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공포로석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5)
- 반공포로석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휴전협정의 조인 자체를 끝내 거부하지는 못하였다. 板門店의 祕史(鄭成觀, 平文社, 1953) 新生의 날‧反共捕虜釋放記錄‧(黃才俊, 公友社, 1954) 解放22年史(文學社, 1967) Korea:The Limited...
- 포로교환협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53년 6월 8일 유엔군 측 수석대표 해리슨 2세(William K. Harrison, Jr.)와 공산군 측 대표로 북한군 대장 남일(南日)이 6‧25전쟁 중 본국으로 송환을 거부하는 포로의 처리를 위한 중립국송환위원회의 임무와 운용에 관해 합의한 ...
- 원용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며, 그해 6월 반공포로석방을 비밀리에 추진, 성공시켰다. 그러나 이를 두고 부당한 처사라고 담화를 발표한 조병옥(趙炳玉)을 국가변란죄로 체포하게 하였으며, 반공투쟁의 선봉에서 활약하였던 김성주(金聖柱)를 대통령암살음모 및 국가변란죄로 체포, 군법회의에 회부하였다. ...
- 김광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야기이며, 후자는 반공포로석방으로 자유를 찾은 주인공의 파란만장한 자취를 그린 작품이다. 이처럼 그의 작품세계는 6‧25남침 뒤의 세태를 나름의 현실감각으로 작품화한 하나의 계열과, 오랜 기간에 걸친 중국생활 및 그 자신의 대륙적 기질이 반영된 폭넓고 선이 굵...
- 조병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으나, 이듬해 5월 독재화되어가는 이승만(李承晩)정권에 실망하고 대통령 이승만에게 “대한민국은 민주국가로 탄생하였으므로 반드시 민주국가로 발전, 성장해야 한다.”는 건의서를 낸 뒤 물러났다. 1953년에는 반공포로석방에 반대하는 견해를 취하...이칭별칭 유석(維石)
고서·고문서(1)
- 나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 한국, 반송, 신문보도, 보앗다하니, 반공포로석방, 얻어케되였는지, 지금, 한국, 어느곳, 살고잇는지, 86세, 고령, 모친, 게시는데, 소원, 풀어드리고저, 해외, 잇는, 2세, 3세, 동포, 민족정신, 북도들, 상식교재, 민족사, 애국가, 태극기, 무궁화, 유래...대표표제어나 | 성씨한
구술자료(1)
- 전경서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중공군, 인도군, 빨갱이, 반공포로, 이승만, 반공포로석방, 통일안보, 5도도민회 한글 연세대학교 이북 5도민회 AKS_2015_KFR_1230004_055구술자전경서 | 직업이북 5도민회 | 지역평안도
신문·잡지(3)
- 이승만의 유엔군철군 반대성명과 반공포로석방 이후 한미방위조약체결과정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28) 한미상호방위조약, 통일, 군대 주둔, 안보 관련 이승만의 유엔군철군 반대성명과 반공포로석방 이후 한미방위조약체결과정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53년 6월 6일 이승만 외 이승만연구원, 자료대한민국사 외 기사/사설 21 이대표표제어이승만의 유엔군철군 반대성명과 반공포로석방 이후 한미방위조약체결과정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이승만 외 | 출처이승만연구원, 자료대한민국사 외 | 키워드반공포로, 한미상호방위조약, 반공포로 석방, 이승만, 아이젠하워, 휴전회담, 로버트슨
- 법학연구_1954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반공포로석방에 관한 국제법적고찰 이건호 51 UN법의 진화와 UN의 장래 이한기 70 고대관명 가 고 전봉덕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4
- 46. 반공포로 관련 클라크 장군의 발표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있는 수단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당연히 알고 있었습니다. 미국은 상비(常備)계획(Everready plan)을 구상하고 있다. 상비계획은 이승만정권을 무너뜨리고 유엔군사령부가 군정을 실시하는 계획이었다. 이 계획은 구상에 그쳤으나 부산정치파동과 반공포로석방 때 검토되었...대표표제어46. 반공포로 관련 클라크 장군의 발표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3년 6월 | 작성일22일
주제어사전(1)
-
반공포로석방 / 反共捕虜釋放 [역사/현대사]
1953년 6월 18일 남한 각지에 수용되어 있던 북한출신의 반공포로를 석방한 사건. 1953년 6월 8일 판문점 휴전회담에서 유엔군과 공산군은 포로송환협정을 체결, 귀국을 원하는 포로는 휴전 후 60일 내에 송환하기로 했다. 18일 0시를 기해 영천, 대구, 논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