 , 표제, 돌려보내고싶지않습니다, 발송인얼굴, 수신원...
    대표표제어반송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표 송 남자 경상북도 영주시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태평구(太平区) 민주공사 우의1대 2 2 ...
    대표표제어반송표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된다면 이 남자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교구(郊区) 길림성 길림시 교구 2 2 된다면, 도움, 바라,...
    대표표제어반송된다면 | 성씨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車輦館) 02_085_057.jpg (車輦館) 霜皮鐵幹老, 韻入長風撼遠峯。 影合太陰林月暝, 氣通喬嶽洞雲封。 羣賢撫玩芳蹤杳, 雙鳳徘徊晩色濃。 護惜敢忘嘉樹傳, 只愁雷雨化蒼龍。 車輦館 ▶1582년(壬午, 선조 15,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7)

  • 나옹대사와 (1)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마을에 도착해서 지서에 들렸더니 지서주임이 이 분을 불러왔다. 이야기를 잘 하는 분이라고 소개했다. 인사를 하고 나서 나옹대사 전설부터 물었다. 지서 안에서 의자에 마주 앉아 차분하게 이야기를 했다. 어른들에게 들으니 전설이 그래되었다는 것이다. 끝난 뒤에, 갈천동...
    조사일시1980-06-05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신기1동 | 제보자남 오
  • 나옹대사와 (2)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지서에서나 면사무소에서나 근처의 전설을 가장 잘 아는 분이 가산 1동의 권태방씨라고 해서 찾아뵙기로 했다. 가니 낮잠을 주무시고 있어서, 한참 기다렸다가 만났다. 손자가 나와서 안내를 했다. 손자도 벌써 30대나 되었다. 일어나 앉아서 이야기를 시작하는데, 보니 아...
    조사일시1980-06-05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가산1동 | 제보자권태방
  • 나옹대사와 (3)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설화 19에서 마을 동신 이야기를 하다가, 신기 1동 반송정에서는 나옹이 심었다는 반송을 동신으로 섬긴다는 데 화제가 미쳤다. 반송에 관해서 설화 2에서는 듣지 못하던 말이 나왔다. 권태방씨의 손자는 근래에 군인이 바다에 나갔다가 나옹을 만났다는 이야기를 했는데,...
    조사일시1980-06-05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가산1동 | 제보자권태방
  • 나옹대사와 (4)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어서 나옹의 내력을 물으니, 그 이야기는 쉽게 나왔다. 끝으로 반송이 죽은 것을 아주 애석하게 여겼으며, 동석한 이근호씨와 남학구씨도 같은 말을 했다. *
    조사일시1980-06-07 | 조사장소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오촌1동 | 제보자이중락
  • 정권진 수궁가 공연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목(00:20) 아니리 “아이고 이를 어쩔꺼나~그때여 별주부는~쫓고 곰곰이 생각하니, 호랭이는 산신지영이라,~착힐히 지내보리라 허고~하는디” 중모리(00:50) “가지 꺾어내려 광석암상 살살 쓸고, 추풍 낙엽으로 삼색으로 줏어다가 좌홍우백 갈라 궤고 맑고
    자료구분상세공연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기초학문(1)

  • 인지라디오 네트워크에서 전력과 부파 할당을 위한 휴리스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백천현, 게재일 : 2012
    40560 백천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과학회 2012 인지라디오 네트워크에서 전력과 부파 할당을 위한 휴리스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70)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村井(-) 부산 村井 - 草梁町200 - - 잡화 - 30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村井繁松(-)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잡화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內田(內田旅館) 서울 內田 內田旅館 漢江通 13-330 여숙업 - 여관(旅舘) - 81.45 보험 대리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
    대표표제어內田繁松(內田旅館) | 지역서울 | 품목여숙업 | 영업종목여관(旅舘)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佐藤(田村屋漬物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佐藤(田村屋漬物店) 원산 佐藤 田村屋漬物店 仲町3 - - 식료품잡화상 판매 8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佐藤繁松(田村屋漬物店)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식료품잡화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仁川의 日本人 商業會議所에 대한 調査書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문서 한국근대사자료집성 7 한일경제관계 2 仁川의 日本人 商業會議所에 대한 調査書 件 1902년 9월20일 일본 동경 인천의 일본인 상업...
    대표표제어仁川의 日本人 商業會議所에 대한 調査書 返送 件 | 연월일1902년 9월20일 | 지역동경
  • 셔셔 방 사 김원슌의 집문셔를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셔셔 방 사 김원슌의 집문셔를 길에셔 일엇스니 누구던지 차즈시거든 문밧 고마텽골 가셔 김원슌을 차져 젼시면 공로를 즁히 갑겟다더라
    게재일1898년 9월 2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4)

