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흥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9)
- 박흥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74(공민왕 23)∼1446(세종 28).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 [내용] 본관은?밀양(密陽). 자는 경부(敬夫), 호는 국당(菊堂)‧국은(鞠隱)‧춘곡(春谷). 할아버지는 성균관직강(成均館直講) 시용(時庸)이고, 아버지는 한성부윤 ...이칭별칭 경부(敬夫)| 국당(菊塘)|국은(鞠隱)|춘곡(春谷)
- 박흥생(朴興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박흥생 박흥생 朴興生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고려~조선 우왕~세종 박은화 이범직 2010 경부(敬夫) 국당(菊塘) 양반 남자 ...
- 서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이천(利川). 자는 광부(廣夫), 호는 거정(居正). 일찍이 박연(朴堧)ㆍ박흥생(朴興生) 등과 교유하여 학문을 닦았고, 고려 말에 신진사대부로 활약하다가 왕조교체로 인하여 안동에 은거한이칭별칭 광부(廣夫)| 거정(居正)
- 국당박흥생선생묘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 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박흥생의 묘비. [내용] 충청북도 기념물 제88호. 묘비는 1683년(숙종 9)에 세웠는데, 비문은 송시열(宋時烈)이 짓고 남구만(南九萬)이...
- 촬요신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박흥생(朴興生)이 찬술한 가정지침서. [개설] 2권 2책. 목활자본. 태산(胎産)ㆍ관혼ㆍ상관(上官)ㆍ흥조(興造)ㆍ출입ㆍ경상(耕桑)ㆍ제병(祭病)ㆍ상장(喪葬)ㆍ양점(禳占 : 점으로 액운을 물리침) 등의 방위(方位)ㆍ일시ㆍ의...
고서·고문서(1)
- 강재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世八孝로 불린다고 한다. 農學堂記 (11) 宋榮載가 華山의 芝谷에 세워놓고 밭갈고 글을 읽었다는 農學堂에 붙인 기문이다. 宋煥箕(1728∼1807)가 편액의 ‘農學’이라는 두 글자를 써주었다고 한다. 菊堂遺稿跋 (12) 朴興生(1374∼1446)의 『菊堂遺稿...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박흥생 / 朴興生 [종교·철학/유학]
1374(공민왕 23)∼1446(세종 28).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 할아버지는 시용, 아버지는 천귀, 어머니는 목신우의 딸이다. 1390년 생원시에 합격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문과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리하여 김훈·서호, 사촌동생 연 등과 김자수의 문하에서
-
국당유고 / 菊堂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전기의 학자 박흥생의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828년(순조 28)에 간행하였다. 그로부터 60년 뒤인 1888(고종 25)∼1894년에 걸쳐 14대손 중호 등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서거정·기정진의 서문, 권말에 손상호·손정흠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