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박희도” 에 대한 검색결과 7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5)

사전(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永獻, 컨콜디아사, 1978) 한국기독교청년회운동사(전택부, 정음사, 1978) (1889-1951) 1889(고종 26)∼1951.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 김칠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도잡가「배뱅이굿」을 잘하였고, 특히 서도입창(西道立唱)이 장기였다. 명고수 ()와 어울려 선소리를 부르면 가장 잘 어울렸다고 한다. 허득선으로부터「기밀경」을 배워 뛰어나게 잘했는데 제자 김옥선(金玉仙)에게 전하였다. 또「별조공명가(別調孔明歌)」를 지...
  • 신생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2년에 창간되었던 사회주의 순간(旬刊) 잡지. [내용] 6호부터는 월간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순간으로 간행하였다. 3‧1운동 때 민족대표의 한 사람이었던 ()가 미국인 선교사 베커(Beker, 白熙德)를 편집인 겸 발행인으...
  • 최성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있던 ()로부터 독립운동에 관한 계획을 전하여 듣고 서울에서 이필주(李弼柱)의 안내로 이승훈(李昇薰)‧오화영(吳華英)‧이갑성(李甲成) 등을 만나 기독교 측 대표로 독립선언서에 서명 날인하고, 3월 1일 태화관(泰華館)의 독립선언식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었다...
  • 노동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7년에 창간되었던 사회주의계 잡지. [내용] 편집 겸 발행인 강우(姜禹)를 중심으로 ‧이항발‧이순탁‧박원희‧김진희‧이만규‧이정석 등이 창간하였다. 이 잡지는 몇 차례 압수를 당하기도 하면서 10여호를 발행한 후 휴간했다...

신문·잡지(46)

기타자료(1)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5615 남한 경성 감리교협성신학교 1-01 협성신학록 1922 0 Undergraduates(재학생);3년급 ; (현주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협성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교육]

    1889년(고종 26)∼1951년.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해주 의창학교 보통과와 고등과 졸업, 1904년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한 뒤 협성신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중퇴하고 중앙유치원과 영신학교를 설립하여 교감이 되었다. 1916년 6월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지금의

  • 김세환 / 金世煥 [역사/근대사]

    하였다. ()로부터 독립만세운동에 관한 계획을 듣고 2월 21일 이갑성(李甲成)의 집에서 독립선언의 방법으로 천도교측과 연합하는 문제를 토의하기 위한 기독교측 대표들의 철야회합에 참가하였다. 이때 이 문제를 이인환(李寅煥)과 함태영(咸台永)에게 일임하고 지방

  • 최명현 / 崔明鉉 [역사/근대사]

    1892-1944. 독립운동가. 황해도 해주 출신. 1919년 2월 해주군 해주읍 남본정(南本町) 예배당 목사 오현경(吳玄卿)이, 민족대표 33인 중 1인인 ()가 김명신(金明信)을 통하여 보낸 독립선언문 300매를 인수하고, 만세시위를 준비할 때 참여하였

  • 고수선 / 高守善 [역사/근대사]

    해 고종 황제가 승하하자 광장에 나아가 군중들과 함께 곡(哭)하였으며, 평소에도 항일 성향이 강했던 그는 이 일로 인하여 불온한 학생으로 학교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 시기 그는 (: 1889∼1951)의 지도 아래 학교 내에서 은밀하게 3·1 독립 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