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박찬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3)
사전(13)
- 윤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계조직을 가진 동지들과 더불어 늘 조정에 불만을 품어왔다. 1755년 1월 노론파를 지목하여 나주객사에 나라를 비방하는 괘서를 붙였다. 이른바 을해옥사로 일컬어지는 벽서사건에 연루되어 서울로 압송되고 친국 끝에 그해 2월 아들 광철(光哲) 그리고 이하징ㆍ박찬신(...이칭별칭 사심(士心)
- 분무공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忠竭誠決機效力奮武功臣)이라 하였다. 2등은 직접 일선에서 적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운 박찬신(朴纘新)‧박문수(朴文秀)‧이삼(李森)‧조문명(趙文命)‧박필건(朴弼健)‧김중만(金重萬)‧이만빈(李萬彬) 등 7인으로 수충갈성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 3등은 역시 토...
- 분무원종공신녹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오명항(吳命恒), 이등공신에는 박찬신(朴纘新)ㆍ박문수(朴文秀) 등 7인, 삼등공신에는 이수량(李遂良) 등 7인으로 모두 15인이 녹훈되었다. 이 분무원종공신은 정공신(正功臣) 외에 작은 공이 있는 자를 녹훈한 것인데 그 수가 9,000여 인에 이르고 있다. 수록된 내용...
- 나주괘서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적소(謫所)인 나주에서 나라와 노론에 대한 원한을 품고 은밀히 세력을 규합해 모의를 계획하고 있었다. 윤지는 아들 광철(光哲)과 함께 나주목사 이하징(李夏徵) 및 이효식(李孝植), 박찬신(朴纘新) 등 서울과 지방 각지의 소론을 모으고, 벼슬에 나아가지 못한 불평...이칭별칭을해옥사|윤지(尹志)의 난
- 순무영(巡撫營)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인좌(李麟佐)의 난을 진압하는 임무를 맡았다. 사도도순무사에 병조 판서 오명항(吳命恒), 중군에 박찬신(朴纘新), 종사관에 박문수(朴文秀)가 임명되어 현지에 파견되었다. 순무영이 난을 진압하고 4월에 개선하자, 영조가 친히 숭례문 밖에 나가 영접하고, 순무사 오명항과...관련어동학농민전쟁(東學農民戰爭), 병인양요(丙寅洋擾), 순무사(巡撫使), 이인좌(李麟佐)의 난, 홍경래(洪景來)의 난
고서·고문서(49)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643 B073643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9年 2月 1日_008 ○備局薦, 以朴纘新爲統制使, 以鄭來周爲東萊府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545 B038545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38年 3月 25日_003 ○下直, 海美縣監郭翰邦, 泰安郡守朴纘新, 多大浦僉使李時蕃, 平南萬戶李春源。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598 B038598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38年 3月 25日_003 ○下直, 海美縣監郭翰邦, 泰安郡守朴纘新, 多大浦僉使李時蕃, 平南萬戶李春源。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6600 B076600 동래 東萊 정치행정 英祖實錄 九年(1733) 二月 영조실록_10902001_001 ○朔癸丑 / 以朴纉新爲三道統制使, 鄭來周爲東萊府使。출처전거英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府擧行。 上曰, 其勿更煩。 謇曰, 朴纘新前啓中句語, 有删拔處, 故盡達之矣。 仍啓曰, 國家置將之道, 孰不爲重, 而至如御將, 爲任自別, 內而參廟謨, 外而掌重兵, 苟非威望素重, 人器著稱者, 決不可輕授也, 明矣。 御營大將朴纘新, 人望素輕, 性且驕妄, 平生伎倆, 不過善事貪侈而已...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황해일보_1951_1005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산에서 생긴 돈도 저축하였다. 그는 또한 생활비를 절약한 돈을 합하여 이미 3만원을 준비하고 있다. 그의 뒤를 이여 박찬신 송예선 등 리 내 전체농민들이 각각 복권구매를 위한 저축사업을 전개하여 각각 량곡 2-3가마니 값의 현금을 저축하여 두었다. 또한 지내리 농...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1_1005_03 | 책임주필원용준
주제어사전(3)
-
박찬신 / 朴纘新 [역사/조선시대사]
1679년(숙종 5)~1755년(영조 31). 조선 후기 무신. 부친은 박종발이다. 동생은 박재신‧박태신이다. 1702년(숙종 28) 알성시에서 병과 6위로 무과 급제하였다. 충청수사, 경상우병사, 배왕대장, 어영대장, 총융사, 평안병사, 포도대장 등을 역임하였다.17
-
분무공신 / 奮武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728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 또는 그 훈호를 받은사람. 1등은 병조판서 오명항으로,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 2등은 박찬신·박문수·이삼·조문명·박필건·김중만·이만빈 등 7인으로 수충갈성효력분무공신이라 하였다.3등은
-
김중만장군공신록및교지 / 金重萬將軍功臣錄─敎旨 [언론·출판/출판]
1728년 무신 김중만을 분무공신 2등에 책록한 교서.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0호. 문서는 모두 3점으로, 교서 1점, 교지 2점이다. 1728년 7월에 작성된 교서(敎書, 공신록)에는 1등 공신에 오명항, 2등 공신에 김중만·박찬신(朴讚新)·박문수(朴文秀) 등