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팽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3)
사전(235)
- 박팽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大逆不道 : 도에 어긋나는 큰 역적)의 가족이라 해 공신들의 노비로 끌려갔다.단종 복위 운동이 있을 당시 나이가 어렸던 남효온(南孝溫)은 성장한 뒤에 이 사건의 많은 피화자 중 충절과 인품이 뛰어난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 등 여섯 사람을 골라 행적을...이칭별칭 인수(仁?)| 취금헌(醉琴軒)| 충정(忠正)
- 박팽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죽음을 당한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이다. 단종을 모시고 관풍루에 이르고, 건문황제를 알현한다. 하위지의 뒤를 이어 단가(短歌)를 부른다. 유경의 뒤를 이어 자신은 수양대군의 회유를 거부하고 충절을 지킨이야기를 한다. 김종서가 영의정이 된 수...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박팽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계유정난 직후 단종의 충신이던 하위지 등과 터져 나오는 분노를 애써 누르며 때를 기다린다. 성삼문ㆍ하위지ㆍ이개ㆍ유성원ㆍ유응부ㆍ김질등과 함께 단종의 복위를 도모하다가 김질의 밀고로 탄로돼 체포된다. 그의 재능을 아끼는세조의 회유도 끝내 거절하고 심한 고문으로 옥중에서 죽...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박팽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집현전 학사로, 사육신의 일인이다. 세종 갑인에 문과 장원을 하고 이듬해에 집현전 학사로 뽑혀 들어간다. 문종이 왕 위에 오른 뒤 집현전 학사들과 교분이 깊었는데 그 중 가장 큰 신임을 받는다. 문종이 병에 걸린 뒤 어린 왕자[단종]를 잘 부탁한다는 유언을 받는다. 그...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박팽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처형당한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45)
- 육선생유고(六先生遺稿)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東國正韻序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東國正韻 東國正韻 卷一 東國正韻序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7 天地絪縕大化流行而人生焉陰 陽相軋氣機交激而聲生焉聲旣 生而七音自具七音具而四聲亦 備七音四聲經緯相交而淸濁輕 重深淺疾徐生於自然矣是故包 犧畵卦蒼頡制字亦皆因其自然 之理以通萬物之情及至沈陸諸 子彙分類...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東國正韻目錄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東國正韻 東國正韻 卷一 東國正韻目錄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7 一搄【平】:肯【上】‧亘【去】 ‧극亟【入】 二觥【平】:礦【上】‧橫【去】 괵虢入 三肱【平】‧귁國【入】 四公【平】:공拱【上】‧공貢【去】 ‧곡穀【入】 ...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一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東國正韻 東國正韻 卷一 一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7 搄 【平】 肯 【上】 亘 去 亟 【入】 (君) 【平】 搄 【上同】 緪絚 【上同 又亘干韻】 兢 【又本韻】 矜【又干韻】 ‧ 【去】 亘恆 【又搄韻】 絚 【又搄干韻】 䱴 䱎 【上同】 堩‧극...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二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東國正韻 東國正韻 卷一 二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7 觥 【平】 礦 【上】 橫 【去】 虢 【入】 (君) 【平】 觥 : 【上】 礦鑛 【上同】□ 【上同】 □【上同】 卝 【上同 又本韻旰韻】 獷懭□䵃 【上同】 ‧괵 【入】 虢馘□ 【上同...서명東國正韻 | 저자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3)
- 민세안재홍전집 : 가뎡‥‥부인뎨이회가투대회를열면서 (三)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260 1927 2 15 4 3 安民世 안재홍 가뎡평론 가뎡‥‥부인뎨이회가투대회를열면서 (三) 신문 조선일보 3면1단 석간 평론 여성 직접자료 선집외 牧隱李穡, 李舜臣, 李之蘭, 朴彭年 A192702...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월간야담_1939_06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표지 일부 내용 누락된 것으로 보임. 원문 확인해 볼 것. 시조 이연신, 윤선도, 신흠, 정철, 박팽년 6 염열부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9
- 희망_1955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87 문화계산보 87 일망무제한 함흥평야 박연희 88 나는 박팽년의 60대손...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55
주제어사전(18)
-
박팽년 / 朴彭年 [종교·철학/유학]
1417(태종 17)∼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원상의 증손, 할아버지는 안생, 아버지는 중림, 어머니는 김익생의 딸이다. 1434년(세종 16)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 충청도관찰사, 형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그는 단종이 왕
-
동국정운 / 東國正韻 [언어/언어/문자]
1448년(세종 30) 세종의 명으로 간행된 우리나라 최초의 운서(韻書). 1448년(세종 30)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박팽년(朴彭年) 등이 세종의 명으로 편찬하여 간행한 우리나라 최초의 운서(韻書)이다. 『동국정운』은 중국의 운서인 『홍무정운(洪武正韻)』에
-
창절서원 / 彰節書院 [교육/교육]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서원. 1685년(숙종 11) 장릉(莊陵: 단종의 능)을 개수하면서 감사 홍만종(洪萬鍾)과 군수 조이한(趙爾翰)이 도내에 통문을 돌려 기금을 모아, 단종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이개(李塏)·유성원(柳誠
-
김질 / 金礩 [종교·철학/유학]
1422년(세종 4)~1478년(성종 9) 개국공신 김사형(金士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승(金陞)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김종숙(金宗淑)이며, 어머니는 이양직(李良直)의 딸이다.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 등의 집현전 학사와 함께 단종 복위를 꾀하는
-
낙빈서원 / 洛濱書院 [교육/교육]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에 있는 서원. 1679년(숙종 5)에 정구(鄭逑)와 장현광(張顯光) 등을 중심으로 한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팽년(朴彭年)·성삼문(成三問)·이개(李塏)·유성원(柳誠源)·하위지(河緯地)·유응부(兪應孚) 등 사육신의 절의를 추모하기 위해 사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