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비” 에 대한 검색결과 1,0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02)

사전(89)

  • TD_N1_I_0005 옷 戰服, 內官, 半除, 士子, 常服, 眞骨, 品官, 婦女, 表衣 興德王 九年 新羅 隋 煬帝, 唐 高祖 I_01_18_07 만국사물기원역사 1권 18장 7절
    출전만국사물기원역사 | 수록위치1권 18장 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상의의 맨 위에 입는 소매가 없거나 아주 짧은 겉옷. [내용] 란 소매가 짧은 데서 나온 이름이다. 는 신라 제42대 흥덕왕(興德王) 복식금제 속에 나오는데 남녀가 다같이 입으며 표의와 같은 고급직물로 지어 입고 있다.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여비(旅費). .卽向北 而亦爲區劃以置, 정헌시(鄭憲時), 35-125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TD_N1_D_0056 袴 옷 新羅制, 眞骨, 表衣 史註 D_14_01_98 대동운부군옥 14권 1장 9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1장 9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3_D_0165 題詩 시 天壽院, 梁州 李仁老, 咸淳, 趙通, 仁老, 獨谷, 騎牛子, 謫仙 破閑, 叢話 D_02_02_18 대동운부군옥 2권 2장 1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2장 1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840)

  • 유엔側(측),共産側(공산측)의 休戰協定違難(휴정협정위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유엔側(측),共産側(공산측)의 休戰協定違難(휴정협정위난)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대표표제어유엔側(측),共産側(공산측)의 休戰協定違反非難(휴정협정위반비난)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판문점, 군사정전위원회, 공산측, 휴전협정위반, 비무장지대
  • 물품 대금(代金) 및 운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3313 물품 및 물품가 판결원본 강화구재판소(江華區裁判所) 물품 대금(代金) 및 운 청구에 관한 건 명치(明治) 42년 민제3호 1909년 11월 26일 염야량청(鹽野良晴) 서기 김종협(金鍾協) 전영기(田永基) 경기도 강화...
    재판기관강화구재판소(江華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11월 26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목재(材木) 대금(代金) 및 운 청구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
    2_1445 물품 및 물품가 판결원본 경성구재판소(京城區裁判所) 목재(材木) 대금(代金) 및 운 청구에 관한 건 융희(隆熙) 3년 보제91호, 광무(光武) 11년 한민제429호 1909년 02월 20일 화전은태랑(花田銀太郞) 서기 호복...
    재판기관경성구재판소(京城區裁判所) | 판결일자1909년 02월 20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共產側(공산측)의協定違難(협정위난) 停戰委秘書長會議(정전위비서장회의)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
    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共產側(공산측)의協定違難(협정위난) 停戰委秘書長會議(정전위비서장회의)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
    대표표제어共產側(공산측)의協定違反非難(협정위반비난) 停戰委秘書長會議(정전위비서장회의)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공산, 휴전협정위반, 군사정전위원회,
  • 조선시대 역학서:1721_오륜전비언해(5)_를 리오 鈔七百貫 文을 리로다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
    오륜전비언해 456 1721_오륜전비언해(5) 를 리오 鈔七百貫 文을 리로다 를 리오 鈔七百貫 文을 리로다 永安아 네 혜라 몸에 조츤 거시 언머 盤纏이 잇뇨 前日에 을 아 鈔三百貫을 어덧더니 沿途에 一百五十貫 文을 고 오히려 一半이 남엇이다
    편명1721_오륜전비언해(5)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기초학문(11)

  • 미학의 관점에서 본 헤겔 철학의 비판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훈, 게재일 : 2004
    37441 이지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헤겔학회 2004 미학의 관점에서 본 헤겔 철학의 비판과 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정치철학 비판에 대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원준호, 게재일 : 2004
    37442 원준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헤겔학회 2004 포스트구조주의의 헤겔 정치철학 비판에 대한 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기본소득은 착취인가 정의인가? :판 돈젤라의 기본소득반대론에 대한 판과 마르크스주의 기본소득론의 재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곽노완, 게재일 : 2011
    49461 곽노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원 2011 기본소득은 착취인가 정의인가? :판 돈젤라의 기본소득반대론에 대한 판과 마르크스주의 기본소득론의 재구성 https://www.krm.or.kr/krmt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기본소득은 착취인가 정의인가? :판 돈젤라의 기본소득반대론에 대한 판과 마르크스주의 기본소득론의 재구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1180 한국연구재단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 2011 기본소득은 착취인가 정의인가? :판 돈젤라의 기본소득반대론에 대한 판과 마르크스주의 기본소득론의 재구성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헤겔 철학에서의 욕망과 이성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원준호, 게재일 : 2006
    4769b86160048 포스트구조주의 철학의 헤겔 비판과 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m201_id=10004502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54)