  • 화성 리 청동기시대 취락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화성 리 청동기시대 취락 l6-0009_#1 유구 리도면5.유구배치도 2013-05-23_0.4291498_리도면5.유구배치도.jpg l6-0009_#2 유구 리삽도1.리유적 나말여초-조선시대 생활유구 배치도
    제목화성 반송리 청동기시대 취락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울산리유적 ll5-0192_#1 유구 도판 3. 유적 전경 2015-03-10_0.2204096_도판 3. 유적 전경.jpg ll5-0192_#2 유구 도판 13. 청동기시대 1호(1-전경, 2-토층)‧2호(3-전경, 4-토층)
    제목울산반송리유적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화성 리 중세유적 : 동탄 택지개발사업구간내 15지점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화성 리 중세유적 : 동탄 택지개발사업구간내 15지점 발굴조사보고서 j3-0167_#1 유구 원색사진1. 리 중세유적(15지점) 발굴조사 전경(①), 근경(②) j3-0167_1_2015-05-15_6319_원색사진1. 리 중세유적(15
    제목화성 반송리 중세유적 : 동탄 택지개발사업구간내 15지점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화성 리 행장골유적 : 동탄 택지개발지구내 20지점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화성 리 행장골유적 : 동탄 택지개발지구내 20지점 발굴조사보고서 j3-0168_#1 유구 원색사진 2. 유적원경(①), 2호 측구부탄요 전경(②) j3-0168_1_2015-05-15_2675_원색사진 2. 유적원경(①), 2호 측구부탄요 전
    제목화성 반송리 행장골유적 : 동탄 택지개발지구내 20지점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31)

  • ll5-0192 유구 2015-02-27_6.040591E-02_울산리유적 표지.JPG 울산리유적 蔚山里遺蹟 2009 울산문화재연구원 102 황창한,박찬문,이미향 박찬문,이미향 울산문화재연구원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울산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울산광역시
  • l6-0009 유구 2013-05-21_0.4683496_한신대학교박물관_화성 리 청동기시대 취락_2007(표지).jpg 화성 리 청동기시대 취락 華城 里 靑銅器時代 聚落 2007 한신대학교박물관 289/82~122, 188~19...
    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한신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경기도
  • (교단문원 수상) 유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단문원 수상) 유감 (교단문원 수상) 유감 교육 문헌 현대 중등교육 교사문화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갑도 | 사료철명교육경남
  • 박세금;朴世襟;번송익세;益世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9449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129면 박세금;朴世襟;번송익세;益世 전북 임실군 任實面 城街里 353 제21회 (5년제, 130명) 19...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화성 리 중세유적 : 동탄 택지개발사업구간내 15지점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j3-0167 유구 j3-0167_1_2015-05-15_3867_華城 里 中世遺跡.JPG 화성 리 중세유적 : 동탄 택지개발사업구간내 15지점 발굴조사보고서 華城 里 中世遺跡 : 東灘 宅地開發事業地區內 15地點 發掘調査報告書 2004 ...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기전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15)

  • / [과학/식물]

    소나무과 소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침엽 교목. 은 소나무의 한 품종으로 나무의 생김새가 쟁반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품종이란 원래의 종(種)과 비슷하지만 모양이 조금 다른 것을 말한다. 소나무는 외줄기가 올라와 자라는 것에 비하여 은 밑에서부터 줄기가 여러

  • 본궁 / 本宮 [과학/식물]

    함경남도 함흥시 사포구역 소나무동에 있는 소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252호. 수령 450년 된 변형된 소나무로, 높이 4.16m, 밑동둘레 2.18m, 가슴높이둘레 1.9m이다. 나무의 형태는 높이 2.35m에서 1차 가지가 생겨 땅으로 구부러져 남서쪽으로 8m 정도

  • 경성정임수 / 京城亭林藪 [경제·산업/산업]

    서울의 서대문 밖 의주가로의 서쪽에 해당하는 천연동 연지(蓮池) 부근의 평탄지에 발달하여 있었던 숲. 조선 초까지만 하더라도 울창한 소나무숲이었다고 전한다. 고려 말의 강회백(姜淮伯)의 시에 의하면 “여왕(麗王)이 경성에 행차할 때 비가 내려 이곳 정 숲에서 비를

  • 구미 독동리 / 龜尾 禿洞里 [과학/식물]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독동리에 있는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357호. 농로가에서 홀로 자라고 있는 고립목(孤立木)으로 지상 40㎝ 높이에서 줄기가 남북 2개로 갈라져 있다. 남쪽줄기는 80㎝ 높이에서 다시 3개로 갈라졌는데 가지의 밑둘레가 각기 1.7m·1.6m·1.2

  • 무주 삼공리 / 茂朱 三公里 [과학/식물]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에 있는 . 천연기념물 제291호. 높이 17m, 가슴높이의 줄기둘레 5.3m이며, 가지의 길이는 15.3m이다. 나무의 나이는 350년 정도로 추정된다. 전하는 말로는 150년 전에 이곳 주민 이주식(李周植)이 현재의 위치에 옮겨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