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반부” 에 대한 검색결과 12,3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206)

사전(1,26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230(고종 17)∼?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거제(巨濟) 반씨(潘氏)의 시조. 자는 군수(君秀), 호는 해려재(海旅齋). [생애와 활동사항] 1267년(원종 8)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이장용(李藏用)이 ...
    이칭별칭 군수(君秀)| 해려재(海旅齋)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제사를 받들 자식이 없는 사람의 신주를 할아버지 항열의 다른 신주에 붙여서 종위(從位)로서 합사(合祀)하는 제례. [내용] 방친(旁親)의 예(禮)라고도 하는데, 이때 된 사람은 부제인(祔祭人) 또는 부향자(祔享者)로 불린다. ...
  • 동관편구(銅盥片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2601 물품도구 동관편구(銅盥片口) 동관편구 銅盥片口 입구 언저리 한쪽에 주구(注口)가 붙어 있는 구리로 만든 관반(盥盤). 관반은 손 씻는 물을 담는 그릇으로, 일종의 대야이다. 구리는 붉은색의 광택이 나는 금속으...
    유형분류물품도구
  • 근대신어 : 전(前)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8540 전 자항 前 船體의 前는 선체의 전는 청춘 10 1917 9 28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4, 94면 시간공간
    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시간공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후(後)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67820 후 하항 後로 옮앗나이다 후로 옮았나이다 청춘 10 1917 9 28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4, 110면 시간
    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시간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논문(2)

  • 韩国政府倡廉策略及其对我国的启示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许吉(延邊大學)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 45권 4호, 게재일 : 2012.8
    한국정부의 반부패청렴책략이 우리나라에 대한 계시 (허길) 본 논문은 한국의 반부패문제전략에 대해 철저한 분석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한국이 부패를 다스리기 위하여 수년 동안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과정과 부패를 예방하는 일련의 제도수립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이러...
    유형논문
  • 한국정부의 패청렴책략이 우리나라에 대한 계시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허길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 
    유형논문

고서·고문서(6,311)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남에 김 남자 길림성(吉林省) 돈화시(敦化市) 관지진 류목촌 3 3 남에, 둘째큰아버지, 계시고, 있따는, 소식,...
    대표표제어남반부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남 리 남자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清县) 대흥구진 2 1 남, 서울, 사회교육방송국, 북가녿, 동포, 담당자,...
    대표표제어남반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남에 강 여자 길림성(吉林省) 왕청현(汪淸县) 왕청진(汪清镇) 하북2대 1 1 남에, 계시는, 저의, 외사촌형...
    대표표제어남반부에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남 송 남자 대전광역시 유성구 길림성(吉林省) 쌍양현(双阳县) 쌍양하공사 상가 11대 3 3 남, 이모...
    대표표제어남반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남 남 여자 충청북도 영동군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왕청현(汪清县) 림주건창 4 1...
    대표표제어남반부 | 성씨