  • 인명론량론(因明論判比量論)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인명론량론(因明論判比量論) 因明論判比量論 인명론량론 유통서지 因明論判比量論 1 元曉述 新編諸宗教藏總錄卷第三 T55,
    대표표제어인명론반비량론(因明論判比量論) | 대표서명因明論判比量論 | 한글서명인명론반비량론 | 서지형태유통서지
  • 일본 황뎐하의 혼인이 갓가온고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 황뎐하의 혼인이 갓가온고로 졍부에셔 대을 보여 하례기 위야 찬졍 리하영씨로 특파대를삼아 일젼에 회국 엿던 쥬일공관 참셔관 박용화 리원영 량씨와 함긔 금월로 일본으로 향터인대 왕 이쳔 원을 탁지부로 지츌 다더라
    게재일1900년 4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瑞山德興學校校長朴東鎭氏의熱心으로創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瑞山德興學校校長朴東鎭氏의熱心으로創設이온바學校에諸品費와每朔用下諸般經費自當고學員의食費지擔給고靑年을指導興起야學業에成就케시기로不勝感謝와玆에廣佈홈 德興學校 學徒 父兄等 告白
    게재일1906년 12월 10일 | 기사분류광고
  • 甘心捐助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강셔군슈 리우영씨 명업에 열심야 학교를셜시다 군회를조직다 졔용은 과다고 월급은 약소으로 가하가 만여랑이더니군인민들이군슈의 졍치에 열복야 가인부갓치넉이다가 가하진거슬보고 만여량을츌렴야 그가하를 갑 리군슈 긔어히 말나되 인민들이 듯지안...
    게재일1906년 1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贊校可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봉상시동 그젼슈사에 셜립 찬문학교 집이거의 문어져 거졉키 어럽더니 학원에 김문식 김영신씨가 슈리비를 당야 일신슈리고 여러학원이 슈렴야 졔용을 쓴다니 그학원졔씨의계 야 단치하며 교장 김즁환씨와 명예교사 윤셰용 윤시용씨의 열심을 감복다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8)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고 물건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의(表衣)·내의(內衣)·()·고(袴)·대(帶)·버선 등의 재료로 이용되었다.·조하주(朝霞紬) 조하주 : 주는 중국문헌인 『설문 說文』·『석증 釋繒』 등의 굵은 실로 짠 두꺼운 직물이라는 해석과는 달리 섬세한 실로 제직된 섬세하고 단아한 멋의 직물이었다. ·우황(...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고 물건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48년(戊子/신라 경덕왕 7/발해 문왕 12 大興 12/唐 天寶 7/日本 天平 20)
  • 신라가 당에 하정사를 보내고 방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도 하기 때문이다. 어아주·어아금은 당나라의 태사(太糸)·후직(厚織)의 주와는 비교가 안 되는 고급 주였기 때문에 당나라 사람에게 선호되어 오랫동안 교역품이 되었다고 본다. 우리나라는 주를 선호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주가 표의(表衣)·내의(內衣)·...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하정사를 보내고 방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3년(癸丑/신라 혜공왕 9/발해 문왕 37 大興 37/唐 大曆 8/日本 寶龜 4)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물건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사람에게 선호되어 오랫동안 교역품이 되었다고 본다. 우리나라는 주를 선호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주가 표의(表衣)·내의(內衣)·()·고(袴)·대(帶)·버선 등의 재료로 이용되었다. 누응령(매 무늬를 넣은 방울), 해표(바다표범) 가죽, 금, 은...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물건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23년(癸亥/신라 성덕왕 22/발해 무왕 仁安 5/唐 開元 11/일본養老 7)
  • Report No. 14 (covering the period 1 May - 31 May 1952)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종자는 한국농업산림부 통해 각급단위 테스트 및 최종사용자에게 전달 / 종자 수입 후 본 사업과 관련된 제용은 한국정부 부담 / UNCACK-UNKRA 한국위원회, UNC-UNKRA 동경위원회 승인 사업 Report, UNKRA, project, Imp...
    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발신자Acting Chief, UNKRA New York HQ | 수신자All UNKRA Offices
  • Report No. 14 (covering the period 1 May - 31 May 1952)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종자는 한국농업산림부 통해 각급단위 테스트 및 최종사용자에게 전달 / 종자 수입 후 본 사업과 관련된 제용은 한국정부 부담 / UNCACK-UNKRA 한국위원회, UNC-UNKRA 동경위원회 승인 사업 Report, UNKRA, project, Imp...
    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발신자Acting Chief, UNKRA New York HQ | 수신자All UNKRA Offices

주제어사전(5)

  • / [생활/의생활]

    상의의 맨 위에 입는 소매가 없거나 아주 짧은 겉옷. 란 소매가 짧은 데서 나온 이름이다. 는 신라 제42대 흥덕왕(興德王) 복식금제 속에 나오는데 남녀가 다같이 입으며 표의와 같은 고급직물로 지어 입고 있다. 그런데 조선 전기에 있었던 이 몽두의는 자취를 감

  • 당의 / 唐衣 [생활]

    을 준 ()·배자 등은 당나라의 유속으로 명나라를 거쳐 전래되었으므로, 이 옷의 명칭에도 ‘당’자를 붙여 당의라 부르게 된 것이라 본다.

  • 왕비복 / 王妃服 [생활/의생활]

    羅) 등을 사용해서 화려한 표의를 입었다. 바지[袴]·내의·()는 계·수·나로, 표(裱)는 계·수·금은사·공작꼬리·비취털 등으로 만들었으며, 버선[襪]도 계·수·나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직물로 만든 삼국시대의 왕비복은 직령(直領 : 직선의 여밈깃)에 요대(腰帶

  • 나장복 / 羅將服 [생활/의생활]

    조선시대 하부군졸인 나장의 복식. ≪경국대전≫에 나장은 검은 두건인 조건(皁巾) 쓰고 청색의 소매없이 만든 쾌자와 같은 옷인 청의(靑衣)를 입으며, 납작하게 만든 끈으로 된 띠인 조아(條兒)를 맨다고 하였다. 그리고 형조·사헌부·전옥서의 나장은 검고 둥근 깃의

  • 몽두리 / 蒙頭里 [생활/의생활]

    …”고 하였다. 또한, 1446년(세종 28) 3월에 제정한 여자 상복(喪服) 중 배자(背子)가 있는데, 그 주(註)에 “곧 우리 나라의 몽두의다.”라 하였다. 몽두리는 배자··답호(褡護)·전복 등과 동일 계통의 옷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