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충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21)
- 박충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287(충렬왕 13)∼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자화(子華), 호는 치암(恥菴). 할아버지는 지빈(之彬)이며, 아버지는 군부총랑(軍薄摠郎)을 지낸 장(莊)이다. [생애 및 활동사...이칭별칭 자화(子華)| 치암(恥菴)| 문제(文齊)
- 朴忠佐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257 朴忠佐 인물 溫厚, 儉約, 登第, 按廉, 內旨, 杖流, 持平, 應敎, 卿相, 布衣, 咸陽府院君 咸陽, 全羅 子華, 恥庵, 忠烈王, 忠穆王, 文齊 D_18_03_30 대동운부군옥 18권 3장 3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3장 3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九十浦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7_D_0202 九十浦 하천 按廉使, 賦詩, 碧松, 紅樹, 去年情, 旌旗, 樓上, 無人 昇平郡 朴忠佐, 碧玉 詩話 D_10_01_102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 10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10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程朱學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_D_0030 程朱學 경서·경학 東還 中國, 東方, 元 忠宣王, 白頤正, 李齊賢, 朴忠佐 麗史 D_18_03_47 대동운부군옥 18권 3장 4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3장 4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好讀易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1_D_0048 好讀易 경서·경학 眼昏 朴忠佐, 益齋, 趙靜庵 悼恥庵詩, 伏羲書, 本集, 小學, 近思, 碑序 D_20_01_88 대동운부군옥 20권 1장 8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1장 8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주제어사전(3)
-
박충좌 / 朴忠佐 [종교·철학/유학]
1287(충렬왕 13)∼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지빈, 아버지는 장이다.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여 백이정이 원나라에서 주자학을 배우고 돌아왔을 때 이제현과 함께 제일 먼저 가르침을 받았다. 판전민도감사, 찬성사, 판삼사사를 역임하였다.
-
금곡서원 / 金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에 있는 서원. 1568년(선조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충좌(朴忠佐)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박눌(朴訥)과 박손경(朴孫慶)을 추가로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
-
이천 / 李蒨 [종교·철학/유학]
?∼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1299년(충렬왕 25)에 국자감시에 급제하였다. 1344년(충혜왕 복위 5)에 지공거 박충좌와 함께 동지공거로서 진사를 뽑고 하을지 등 33인에게 급제를 주었다. 같은 해에 첨의평리 상의로 원나라에 가서 교사를 축하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