구술자료(67)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개관-제청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기준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대문이 중심이 되어, 대문 안의 공간은 가옥내부이며, 대문 밖의 공간은 가옥외부가 된다. 가옥내부에서는 초중 의례와 종 의례 일부가 진행되었으며, 가옥외부에서는 종의 마지막 의례가 진행되었다. 가옥내부는 또 다시 실내室內와
    분야제청 | 지역전라도
  • 친다. "어 ㅡ 이" 라고 대답한다. "소리답게 ㅡ" 라고 외친다. "어 ㅡ 이" 라고 대답한 다음, [산청 1]처럼 한번은 상사디여의 전를, 다음엔 후를 받기를 계속해 나간다. * 경남의 개성적인 논매기소리는 앞에 군말이 안 붙은 “상사디여”이다.
    녹음지역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 녹음날짜1987.3.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사자풀이-무가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사자풀이 거리는 2분이라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졌기에 무가도 그만큼 짧게 구송되었다. 무가의 내용도 여러 잡귀혼신들에게 맛있게 먹고 놀다가라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어, 사자풀이가 곧 굿의 후임을 알려주고 있다. 사자풀이는 엇모리 장단으로
    분야무가 | 지역전라도
  • 6]은 받음구를 어디까지로 볼지 불분명하다. 가창한 전체를 받음구로 본다면, 일반 소호니 곡에 비해 받음구의 전가 달라 변격이다.
    녹음지역충청북도 보은군 탄부면 구암리 | 녹음날짜1987.5.6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전라도 영암 삼우씻김굿_사자풀이-무의 [종합적 조사연구를 통한 <한국무속총서> 편찬 및 DB 제작 | 전남대학교]
    사자풀이는 저승사자를 위한 거리로, 굿을 연행한 이장단 무녀의 말에 의하면, ‘진굿’이 아닌 씻김굿에서는 굿의 후에 ‘오방돌기’와 ‘중천’을 하지만, 이날 굿은 ‘진굿’이므로 저승사자를 위한 사자풀이를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사자를 잘 먹여서 망자를 좋은 곳으로
    분야무의 | 지역전라도

기초학문(25)

  • 패 설문조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택
    13317 김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패 설문조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6088d0112467a11ea7885
    유형논문
  • 국제적 패동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택, 게재일 : 2005
    37144 김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부패학회 2005 국제적 패동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NGO의 패활동과 성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남궁근, 게재일 : 2001
    08636 남궁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부패학회 2001 NGO의 패활동과 성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4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독일의 부패와 패제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택, 게재일 : 2004
    37145 김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부패학회 2004 독일의 부패와 패제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패문화 정립을 위한 사회윤리 방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택
    12807 김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락 패문화 정립을 위한 사회윤리 방안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6088d01
    유형논문

신문·잡지(4,308)

  • 監督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학부에셔 일본류학 감독 한치유씨의게 훈령기 귀보고서를인야 퇴학 최린등십인의 학교복속여달나 쳥원은알앗거니와 류학으로론면 직이감독의거야 아모죠록 안졉게방략을도모것이 소장직분이어날 엇더케단속야분라되디경에일으게 엿스며 젼후보고의가 반복무상야...
    게재일1906년 4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坂本(サカモト藥局)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사건 근대 坂本(サカモト藥局) 서울 坂本 サカモト藥局 太平通 2-55 약품_의료기 - 매약(賣藥) 소매 6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
    대표표제어坂本繁夫(サカモト藥局) | 지역서울 | 품목약품_의료기 | 영업종목매약(賣藥)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スケッチ(大同江碧樓) (스케치(대동강 부벽루))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작품명_원문スケッチ(大同江畔浮碧樓) | 게재일19230605 | 게재판 | 게재면01 | 게재단2-3
  • 新建洋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농상공부안에 광산무국과 농림학교 확장로  훼쳘고 이층양옥으로 건츅다더라
    게재일1906년 9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서울시 해방일보사 평양 조선중앙통신, 직총, 북조선직업동맹 【평양 21일발 조선중앙통신】 북 로동자들은 미 제국주의자들과 리승만 매국 역도들의 야만적 통치로부터 해방된 남 로동자들에게 해방 후 5년간 북의 찬란한 민주건설과 민족문화...
    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0_0824_02

멀티미디어(103)

  • 개태사 삼존석불전 창건기단 조사 보고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개태사 삼존석불전 창건기단 조사 보고 c4-0020_#1 유구 도판3.삼존석불과 창건기단 a.서 남면에서 2013-04-16_0.7384912_도판3.삼존석불과 창건기단 a.서 남면에서.jpg c4-0020_#2 유구 도면3
    제목개태사 삼존석불전 창건기단 조사 보고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 팔도강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1967년 국립영화제작소에서 기획, 제작하여 연방영화사를 통해 배급한 배석인 감독의 <팔도강산> 중 후 일부를 편집한 영상. 휴전선과 춘천 수력발전소를 구경하고 막내 사위가 될 청년의 사이클 경기를 서울운동장에서 구경한다. 그리고 다섯 쌍의 딸과 사위, 아들이 마
    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67년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Nationalist & Communist Demonstrators Clash 47.4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주도로 3.1절 기념행사가 벌어지는데 기념식에 참가한 시민들 중에는 여성들이 많았다. 영상 중부터는 경찰에 연행된 시위 참가자들을 주로 보여주고 있다.
    자료구분NARA수집영상 | 제작년도1947년 3월
  • 남북연석회의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이 영상은 1948년 4월 북한 평양의 모란봉극장에서 남북한 제 정당 사회단체 대표들의 참석 하에 개최된 남북연석회의를 소개하고 있다. 영상 초에는 민족의 자주독립과 통일에 있어 남북연석회의의 의의가 안내되고 있으며 이어 김월송의 개회로 주석단을 선출한 후 본격적
    자료구분NARA수집영상 | 제작년도1948년 5월 | 제작북조선 국립영화촬영소
  • 창덕궁 금천교 발굴조사보고서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0026_#2 유구 Y5-0026 창덕궁 금천교 [원색사진 6] 남북방향 석열유구(금천교 서) 2013-12-05_0.6521723_Y5-0026 창덕궁 금천교 [원색사진 6] 남북방향 석열유구(금천교 서).jpg Y5-0026_#3 유구
    제목창덕궁 금천교 발굴조사보고서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27)

  • 임번부;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3629 일본 東京 東京工業大學 東京工業大學一覽 1940년~1941년 1941―03―31 102면 임번부;林 조선 1940년 3월
    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東京工業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신본번부;新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702 남한 전북 전주사범학교 2-43 제2회 졸업기념 n.r. 1면 신본번부;新本 제2회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춘목번부;春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76781 남한 전북 전주사범학교 2-43 제2회 졸업기념 n.r. 8면 춘목번부;春木 제2회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임금진;林金鎭;림번부;林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4048 남한 경성 욱의학전문학교 동창회명부(1943년 4월 현재) 1943 44면 임금진;林金鎭;림번부;林 평북 제16회 193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욱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정성용;鄭聖容;서천번부;西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3517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43면 정성용;鄭聖容;서천번부;西川 충남 천안군 성환면 매주리 제3회 194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0)

주제어사전(145)

  • / [사회/가족]

    않았을 경우 그 제사는 부득이 의 형태로서 치를 수밖에 없었다.

  • 반복법 /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강조법의 하나. 같거나 비슷한 단어, 구, 절, 문장 등을 되풀이하는 표현법이다. 이에는 똑같은 말을 반복하여 쓰는 동어(同語) 반복, 뜻이 비슷한 말을 반복하여 쓰는 유어(類語) 반복 등이 있다. 반복법은 의미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훙취 혹은 리듬을 두드러

  • 정진사전 / 鄭進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활자본.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하여 전에서는 남녀주인공의 결연을, 후에서는 처첩간의 갈등을 다룬 작품이다. 12회의 장회체로 된 작품이며 전와 후가 성격을 매우 달리하고 있다. 작품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 북인보 / 北人譜 [언론·출판]

    저자 김복휴(1724-1790). 필사본. 1책. 책의 구성은 1책 102장이다. <북인보>의 내용은 전에는 북인(소북) 주요 가문의 가계가 필사되어 있고, 후에는 이 책의 편찬, 필사자인 김복휴 자신의 가문인 청풍김씨 가계가 필사되어 있다.

  • 발병부 / 發兵符 [정치·법제/국방]

    잘라 우를 관찰사·절도사·제진에 주어 보관하게 하고 좌는 궁중에 보관하였다가 발병을 지령할 때에 임금의 교서와 함께 좌를 내려주면 그것을 우와 맞추어 부합한 뒤라야 징병에 응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